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환희-
dc.creator유환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32-
dc.description.abstract과거의 산업사회와는 달리, 21세기는 지식의 생산 및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지식 기반 사회로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사회적 차원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구성주의의 원리를 따라 교수학습에서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Finch(2003)는 한국 영어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여전히 문제해결 활동, 비판적 사고 및 창의성과 관련된 수업 활동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말하기 활동의 경우, 근간의 이해중심 교수법(comprehension-based method)에 의거할 때 그 중요성이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통상 단순한 활동(controlled techniques) 및 기계적인 연습(mechanical drills)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영어 능력뿐 아니라 인지적 성장까지 도모하는 효과적인 말하기 학습법, 특히 교실 상황에서 보다 많은 의미 협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협동학습(shared tasks, cooperative learning)을 이용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경쟁적 학습 방법을 협동적으로 바꾸고 개인 활동보다는 집단으로 학습 활동을 구성하며, 학생들 모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배우고 가르치는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협동학습으로는 Jigsaw 활동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경쟁이 문제시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공동체적 삶을 위한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는데도 필수적일 것이다. 영어교육 분야에서의 Jigsaw 과업은 영어로 의견을 교환할 때의 의미 협의가 야기하는 양적, 질적 효과 때문에 의미 있는 말하기 활동으로 분류되어 그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영어교육에서의 Jigsaw 연구에서 보다 구체화되어야 하는 것은 다른 활동과의 통합성 및 응용 여부이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언어의 4기능을 통합적으로 지도하도록 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며, 말하기나 쓰기와 같은 표현 능력에 관한 학습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 교육현실에 비추어 볼 때, 듣기나 읽기와 같은 이해 능력에 관한 학습과 연계하여 Jigsaw를 활용하는 것은 다인수 학급에서 시행할 수 있는 최선의 통합 활동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업 시 제공하는 자료의 형태를 달리하는 보다 정교하고 경험적인 Jigsaw 활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 이론에 의거한 과업 중심 교수법의 하나인 Jigsaw 과업을 듣기 자료와 읽기 자료를 통해 말하기에 적용했을 때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이다. 앞에서 밝힌 목적을 위하여 대학생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총 8차시의 영어 말하기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듣기 자료 집단 12명에게는 듣기 자료를 제공한 Jigsaw 수업을 실시하고, 읽기 자료 집단 12명에게는 읽기 자료를 제공한 Jigsaw 수업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양적, 질적인 분석을 통해 말하기 과업 전 주어진 자료의 형태 차이가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자료 집단과 읽기자료 집단에서 모두 Jigsaw 활동 후 영어 말하기 능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듣기자료 집단과 읽기자료 집단은 말하기 능력 중 분석적 영역인 유창성과 과제수행도의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읽기자료 집단은 정확성의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는데, 집단 간 향상도의 차이는 읽기집단이 듣기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학습자들이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도의 경우, 듣기자료 집단과 읽기자료 집단의 상·하위 집단 모두 말하기 능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분석적 측면에서 볼 때, 듣기자료 집단과 읽기자료 집단의 상·하위 집단 모두 유창성과 과제수행도가 향상되었고, 읽기자료 상·하위 집단의 경우 정확성에서도 교수 효과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Jigsaw 활동으로 인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은 상·하위 수준에 따른 변인보다는 자료의 형태와 보다 더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발화를 분석한 결과, 듣기자료 집단에서도 읽기자료 집단과 마찬가지로 정확성, 유창성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발화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게 나오지 않았던 복잡성의 경우 듣기자료 집단이 읽기집단보다 큰 효과를 나타냈고, 의미협의에 있어서도 양적 우세를 보였으므로 수업의 목표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듣기자료 집단이 가진 장점을 말하기 활동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Jigsaw 활동의 자료 유형에 따른 의미협의의 특징은 실험이 후기로 갈수록 조금씩 감소하여 Jigsaw 활동을 수행하는 학습자들이 단순히 의미협의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발화의 절반 이상을 과업 수행을 위한 협력적 진행에 사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집단 별로 의미협의로 이루어진 발화의 비율을 통해 듣기자료 집단이 읽기자료 집단보다 조금 더 많은 의미협의가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실험 전기에는 학습자들이 의미협의에 익숙지 않아 명료화 요청이 많았던 반면, 후기에는 명료화 요청에 대한 부담이 작용하여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재확인함으로써 정의적으로 상대방의 발화를 조정하고 과업을 수행하였다. 이해 확인 유형과 간접적 오류 수정의 경우는 교사-학생 간의 발화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라는 점에서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 및 반응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듣기자료 집단과 읽기자료 집단의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Jigsaw 활동을 통해 말하기 능력 자체보다는 협동학습에 대해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 외에는 읽기자료 집단이 수업 자료의 형태에 관한 선호도 영역에서 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의 향상을 보인 반면, 듣기자료 집단은 영어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영역에서 더 긍정적인 태도의 향상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대부분 Jigsaw 활동이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지만, 책임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주는 능동적인 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제안하였다.;The information-based 21st century requires the activ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new trend has changed the methodology and syllabus design so much that now the focus is on constructivism that can cause dynamic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However, authentic and meaningful activities are rare although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is getting more important for the globalized world society. Accordingly, undergraduate students who should get a job in this international society suffer from a lack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nge the teaching of speaking for the better, and the jigsaw task was chosen for its learner-centered, pedagogically desired, and communicative nature. Jigsaw tasks are created by dividing information to be mastered into several pieces and assigning each member of the "home group" responsibility for one of those pieces. After that, students meet with other classmates who have the same assignment in the "expert group". These expert groups review, clarify an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assignment before returning to their home groups. Once students return, they are responsible for "teaching" the information to their teammates and try to solve the problems and finally complete the task. Until now,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used jigsaw tasks to investigate their impact on listening, speaking, or reading, but there has not been detailed research on the jigsaw task itself.