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이 학습 부진아의 영어 학업 성취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이 학습 부진아의 영어 학업 성취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ultimedia-based on Supplemental lessons for Lower-level Students of Middle School
Authors
윤지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생들은 능력, 기질, 흥미, 태도 등에서 크게 개인차를 나타내고, 학습의 방법이나 받아들이는 지식의 양, 종류, 속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는 이러한 개인차를 존중하고 그에 합당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제 7차 교육과정 중 단계 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속하는 영어는 학습 수준이 높은 학생에게는 심화학습을,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에게는 보충학습을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학습 능력이 부진한 학생들을 위한 특별 보충 과정을 1년에 2번씩 시행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수업에 대한 부적응을 해소하고 흥미를 잃은 학생들에게 학업 성취 의욕을 높여 궁극적으로 최소한의 기초학력 수준을 갖춰 주며, 학습 결손에 대한 단계적 보장을 통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좋은 취지와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별 보충 과정은 커다란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학생의 학습 속도와 개인차를 존중하는 제 7차 교육 과정의 취지와 정신을 살리면서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성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보충 수업은 지양되어야 하며 영어 학습 부진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고 그들에게 학습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율적인 보충 수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을 계획하고 영어 학습 부진아들에게 실시함으로써 이러한 보충 수업 방식이 그들의 학업 성취와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은 경기도 부천시 소재 D중학교 2학년 영어 학습 부진아를 대상으로 방과 후 매주 2회 2시간씩 실시하여 총 20시간의 수업을 5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이전·이후 영어 학업 성취 평가, 설문지 분석 결과, 학생 면담 결과 그리고 교사의 수업 진행일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 활동을 한 실험 집단과 교사 중심의 전통적 설명식 수업을 한 통제 집단 간의 실험 이후 영어 학업 성취 평가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이 영어 학습 부진아들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영어 학업 성취의 영역을 단어, 문법, 독해로 나누어 두 집단의 성취를 비교한 결과, 단어영역에서는 통제․실험 집단 간의 평가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이 교사 중심의 전통적 설명식 보충 수업보다 영어 학습 부진아의 단어 이해 능력 향상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문법영역에서는 실험 이전․이후의 평균 점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집단별 유의도 검증에서 실험 집단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집단 간 유의도 검증에서는 두 집단의 실험 이후 문법 평가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비록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 집단 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생겨난 것으로 보아 실험 기간이 좀 더 길게 주어졌다면 두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결과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독해영역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독해 능력 평가에서 약간의 평균 점수 상승만이 있었을 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독해 능력은 학습자의 배경 및 사전지식, 단어능력, 문법능력, 독해 전략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능력이 부족한 학습 부진아들에게 5주라는 실험 기간은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고 생각된다. 둘째, 통제․실험 집단의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를 설문 조사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집단의 경우 영어수업참여도, 영어기초능력, 흥미, 불안감, 신념, 자신감, 동기 등 7개 영역 중 특히 영어 기초 능력과 흥미 영역에서 실험 전․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부진아 보충 수업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학습자들에게 학습 부진을 탈피시키고 영어에 대한 흥미를 느껴 계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고 정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임을 감안할 때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이 학습 부진아들에게 상당히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통제 집단은 영어 수업 참여도나 신념, 동기 영역의 점수가 오히려 실험 전보다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특히 동기영역의 점수는 부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오히려 교사 중심의 전통적 설명식 보충 수업이 영어 학습 부진아들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의욕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에 대한 실험집단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 이후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12문항의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3.5점이었고, 평균 점수가 3.5점 이상 되는 문항도 6문항으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은 전반적으로 매우 긍정적이었다. 소리나 그림, 동영상 등이 동시에 주어지다 보니 재미가 있고 기억력이 증진되어 단어 실력 향상에 상당히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앞으로 기회가 주어진다면 개인적으로도 영어공부에 인터넷을 활용하고 싶고, 또 정규 영어 수업 시간에도 영어 선생님이 인터넷 자료를 많이 사용하셨으면 좋겠다는 반응을 보여 인터넷 활용 수업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앞으로의 영어 학습 부진아 보충 수업에서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보충 수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영어 학습 부진아들은 일반적으로 학습에 대한 흥미나 동기나 낮기 때문에 즐거운 놀이라는 개념으로 학습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영어 학습 부진아 보충 수업 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다면 이해력이 부족한 학습자들에게 반복적인 연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목표한 학습 내용 외에 부수적인 내용의 학습도 제공하여 지루함을 덜어주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의 주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소극적인 학습 자세도 교정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아무리 좋은 매체와 수업 활동이라도 반복이 되면 수업에 대해 흥미를 잃게 되고 학습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어느 한 활동이나 자료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자료와 수업 활동들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교사들 사이에 긴밀하고 협동적인 정보 공유 체제가 마련되어야 하고 또 교육청 또는 교육부 차원에서 이들을 지원하고 보조해 줄 수 있는 정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focuses on each student's different learning style and ability and encourages local schools to provide students with different teaching resources and methods appropriate for their language levels and interests. As a result, local schools have tried to give upper-level students in-dept study and lower-level students supplemental study. Especially,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help lower-level students to keep the pace with regular learning. Therefore, specially-planned supplemental lessons have been given to them twice a year after school. Its main purpose is to help them to overcome their deficiency in learning and to recover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ultimately, to achieve the least goal of the grade they are in. However, despite of good intention and all those efforts, it has not been so successful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how to teach lower-level students effectively by using multimedia with support of internet. 40 lower-level students were selected to join in the experiment. Half of them were given multimedia-based supplemental lessons in a computer lab. And the rest of them were given teacher-centered traditional lessons in a ordinary classroom. The experiment was done two hours a day, twice a week for 5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wholistic test scor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one. The multimedia-based supplemental lessons were more effective to lower-level students than the teacher-centered traditional supplemental lessons. By the way, the test score was analyzed deeply in the division of 3 parts such as word, grammar and reading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ly meaningful difference of test score in word ability between two groups. That is, the multimedia-based supplemental lessons were more effective to lower-level students to improve word ability. However, in grammar ability, there wasn't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 meaningful difference existed only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Even though there wasn't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t might happen if more time for learning was given to two groups. Lastly, in reading ability, there wasn't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within each group. Actually, reading ability is affected by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word abilities, grammar abilities and reading strategies and so on. 5 weeks were thought of as too short period to improve students' read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much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than the ones of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attitude to gain basic English skills such as reading aloud the English texts and memorizing English words and the interest of learning English were meaningfully encouraged.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s post scores of attitudes such as participation in class, self-belief and motivation were lower than its pretest scores. Especially, the score of motivation revealed a negatively meaningful difference after the experiment. That means teacher-centered supplemental lessons gave a negative influence to lower-level students. Third,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very positive feeling toward the multimedia-based supplemental lessons. The result of the additional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indicated that many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lessons. Various kinds of learning resources such as sounds, pictures and animations were very helpful to encourage lower-level students' interests and learning abilities. In conclusion, we can find that the use of the multimedia in the supplemental lessons for lower-level students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use multimedia effectively when they provide a supplemental lessons to lower-level students. However, every teacher in local schools should keep in mind that there aren't any best teaching methods. Even though this study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based supplemental lessons, they might make students bored when they are used repeatedly. Also,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xistence of teachers' organization to share good information to plan a effective multimedia-based supplemental lessons. And the support from local ministry of education in each area or ministry of education & HRD is also needed to encourag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