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애주-
dc.creator서애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92-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e 7th curriculum is to train students who are able to cope with the sudden changes of the 21st century. The 7th curriculum, therefore, departed from the traditional, same, teacher-centered way of instruction and introduced a new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their learning abilities, aptitudes, needs and interests. This makes our classes more effective, gives students various opportunities in education, and enables self-leading learning as well. At this point in time, a special English vocabulary instruction model through the use of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MI) theory is recommended. In the presupposition that our classrooms are composed of students with different intelligences, if the teachers let their students study through strategic vocabulary group learning based on the MI theory, its effectiveness will be very valu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methods using the MI theory and apply these methods to the classroom, an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focusing on the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129 out of 215 Korean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English vocabulary doing tasks based on their preferred intelligence in eight classes and the rest (control group) were in a class which the teacher's traditional vocabulary explanations were provided. The subjects took a vocabulary test twice, and the attitudes and opinions toward vocabulary learning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d better scores in the vocabulary test, bu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eaningful statistical rise. That means vocabulary learning through the MI theor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Among them, upp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results than others. In addition, all of the experimental intelligence groups improved their vocabulary ability in the test, but the effects of the musical group and bodily-kinesthethic group were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Seco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indicated that the attitude toward vocabulary learning became positive in interest, degree of class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when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pecial vocabulary class based on the MI theory. Third, in the vocabulary recall test, although both groups forgot their learnt vocabularies, the experimental group got significantly better grades. Fourth, analysing additional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ing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ir special intelligence vocabulary learning and said that they had acquired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ir English classes. Finally, the researchers' and teachers' observational diarie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aid more attention to their vocabulary clas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So,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chieved a success in vocabulary test while the control group students were tired of their vocabulary cla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signing various English vocabulary materials based on MI theory that increase stud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class is very important. Furthermore, if these MI theory based vocabulary instructions apply to the whole field of English, ultimately it can contribute to English education's aim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 ability.;21세기 급격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중의 하나는 학년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제시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따른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하여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수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전환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학생의 학습 능력과 요구에 따라 교육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인 개별 학습을 가능하게 해주며,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동들을 다양한 수준으로 편성할 수 있고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방편으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중학교 교실 내 영어학습자들의 각각 우세하거나 선호하는 지능이 매우 다양하다는 전제하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어휘 학습 활동을 바탕으로 전략적 학습을 전개시킨다면 그 결과는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 여겨지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다중지능 이론과 영어 학습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살핀 후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을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각자의 우세ㆍ선호하는 지능별로 소그룹을 만든 뒤 지능 그룹별 각각 다른 어휘 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영어 어휘 수업에 적용시켜 보고 어휘 능력 향상 효과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다중지능이론 적용 어휘 수업의 현장 활용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습자 215명을 대상으로 총 8차시의 어휘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129명에게는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 지능별 영어 어휘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86명에게는 전통적 교사 중심의 명시적 어휘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지능별 어휘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나 전통적인 방법으로 어휘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 모두 영어 어휘 능력은 향상되었지만,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지능별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실험집단의 수준별 상ㆍ하위 학습자 모두가 어휘 성적이 향상되었지만 평균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상위 실험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가장 큰 학습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집단 내의 지능 그룹별 영어 어휘 학습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는데, 7개 지능 소그룹 모두 영어 어휘 능력 평가에서 점수가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음악적 지능 그룹과 신체-운동적 지능 그룹에서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영어 어휘 지도가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흥미도, 수업참여도, 동기유발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시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반해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은 흥미도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상ㆍ하위 수준별 집단을 분석한 결과는 실험집단은 흥미도, 수업참여도, 동기유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각각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상ㆍ하위 집단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상위집단의 흥미도 영역에서만 유의미했을 뿐 다른 영역에서는 유의미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실험 종료 40일이 지난 후 실시한 어휘 회상 능력 평가에서는 두 집단의 학습자 모두가 망각이 심하게 일어나서 연구자가 실험 설계 전에 기대했던 수치보다 낮은 어휘 회상 점수를 획득했지만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어휘 학습의 효과가 다시 한 번 입증되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심화 인터뷰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수업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습자들의 우세하거나 선호하는 지능에 맞추어 구체적이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각 지능별 영어 어휘 학습 활동을 통하여 수업에의 관심과 효과가 높아져서 앞으로도 계속 수업시간에 활용되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의 심화 인터뷰에서는 그들 영어 어휘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수업이 지루하고 딱딱하다는 반응을 보여 흥미를 잃고 수업에도 소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연구자 및 관찰자의 관찰일지 분석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했기에 어휘 학습의 효과도 증대되고 수업에의 만족도도 높았지만 통제집단 학생들은 동기유발이 힘들고 수업이 지루하다고 느껴 수업참여도가 낮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 현장에 있어서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수업과 어휘 학습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어휘 수업 자료의 개발 및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나아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영어 수업을 어휘 분야 뿐 아니라 영어의 모든 분야로 확대․적용시켜 궁극적으로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모든 기능이 골고루 함양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다중지능이론 = 4 B.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ㆍ학습 활동 = 10 C. 다중지능이론과 영어 교수ㆍ학습과의 관계 = 16 D. 선행 연구 분석 = 20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질문 = 25 B. 연구 대상 = 27 C. 실험 자료 = 29 1. 다중 지능 검사지 = 29 2. 어휘 능력 평가지 = 32 3. 설문지 = 34 4. 지능별 어휘 수업 자료 = 35 D. 실험 절차 = 38 1. 실험 이전 절차 = 38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41 3. 실험 이후 절차 = 42 E. 연구의 제한점 = 4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5 A.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영어 어휘 지도가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5 1. 실험ㆍ통제집단의 영어 어휘 학습 효과 차이 비교 = 45 2. 상ㆍ하위 수준별 영어 어휘 학습 효과 차이 비교 = 47 3. 실험집단 내 지능 그룹별 영어 어휘 학습 효과 차이 비교 = 48 4. 실험ㆍ통제집단의 형성평가 차이 비교 = 50 B.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어휘 지도가 영어 어휘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 51 1. 실험ㆍ통제 집단의 정의적 측면 변화 비교 = 51 2. 상ㆍ하위 수준별 정의적 측면 변화 비교 = 52 C. 어휘 회상 능력 평가 비교 = 53 D.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어휘 학습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 = 54 1. 실험ㆍ통제집단의 사후 심화 인터뷰 결과 분석 = 54 2.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어휘 수업 관찰일지 분석 = 60 Ⅴ. 결론 = 62 참고문헌 = 67 부록 = 72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43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소그룹별 영어 어휘 지도가 중학생의 어휘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Vocabulary Instruction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y in English Vocabulary and Their Affective Aspects-
dc.creator.othernameSeo, Ae-ju-
dc.format.pagevi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