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tailed jigsaw tasks using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for speaking practice, especially, the specific examination of a jigsaw task when integrated with other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and reading. It is because the elaborate jigsaw speaking tasks with receptive materials are based on facilitating English proficiency effectively.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five weeks with twenty four undergraduate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Two wer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group was provided with listening materials before doing jigsaw tasks and the other group was provided with reading materials.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periments showed both listening materials and reading materials were effective for speaking proficiency. In particular, both material typ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eak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in terms of fluency and task completion. Moreover, reading materials provided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accuracy. When looking at the big picture, reading materials were more valid then listening materials for jigsaw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no marked differences based on the level of the students of each group. Both high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of the listening materi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fluency and task completion, and both high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of the reading material group advanced in accuracy, fluency and task completion. This result revealed that reading materials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listening materials, and listening was more difficult than reading, suggesting that modality, rather than the level of students, is an influential variable when learners process input for jigsaw tasks. Third, reading materials turned out better than listening materials statistically, but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listening materials were also effective for speaking proficiency to some degree. Especially, listening materials caused more improvement in oral complexity and much greater amount of negotiation of meaning and discussions than reading materials because of the cognitive difficulty when processing listening input. Therefore, listening materials should still be considered for speaking activities together with reading materials. Fourth, although listening materials invoked more negotiations than reading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negotiation of meaning didn'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listening material group and the reading group. Both groups relied heavily on clarification requests at the beginning, but they tried more confirmation checks as time went by. It seemed that they considered maintaining a positive face vis-a-vis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re were a few comprehension checks and recasts because they appeared overtly teacher-like. Lastly, after analys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both material typ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motivation for cooperative learning. Moreover, the reading material group preferred the type of reading material, and the listening material group showed more confidence in speaking English after jigsaw tasks. However, students felt burdened by their responsibility to fulfil their own task, so more coaching and tutoring from the teacher should be considered, and preparatory activities, such as vocabulary learning related to the subject and background material analysis, are necessary before the jigsaw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both jigsaw listening and jigsaw reading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speaking proficiency for those students who had few speaking and negotiation of meaning opportunities in EFL classrooms. Reading appeared to be easier than listening when processing input for oral communication, but listening materials seemed also important for speaking practice. Therefore, jigsaw tasks using listening or reading materials are highly recommended considering current Korean English classrooms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ly, while doing interactions, students may have a great amount of negotiation of meaning, which is essential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ly, it facilitates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task completion, promoting interaction among students. Lastly, group activities can help learners communicate and share their thoughts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A. 영어의 4가지 기능 = 4 1. 듣기 기능과 읽기 기능의 공통점 및 차이점 = 5 2. 말하기 기능 = 6 가. 구두언어 능력 = 6 나. 의미협의와 의사소통 능력 = 7 3. 듣기와 말하기의 관계 및 읽기와 말하기의 관계 = 10 B. 과업 중심 언어교수법과 협동학습으로서의 Jigsaw = 12 1. 과업 중심 언어교수법 = 12 2. 협동학습 = 15 3. Jigsaw 활동 = 16 C. 선행 연구 = 20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질문 = 23 B. 연구 대상 = 24 C. 실험 자료 = 24 1. 말하기 능력 평가지 = 25 2. 말하기 채점 기준 = 25 3. 설문지 = 26 4. Jigsaw 수업 활용 자료 = 28 D. 실험 절차 = 30 1. 실험 이전 절차 = 30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32 3. 실험 이후 절차 = 35 E. 자료 분석 도구 = 36 1. 영어 말하기 능력 = 38 2. 의미협의 = 39 3. 협동학습의 정의적 기여도 = 39 F. 연구의 제한점 = 40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1 A. 자료 유형에 따른 Jigsaw 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1 1. 각 실험집단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 차이 비교 = 41 2. 실험집단 간 말하기 능력 향상의 차이 비교 = 44 3. 각 실험집단의 과업 중 발화 내용 분석 = 48 B. 자료 유형에 따른 Jigsaw 활동 시의 의미협의 특징과 변화 = 62 C. 자료 유형에 따른 Jigsaw 활동이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9 1. 각 실험집단의 정의적 태도 변화 비교 = 69 2. 각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태도 변화 비교 = 71 D. 자료 유형에 따른 Jigsaw 활동에 대한 학습자 반응 = 74 V. 결론 = 79 참고문헌 = 83 부록 = 90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63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Jigsaw 활동의 자료유형이 영어 말하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Jigsaw Listening or Jigsaw Reading: A Study on Effectiveness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Differentiated by Jigsaw Material Types-
dc.creator.othernameYoo, Hwan-hee-
dc.format.pagevi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