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용선-
dc.creator김용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체육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을 바탕으로 자기수업에 대한 만족여부와 자기장학의 활용 정도를 분석하고, 자기수업에 대한 만족이 자기장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체육 수업의 질 향상 및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자기 장학의 필요성과 그 역할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직 중인 체육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여 신뢰 정도가 낮은 응답을 제외한 179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크게 네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영역은 첫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에 관한 기초조사 둘째, 자기수업 만족도 셋째,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 넷째,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현황 조사에 관한 영역이다. 자료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t-test, 일원 변량 분산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육 교사의 자기수업 만족도, 자기장학에 관련된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성 검증을 위해 각 요인들의 신뢰도 계수 Cronbach의 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자기장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중학교 체육교사의 자기수업 만족도가 자기장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는 선수경험이 있는 교사와 주임교사(부장교사)가 자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기 수업을 수업계획, 수업실행, 수업평가로 하인요인으로 나누어 자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 계획’ 에서는 그 차이가 발견 되지 않았지만 ‘수업 실행’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일반교사 보다 주임 교사와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자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유이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수업평가’에서는 선수경험이 있는 교사와 경력이 높은 교사에서 자기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장학의 정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자기장학을 교재준비, 교수활동, 평가활동으로 하위요인을 나누어 분석했을 때 평가활동에 따른 자기 장학에서 경력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교사경력이 10∼20년, 20년 이상, 5∼10년, 5년 미만의 순으로 경력이 많을수록 수업 평가의 자기장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체육교사의 자기 수업 만족도가 자기 장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자기 수업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모두 자기장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수업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수업계획, 수업실행, 수업평가에 따라 자기장학의 하위요인인 교재연구, 교수활동, 평가활동에 각각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재연구의 자기장학에는 자기수업 평가의 만족도가, 교수활동에는 수업계획과 수업실행의 만족도, 그리고 평가활동의 자기장학에는 수업계획, 수업실행, 수업평가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장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실질적으로 체육교사들이 자기장학에 대한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인식과 자기장학의 실태 현황 조사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기장학에 대해 이해(98.9%)하고 있었으며,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자기반성과 자기 수정, 교사 스스로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자기장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전문 자료 탐독 및 활용, 체육실기 지도를 위한 사전 실기 연습을 월 1∼2회, 각종 연수, 교과 연구회, 강연회, 학술발표, 시범수업 공개회에 참여도와 같은 자기장학은 한 학기에 1∼2회 정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자기장학의 일환으로 대학원 진학을 한 교사들은 50.8%로 대부분의 교사들은 대학원 과정이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었다(91.2%)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방법(기술), 수업활동시 학생들과이 피드백, 수업에 대한 열의에 자기장학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자기장학의 활성화를 위해 해결되어야할 과제를 복수 응답하게 한 후 분석한 결과 잡무경감조치(공문서 처리, 행사참여 등), 교사 스스로 수업 전문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기발전의지, 의욕의 고취, 각종 연수활동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 마련, 경제적 지원(연수비, 대학원비 등)순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자기수업에 만족이 높은 교사일수록 자기장학에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은 변인에 관계없이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적극적으로 자기장학에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육수업이 갖는 본연의 목적 달성 및 체육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체육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문성 향상은 교사 자신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 및 수업 개선에 대한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체육교사들이 체육 수업개선을 위해 자기장학을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우선 교사들의 수업 외 공문서 처리, 행사 참여 등의 잡무를 줄이고 다양한 연수, 현장견학 실시, 자원인사면담, 교과 연구 써클 참여등 체육교사들의 자기장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사들의 수업개선에 대한 열의와 자기장학 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교사 동기와 교사 스스로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사명을 다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형식적이고 실적위주의 자기장학 보다는 효율적인 자기장학으로 전환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기장학이 되어야겠다.;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self-instr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self-supervision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inquire into how satisfaction of self-instruction have an effect on self-supervision, with the object of giving help to expansion of their professionalism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ir physical education through research on the realities of self-supervision, besides letting know the necessity of self-supervision and the importance of its role. It made a survey of 178 physical teacher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data with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It made an analysis of factors to verify the validity of question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self-i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elf-supervision. And it calculated the reliance coefficient (Cronbach's) of each factor to verify the confidence. Finally, it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to ver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self-instruction on self-supervi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eachers and head teachers with player career are very satisfied with self-instruction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physical teachers in middle school. Second, it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self-supervision of teachers. But according to analysis of physical education by classification into three subordinate factors such as preparation of teaching materials, teaching activities and appraisal activities, the more teachers’ career is high in self-supervision based on appraisal activities, the more their self-supervision is active. Third, it showed that the more satisfaction of self-instruction is high, the more effect on self-supervision is significant (+). Fourth, it showed that many physical teachers have an understanding (98.9%) of the necessity of self-supervision and participationin it. They have made self-supervision for self-reflection on instruction behavior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method. As part of self-supervision, teachers of 50.8 percent are in graduate school or are graduated from it, and teachers of 65.9 percent, who doesn't go on to graduate school, plan to enter a graduate school. Physical teachers think an effective supervision as order of books related to instruction, search of expert data including Internet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from students in connection with their instruction behavior or class management. And they think miscellaneous work-reducing measure (disposal of official document, participation in event), and self-control and self-development intention for their own instruction specialty as problems to be solved for activation of self-supervision. To sum up, it showed that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self-instruction, the more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self-supervision. In the result, it is important they elevate their specialty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instruction and attainment of its goal. And they require not only reflecting on their own self-instruction, but also making an effort for improvement of instr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변인 및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체육수업 = 6 B. 자기수업 평가 = 13 C. 자기장학 = 15 D. 선행연구 = 25 III. 연구 방법 = 27 A. 연구 대상 = 27 B. 연구 도구 = 28 C. 자료 수집 = 31 D. 자료 분석 = 32 IV. 연구 결과 = 33 V. 논 의 = 53 Ⅵ.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3 부 록 = 67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2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title중학교 체육교사의 자기수업 만족도가 자기장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Self-Instruction Satisf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on Self Supervision-
dc.creator.othernameKim, Yong-sun-
dc.format.pagevii, 7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