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VTR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무용동작 기술습득 효과 검증

Title
VTR 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무용동작 기술습득 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fferent Frequencies of VTR Knowledge of Performance on Dance Movement Learning
Authors
양윤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동작 기술습득에 있어서 피드백 제시방법과 제시빈도가 무용 학습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용동작을 학습과제로 하여 VTR수행지식이라는 방법으로 제공빈도에 따른 습득단계와 파지단계에서 나타난 점수를 분석하여 무용동작 기술습득에 관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 과제에 사전 경험이 전혀 없는 서울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과 대학원생 30명을 선정하여 VTR수행지식을 매 회 제공받는 집단, 5회 시행 후 제공받는 집단, 10회 시행 후 제공받는 집단,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총 45회 시행으로 5회 시행을 1분으로 하여 총 9분단의 순서로 각 1분단 시행 후 1분간의 휴식을 취하고 5분단이 끝나면 3분의 휴식을 취하였다. 학습과제는 재즈댄스에 동작인 투스텝- 맆-킥-앉아 구르기-팟세 턴-투스텝의 동작으로 단일 동작의 과제가 아니라 연결 된 동작으로 이루어진 과제로 독립된 실험실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피험자들은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습득단계시행 다음 날 동일한 과제로 추가 설명 없이 5회 시행 1분단의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설계는 수행지식 제공 빈도(3) × 시행(10) 반복측정 설계에 따른 이원 반복측정 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second factor)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Scheffe'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파지 단계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피험자들이 실시한 무용동작 수행과제에 대한 평가는 무용 경력 10년 이상인 전문가 3인에 의해 30명 모든 피험자들에게 제공되었던 실험과제 동작의 구성 요소 동작 기능적인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언어적 수행지식을 작성하여 제시한 부분을 평가 기준 항목으로 선정하여 한 개의 항목 당 10점 만점으로 총 다섯 개의 항목 합계점수 50점 만점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 습득단계에서 VTR수행지식 제공빈도에 따른 집단 주 효과와 분단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집단과 분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파지단계에서의 과제 수행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습득단계에서는 매 회 시행 후 VTR수행지식을 제공받는 집단이 5회,10회 시행 후 제공받는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학습자가 초보자일 경우 피드백을 제시할 때 VTR수행지식을 매 회 제공 하는 것이 수행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용동작 기술을 처음 배우는 연습 초기 단계의 학습자에게는 VTR로 수행지식을 제공할 때 매 번 수행지식을 제공 하는 것이 수행 효과에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준다. 즉, 피드백 자체가 학습자에게 강화의 기능 및 오차교정 역할을 충분히 하며 초보자의 학습에서의 피드백 제공은 꼭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피험자가 여자 대학생과 대학원생으로 제한되었으나 본 연구 결과가 다양한 피험자와 과제를 대상으로 한 설계에도 일반화 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한 무용 학습 이론이 무용현장에서도 적용됨으로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무용동작 교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learning of dance movements, from the acquisition phase to the retention phase, through a method called VTR knowledge of performance. The VTR knowledge of movement method helps verify the effects of feedback and frequency in dance movements learning. The study examined the dance movements of 30 inexperienced graduate and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As part of the stud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one group which was provided with VTR knowledge of performance after each trial, the second group which was provided with VTR knowledge of performance after every five trial, and the third group which was provided with VTR knowledge of performance after every ten trial. Ten subjects were equally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 consisted of nine blocks of five trials, followed by a one-minute retention interval and a three-minute recess after each five-operation session. The experimental learning task consisted of a series of dance movements i.e. two steps – leap- kick- sedentary rolling- passe turn and–two steps which are fundamental to such dances as jazz dance. Subjects 'task performances were video-taped after each block for nine consecutive blocks with a baseline filming plus a retention test filming. Three expert dance specialists evaluated each subjects' filmed performance, scoring on a ten-point interval scale in terms of five criteria. A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 on the performance scores of practice phase revealed group main effect, block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A one-way ANOVA on the retention scores showed no group main effect, though.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suggest that knowledge of performance via VTR is a variable which affect performance but not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