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은경-
dc.creator송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78-
dc.description.abstractLexical competence defined as a user's ability to comprehend and produce vocabulary is a basic language ability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English lexical knowledge take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because they are based on vocabulary knowledge. Therefore we need to research effective vocabulary activities in classrooms. There are elaboration activities that spend time on and pay attention to words as a way of teaching vocabulary in classrooms. Elaboration can be classified as semantic elaboration and structural elaboration. It has been known that semantic elaboration produces better recall than does structural elaboration because semantic elaboration makes deeper memory trace. Therefore, compared to semantic elaboration, structural elabor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trivial and petty. Most vocabulary activities in classrooms have consisted of semantic elaboration activities. However, Barcroft(2000) suggested that it was not appropriate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semantic elaboration in any situ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vocabulary activities should be discussed carefully, considering many aspects such as word class, the features of vocabulary(concrete v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est or study and English proficiency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ctivities of the two elaboration with fifteen concrete verbs and fifteen abstract verbs.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one-hundred-twenty-on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emantic and the structural elaboration groups. Furthermore, each group was divided in upper and lower proficiency groups. The structural elaboration groups were given verbs in wrong spellings and had to put X mark on wrong spellings and rewrite them, and write the past participle of each verb. The semantic elaboration groups had to answer the questions that included target verbs, using target verbs in sentences. After performing the activities, both groups took two tests such as the productive test in which the meanings of words were written in Korean, and students wrote the words in English and the receptive test in which the words were written in English and students wrote the meanings of the words in Korean. One week later, they took the same tests again before another vocabulary lesson begi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uctural elaboration groups performed better in short-term productive test, and semantic elaboration performed better in the long term productive test. Second, the difference appeared in the long-term productive test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verbs. Structural groups produced better recall of the forms of abstract verbs and semantic groups performed better in recalling the forms of concrete verbs. Therefore it implies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choose vocabulary activities according to word features to learn word forms efficiently. Third, for upper proficiency groups, the semantic elaboration group was better in recalling the forms of the concrete verbs, and the structural elaboration group was better in recalling the forms of the abstract verbs regardless of a short-term or long-term test. For lower proficiency groups, the structural elaboration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productive tests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verbs. It seems to be difficult for lower proficiency students to process word forms and meanings at the same time, whereas upper proficiency students have less problem in processing word forms and meaning at a time. Forth, semantic elaboration activity was more effective both in short-term and long-term receptive tests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verbs. Therefore, semantic elaboration activities are proper for the purpose of learning meanings of vocabulary. Fifth, for upper proficiency groups, the semantic group performed better both in short-term and long-term receptive tests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verbs. For lower proficiency groups, semantic elaboration group was better in long-term receptive test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verbs. However, in short-term receptive test, the semantic elaboration group remembered the meanings of the abstract verbs better, whereas structural elaboration group recalled the meanings of concrete verbs better.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ructural elaboration is effective for form learning and semantic elaboration for semantic learning especially for lower proficiency students. However, semantic elaboration is effective for upper proficiency students. Therefore we need to clarify the goal of the learning and consider English proficiency levels of students when we choose vocabulary activities. In addition, we should design vocabulary activities for lessons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vocabulary such as word class and the features of vocabulary.;의사 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영어 교육 과정은 언어의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표현 능력을 기르고 이를 실제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어휘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어휘 학습이 영어 학습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효과적인 어휘 학습 활동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휘 학습 활동 연구는 주로 어휘의 의미 학습에 초점을 둔 것이 많았다. 