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화행학습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화행학습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peech Act Instruction Using Film Clip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Speech Act and Their Affective Aspects
Authors
임선미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ncorporates grammatical competence, sociolinguistic competence, and discourse competence (Canale & Swain, 1980). According to Bardovi-Harlig (1992) however, even fairly advanced language learners often lack pragmatic competence, which is the knowledge of what to say, how to say it, to whom, in what situations. Indeed, research in interlanguage pragmatics has demonstrated that the way second language learners realize speech acts often deviates from target language conventionality patterns and may fail to convey the intended illocutionary force (House & Kasper, 1981; Olshtain & Cohen, 1983; Takahashi & Bee, 1987). Moreover, the findings from many studies suggest that the fine points of speech act behavior such as types of semantic formulas and strategies can be taught. Therefore,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way of instruction of speech act rules to develop pragmatic competence in EFL class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movie clip edited by Adobe's Premiere on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speech act rule learning and their affective aspects. For this study, 48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four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24 students in each group). Within each group, the students were again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instruction using movie clip based material of English speech act rules, the control group was given instruction using only text based material without film clips. The instruments used to collect data were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questionnaire and role play.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licit verbal requests, refusals, and apologies from respondents by providing universally appropriate situation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in terms of semantic formulas and calculated by the frequency of each formula for each speech act. Role play was performed to qualitatively analyze students' use of the semantic formulas.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in request, refusal, and apology speech acts than before instruction, the control group improved more only in the request speech act than before instruction.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pology speech act In addition, the more proficient students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only in the request speech act. While the less proficien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better improved in all speech acts than before instructio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only in apology speech act. The analysis results of role play also showed that the less proficien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used more proper semantic formula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peech act instruction using film clips was more beneficial for lower proficiency students. Secondly,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which consisted of interest,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oral production of the target language, the experimental group's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 after instruction, while the control group's attitude and interest shifted to slightly negative ones.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ss proficient students of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interest and confidence aspects, the less proficien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 after instruc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irdly, the analysis of the further questionnaire t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ion using film clips by saying that it raised their interest and comprehension of speech act rul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nglish speech act instruction using film clips has highly positive effects on lower level students.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ive tasks using film clips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 students to comprehend the relations between speech act rules and the situations. Furthermore, appropriate film clip use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features of types of speech act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considering that using film clips is more beneficial for lower level learners. Also if the use of film clips is applied to teaching other areas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grammar in the EFL classroom, it can make major contributions to the ultimate goals of English instruction to increas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ir motivation.;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제 생활에서 유창하고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여기서 의사소통 능력이라 함은 문법적으로 정확한 어휘나 형태를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특정한 언어기능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관습을 알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하는 화용 능력까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의사소통에 필요한 영어권의 생활양식과 언어문화, 영어권에서 문화적으로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양식, 영어권 문화와 우리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학습하는 것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어의 화용능력 신장방안의 일환으로 화행을 교수하는데 있어서 사회 문화적 맥락을 시청각으로 제공해주는 영화 등의 동영상 클립을 교수자료로 활용하였을 경우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화행학습 효과와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화행교수에 대한 교육적 의의 및 교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M여자 정보과학 고등학교 3학년학생 2개 학급 4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6차시의 영어 화행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24명에게는 영화를 편집한 동영상을 활용하여 화행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24명에게는 텍스트를 활용한 화행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6주 후에 화행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은 요청, 거절, 사과화행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한 반면, 통제집단은 요청화행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하였다. 또한 두 집단간 화행학습 효과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세 가지 화행 모두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사과화행에서는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행학습 효과를 상 하위 수준별로 살펴보면, 두 집단의 상위 학습자 모두 요청 화행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하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실험집단이 요청, 거절, 사과화행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통제집단의 하위 학습자는 사과 화행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던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교수가 특히 하위 학습자에게 가장 큰 학습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역할극 발화분석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각 화행에 적절한 표현이나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험집단의 하위 학습자가 통제집단 하위 학습자보다 실험 전에 비해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할극 분석결과에서도 동영상을 활용한 화행 교수가 화행 학습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교수가 영어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흥미도, 자신감, 태도 등 세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지만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자신감을 제외한 태도와 흥미에서 오히려 부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집단에게 이뤄졌던 동영상을 활용한 화행 수업은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후 두 집단간 정의적 측면 결과를 비교하면 실험집단이 흥미도, 자신감, 태도 등 모든 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특히 태도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상 하위 수준별로 살펴보면 두 집단의 상위 학습자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하위 학습자간에는 실험집단이 태도, 자신감, 흥미도 등 모든 항목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높았으며 특히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동영상을 활용한 화행 수업이 특히 하위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심화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실제로 학습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함으로써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하위 학습자 모두가 향후에도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응답함으로써 상위 학습자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는 영화 등 동영상이 시  청각적으로 의사소통의 상황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목표 화행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를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 수업이 영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 교수가 화행 학습에 효과적이며 정의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 만큼, 좀더 적극적으로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 수업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둘째,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영상 자료를 선택한다 해도 같은 형태로 반복되면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해 흥미를 잃게 되고 학습효과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화행 이외에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 4가지 영역과 문법 및 어휘 등의 언어적 지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영어 화행지식만 전달하는 매체가 아니라 영어의 전반적인 영역을 다룰 수 있는 매체로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도구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 화행 교수가 화행 학습에 효과적이며 정의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하위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교수자료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화행교수 기간이 짧았고, 실험 직후 화행 학습 효과만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앞으로는 동영상을 활용한 화행교수를 장기간에 걸쳐 수행한 후 화행 학습의 효과뿐 아니라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