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전도식기 아동의 한국화 표현지도의 통합적 접근 방안

Title
전도식기 아동의 한국화 표현지도의 통합적 접근 방안
Other Titles
An Inclusive Approach to Teaching the Expressions of Korean Paintings to Children in the Preschematic stage
Authors
윤희원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기 위해서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가 그 바탕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유아기부터 우리의 전통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자긍심을 지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서구문화의 무차별한 유입은 교육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미술교육에서도 전통미술보다는 서양미술중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통미술의 한 영역인 한국화에 대해서 어려운 옛 그림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양미술중심으로 흘러가는 유아교육에서 전통미술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화 지도는 전통미술교육의 활성화에 한 방법으로 유아미술에서 한국화 표현지도는 유아들의 창조적 표현능력을 키워 주고, 전인적인 인격형성과 정서순화에 기여하며, 전통미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형성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도식기 아동의 한국화 표현지도의 통합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첫째, 관련학문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한국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E유치원의 전도식기 아동 36명을 대상으로 2005년 9월 1일부터 2005년 10월 8일까지 총 6주간 동안 사전검사, 실험처치(한국화 프로그램),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E유치원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따라 영역별 활동내용을 통합적으로 선정하여 교육하고 있는 곳이다. E유치원의 9월 교육과정인 우리의 명절 ‘추석’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현재 유치원 실정에 맞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화 표현활동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적용하였다. 한국화 프로그램은 한국화 표현 및 감상을 통하여 한국화의 조형적 특징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재료와 도구의 이해, 선·색·여백의 이해, 주제 표현을 학습목표로 정하여 한국화 표현활동을 실시하였다. 셋째, 한국화 표현활동 후 한국화 표현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의 그림을 유아미술 전문가 2인이 유아 미술표현능력 평가척도에 따라 분석했다. 사전과 사후의 한국화 표현능력 향상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ver13.0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선에서는 t=8.765 로서 유의수준 0.1%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색에서도 t=-8.400으로 유의수준 0.1%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화면구성에서는 t=-9.653으로서 유의수준 0.1%에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형태와 주제표현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전체적인 평균을 보면, 사전보다 사후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실험 처지후의 선, 색, 화면구성, 전체의 유아미술표현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화 프로그램은 유아의 한국화 표현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 한국화 지도를 교과과정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유아 교사들의 한국화 지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유아에게 전통미의 가치와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We need to understand our culture to create new values for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in the 21st century. Thus, it is desirable to teach children from their infancy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ake pride in it. However, Western culture has had many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 and, as a consequence, art education also came to be focused on Western paintings rather than traditional Korean art. In particular, there is a strong fixed idea that Korean painting as an area of Korean traditional art is a difficult old art.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36 children in their preschematic stage at E Kindergarten at Seongbuk-gu, Seoul and the research was performed for six weeks from September 1 2005 to October 8 2005 through a pre-test, experiment (Korean painting program) and a post-test. E Kindergarten is educating activities selected inclusively by area according to the themes of life in the 6th Preschool Education Curriculum. Following the education programs for September, we prepared and applied a teaching plan for Korean painting expression activities using a project approach on the theme of “Chuseok, Our National Festive Day.” The Korean painting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s through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Korean paintings and, aiming at the goals of learning defined, children had Korean paint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materials and tools and the expression of line, color, space and themes.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children’s Korean paining expression abilities after the Korean painting activities, we analyzed their paintings draw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using a scale for evaluating children’s art expression abilities. We used SPSS 13.0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carried out t‐test to analyze children’s improvement in Korean painting expression abilities after the experimen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8.765 in line, showing a significance difference at significance level of 0.1%, t=-8.400 in color, showing a significance difference at significance level of 0.1%, and t=-9.653 in composition, showing a significance difference at significance level of 0.1%. As a whole, the average score was higher after the experiment than before, suggesting that children’s art expression abilities were improved in line, color and composition and as a whole.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form and thematic expression. It was proved that the Korean painting program using a project approach affected improvement in children’s Korean painting expression abilities. Accordingly, Korean painting education is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eschool teachers need to take interest in Korean painting education. It is because, as mentioned earlier, it provides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Korean traditional beau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