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희정-
dc.creator곽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4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the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including the knowledge, objectives, expectations and so on, after teachers in preschools learn the role of music therapy which can activate the social development and get some trainings for some music therapy activities like music play. For this study, 30 teachers at preschools in Seoul are chos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twice training programs consist of general activities such a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physical activity and pl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s changed meaningfully ; not only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p<.00) Second, teachers in preschools who misunderstood the music therapy show the proper understanding ; the music therapy is a kind of music education. thirdly, 9 parts (except 'being able to express their own emotion properly) of 10 sub-parts in the aim of music therapy are changed meaningfully. Next, 6 questions about the expectation also show meaningful change statistically(p<.05). Finally, 27 testees answered to a narrative question about music therapy training. Fourteen of them(51.8%) answer that the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is improved. Sixteen of them(59.3%) know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Eleven of them(40.7%)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music therapy trainings. Ten of them(37.0%) think that there are many things to learn through music therapy trainings. Three of them understand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This Change of Recognition Degree like these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enhances the demand of the music therapy training program and gives more chance to study musical activities to teachers. The more and more various musical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the mor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ill be stimulated. Furthermore, it will establish the effect and value of music therapy training program and expend the domain of it. And it will offer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training program for those who work for more various fields.;본 연구는 유아 발달 영역 중, 사회ㆍ정서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음악의 역할과 구체적인 활동 내용인 음악치료 놀이극에 대해 제시하고, 음악치료 활동을 유치원 교사에게 연수 형식으로 제공한 뒤, 이해도, 목적, 기대도를 포함한 음악치료의 인식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 30명을 선정하여 연수 전, 후에 검사를 실시한 후 인식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수 활동은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신체 활동 등 전반적인 음악치료 활동과 음악치료 놀이극으로 구성하여 총 2회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도 중 ‘음악치료는 장애아동만을 위한 전문적인 치료’라는 생각이 전혀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p<.00). 둘째, 이해도 중 음악치료가 일종의 음악교육이라고 이해한 유치원 교사들은 평균점수가 사전 3.1에서 사후 2.87로 다소 감소하여 음악치료가 일종의 음악교육이 아니라는 쪽으로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셋째, 음악치료의 목적영역 10개 하위영역의 변화를 종속표본 검증한 결과, p<.05 수준에서 ‘적절한 감정표현을 할 수 있다’를 제외한 9개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넷째, 음악치료의 기대도 6문항은 모두 p<.05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주었다. 다섯째, 음악치료 활동 연수에 대한 주관식 문항에서는 30명 중 27명의 교사가 응답하였는데,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는 대답이 14명(51.8%),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효과를 인식하였다 16명(59.3%), 음악치료 활동 연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11명(40.7%), 음악치료 활동 연수를 통해 얻은 점이 있다 10명(37.0%), 음악활동에서의 교사 역할의 중요성과 음악치료 활동 연수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는 대답이 3명(11.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음악치료 활동 연수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고 유치원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음악활동에 대해 연구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음악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는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유아들에게 음악활동을 제시하여 유아들의 사회ㆍ정서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음악치료 활동의 경험을 통해 음악치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아가 음악치료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 발달을 위한 음악활동으로서의 효과와 가치를 확립하여 일반 현장으로 저변을 확대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할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치원의 음악활동 실태와 교사 연수의 필요성 = 4 1. 유치원의 음악활동 실태 = 4 2. 교사 연수의 필요성 = 7 B. 유아의 음악활동 = 10 1. 유아 음악활동의 필요성과 의의 = 10 2. 유아 음악활동의 목적 = 11 3. 유아 음악활동의 내용 = 13 C.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과 음악치료 = 17 1. 유아의 사회성, 정서성 촉진과 음악적 개입 = 17 2. 음악활동에 따른 치료적 근거 = 21 3. 사회ㆍ정서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놀이극 = 24 D.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 28 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설계 및 절차 = 31 C. 조사 도구 = 31 D. 자료의 분석 = 32 E. 음악치료 연수 내용 = 32 1. 음악치료 연수 내용의 목표 = 32 2. 목표에 근거한 음악치료 연수 활동 내용 = 36 Ⅳ. 연구 결과 = 45 A. 음악치료 인지도 분석 결과 = 45 B. 음악치료 인식 변화 = 45 1. 음악치료 이해도 변화 = 45 2. 음악치료 목적 인식 변화 = 46 3. 음악치료 기대도 변화 = 48 4. 응답자들의 주관식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 = 50 Ⅴ. 결론 및 논의 = 53 Abstract = 55 참고문헌 = 57 부록 1 내용 분류에 따른 의견 내용 = 64 부록 2 인식 변화 설문지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22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치료 놀이극 중심의 음악치료 활동 연수를 통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ange of Recognition Degree in Preschool Teachers through Music Therapy Training - Focused on Music Therapy Play-
dc.creator.othernameKwak, Hee Jung-
dc.format.pagev,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