View : 589 Download: 0

시각문화미술학습 환경설계 모형 연구

Title
시각문화미술학습 환경설계 모형 연구
Other Titles
The Model of Learning Environment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uthors
김현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혜리
Abstract
오늘날 우리는 광고, 영화, 텔레비전, 컴퓨터, 인터넷 등의 매스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시각적 이미지를 접하며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는 이미지 제작자(또는 생산자)의 필요에 의해 창조되어 다양한 수단으로 전달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연하게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경향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는 무분별 하게 누구에게나 전파됨으로써 사생활 침해, 비윤리적, 왜곡된 이미지 창조 등으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혼란을 불러 오기도 한다. 따라서 자라나는 다음 세대를 위한 미술교육은 문화적으로 체계화된 시각적 이미지 제작을 위한 기준을 제시해 줄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현재의 시각중심적인 이미지시대에서는 실천적이고 구체화된 교육모델 기준이 제시된 시각문화미술교육(Visual Culture Art Education)을 통해 이미지를 올바르게 판단, 분석하고 창조하여 활용할 수 있게 교육하며, 또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 제7차 교육과정 미술과 개정시안 공청회를 비롯하여 국내외 미술교육 관련분야에서는 교육현장에서 시각문화미술교육(VCAE)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필요성만이 논의되어왔을 뿐,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방법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해, 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천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설계 모형에 대한 연구로서 시각문화미술학습 환경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의 뒷받침되는 이론적 배경에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는 시각문화미술교육(VCAE)의 이론과 구성주의적 학습환경 설계(CLEs)이론이 있다. 시각문화미술학습 환경설계모형은 구성주의에서 조나슨(David Jonassen)이 제시하는 환경설계의 6가지 구성요소 즉, 문제, 관련사례, 정보자원, 인지 도구, 대화 및 협력 체제, 사회적 맥락적 지원을 시각문화미술교육 실행에 있어 적합하게 재구성한 것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학습환경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준비할 수 있는 지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 모형의 구성요소를 그 절차에 맞게 구체적으로 진술하였고, 모형에 따른 수업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시각문화미술학습에 기초하여 교육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고등하교 1학년을 학습대상으로 설정하여 수업계획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미술교사에게 시각문화미술학습 재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를 위한 지침이라 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각문화미술학습 환경설계모형은 교사가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시각문화미술학습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모형이다. 이러한 의의가 학습현장에서 실현되기 위해서는 우선 교사와 학교기관의 적극적인 수용과 반영의 자세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시각문화미술학습이 적용 가능한 설계까지의 단계를 제시하였으나, 앞으로 본 연구모형을 실행하여 얻게 되는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본다.;Today, we are seriously exposed from various types of visual image through movie, TV, Internet and Advertisement Etc. These images are created to fulfill the needs of the producer and most people tend to inadvertently receive this image that have been conveyed to them without any hesitation. Due to the indiscrete spread of visual-base image, the immoral and distorted image that infringes one's privacy is created which brings about the confusion of the visual communication In order to educate second generation 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the standard of visual image and realize the need for formulate structure cultural system of the image. Thus in this visual image era, the need for presenting the standard for creating a image is necessary . So through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the practical and specific methods of visual education, we must enhance our visual communication capability which enable us to make right judgement and analyses in this visual base image era. Recently, in the art field including art forum and educational part which relate to art, many people have strongly insisted on accepting VCAE model. Despite the constant emphasis on the importances of VCAE, there is not many in dept study on how to implement VCAE. For this reason, I have developed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VCAE which would offer most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 in teaching art in visual culture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ivism approach. The theory of this model is based o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CLEs. David Jonassen, who i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constructivism and educational study presents the 6 compositions of the CLEs which include problem/case, related cases, information Resources, Cognitive Tools, Conversational Tools, Criteria and methods for assessing and evaluating. These 6 compositions are derived from the CLEs are the guideline for teacher to set up and prepare the structured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has made specific statements for the each compositions of this model and suggested the education plan that is suitable for this model. There are 4 significants of this research. Firstly this study suggest the practical and specific education method that could be applied to real education field that is based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targets High School students and apply VACE method to them which have not been practis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irdly, this could be a guide line for Art teachers in the sense of giving art teachers the opportunity for the re-education of VACE. Lastly this Visual Culture education Environments that is presented in this study have been made after due-consideration and therefore can prepare the structured VCAE. In order to accomplish all of statements that are mentioned in the study, both teacher and the school agency must accept and apply VCAE. Even though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ractical approach method of processor-education VCAE model, further in dept study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 effect that is gained through applying the study model that is mentioned i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