이것은 제 2 언어 어휘 학습에서 형태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되지 못한 데 기인하며 어휘 학습 활동의 효과를 검증할 때 L2 어휘의 형태를 보고 의미를 파악한 이해력 평가만을 사용하였던 점도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간과되어지는데 한 몫을 하였다. 그러나 어휘 표현력 평가에서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가 없거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인 연구들이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 및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어휘 학습 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국외에서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국내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는 많지 않은 실정이어서 국내 학습자, 특히 중ㆍ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및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영어 동사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12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대상은 구조적 정교화와 의미적 정교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각 집단은 영어 능력에 따라 상, 하위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구조적 정교화 집단의 활동지에는 목표 어휘가 잘못된 어휘 철자로 3번 적혀있고 학습자들이 잘못된 철자에 X표를 하고 고쳐서 다시 써보는 활동과 그 어휘의 과거형을 써보는 활동을 하였고 의미적 정교화 집단은 목표 어휘를 포함한 질문에 목표 어휘를 포함하여 영어로 대답하는 활동을 하였다. 본 실험은 8주에 걸쳐 정규 영어 시간 30분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어휘 표현력 평가에서는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적이었고 장기어휘 표현력 평가에서는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적이었다. 둘째, 어휘 장기 표현력 평가에서 구조적 및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의 효과는 동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추상 동사의 경우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적이었고 구체 동사의 경우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동사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어휘 학습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상위권 학생의 경우 평가의 시기와 상관없이 어휘 표현력 평가에서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더 효과적이었고 추상동사의 어휘 표현력 평가에서는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은 어휘 표현력 평가에서 평가의 시기와 동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영어 능력과 어휘의 특징에 따라 어휘 학습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넷째, 어휘의 이해력 평가에서 효과적인 어휘 학습 활동은 평가의 시기와 동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었다. 따라서 어휘의 의미를 가르치는 것이 교수의 목적일 때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 째, 상위 집단의 경우 어휘 이해력 평가에 효과적인 어휘 학습 활동은 평가의 시기와 동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었다. 그리고 하위 집단의 경우 어휘 장기 이해력 평가에 효과적인 어휘 학습 활동은 동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었다. 그러나 구체 동사의 의미를 단기적으로 기억하는 데 있어서는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휘의 의미 학습에 있어서도 영어 능력과 어휘의 특징에 따라 어휘 학습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어휘 학습 활동의 효과를 이야기 할 때 형태 학습 및 평가와 의미 학습 및 평가를 구별하여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본 실험의 결과를 볼 때 어휘 표현력 평가에서는 구조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일반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휘 이해력 평가에서는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어휘 학습 활동을 선택할 때 어휘의 어떤 부분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지 그 목적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목표 어휘의 특징과 학생들의 영어 능력들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어휘 학습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모든 경우에 효과적인 어휘 학습 활동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어휘적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 어휘 교수 방법의 개발과 활용은 앞으로도 꾸준히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어휘 습득 모델과 어휘 학습 방법 = 5 B. 처리 수준 이론 = 9 C. 적합한 처리 과정으로의 전이 = 11 D. 처리-자원의 할당 유형 = 12 E. 선행 연구 = 13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문제 = 21 B. 실험 대상 = 22 C. 실험 자료 = 24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28 E. 연구의 제한점 = 3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4 A. 어휘 학습 방법에 따른 어휘 표현력 비교 = 34 1. 평가의 시기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34 2. 동사의 종류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36 3. 영어 능력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37 4. 어휘 표현력에 있어서 어휘 학습 활동 방법과 영어 능력, 평가 시기, 기억도, 동사의 종류 간의 상호작용 = 41 B. 어휘 학습 방법에 따른 어휘 이해력 비교 = 45 1. 평가의 시기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45 2. 동사의 종류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46 3. 영어 능력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47 4. 어휘 이해력에 있어서 어휘 학습 활동 방법과 영어 능력, 평가 시기, 기억도, 동사의 종류 간의 상호작용 = 51 C. 상 하위 학습자의 어휘 평가 결과 분석 = 55 1. 어휘 학습 효과가 높은 어휘 = 57 2. 기억 효과가 높은 어휘 = 60 D. 구조적 및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태도 = 63 Ⅴ.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2 부록 = 78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17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어휘 학습 활동 유형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동사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구조적 정교화와 의미적 정교화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iveness of Structural and Semantic Elaboration on the Study of Engilsh verbs: Focuse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ong, Eun-Kyoung-
dc.format.pageix,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