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가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수행에 미치는 효과

Title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가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수행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eaching vocational skill using video self-modeling on the performance of bakery displaying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uthors
정현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mployment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in independent life to everyone. Especially the severe disabilities who need extensive and ongoing supports, have to be provided actual vocational training in secondary schooling for successful employ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vocational skill using video self-modeling on the performance of bakery displaying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evaluate the skill of bakery displaying.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were taught in a community bakery during 10 to 14 sessions.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two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teaching vocational skill using video self-modeling increased the rate of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bakery displaying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Second, the maintained test conducted two weeks after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showed for all participants, the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e basic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ing vocational skill using video self-modeling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cquisition bakery displaying skill and maintenance.;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모든 사람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되는 기초가 되고 삶의 질에 기여하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많은 중도장애 학생들은 직업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현재 및 미래 환경들과 유리되어 있는 교육과정의 목표 아래, 학교 내에서의 간접적인 경험이나 사전기술 지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실제적인 기회를 제공받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접근에 대한 반성과 함께 중도장애 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육은 지역사회에서 취업 가능한 직종을 개발하고 직무를 분석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실제 고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성과중심의 접근으로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는 제안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중도장애 학생의 직업기술 습득, 일반화, 유지를 위해 사진, 비디오 자료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 제공이 효과적이며, 이미지 제공에 있어서 자기모델링이 또래모델링에 비해 훈련의 효과성이 더욱 크다는 것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이 직장 환경으로 접하게 될 수 있는 지역사회 제과점에서 외부의 촉진이나 지시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진열하기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비디오 피드포워드(feedforward) 개념의 자기모델링 자료를 활용하여 중재하고, 그것이 직무의 독립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의 한 정서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2학년에 재학 중인 자폐와 정신지체가 중복된 중도장애 학생 3명이었고,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하여 직업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수행이 증가되며, 중재 종료 2주 후에도 증가된 직무수행이 유지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모든 실험은 실제적인 직업 환경 가능성이 있는 지역사회의 제과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실험 설계는 참여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이고, 중재는 교실에서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를 관찰한 후, 실제 지역사회 제과점에서 10개의 과제분석된 단계별 독립적 수행여부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루어졌으며, 중재 종료 2주 후에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장애 고등학생에게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를 통하여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3명의 연구참여자는 10~14회기에 걸쳐서 90%~100%까지 독립적인 수행율이 증가되었다. 둘째, 증가된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가 중재 2주 후에도 3명의 연구참여자 모두에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는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의 독립적인 수행을 증가시키고 유지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학생의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갖는 장점, 연구참여자의 사전 경험, 실제 지역사회 활동이 주는 자연적 강화의 이용 등이 논의되었다. 예측하지 못한 상황의 발생이 연구참여자들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때, 중도장애 학생의 직업기술 교수가 더욱 유의미한 활동이 되기 위해서, 직업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행동, 과제수행의 질(시간, 속도, 정확성 등) 향상, 문제 해결력 습득을 위한 중재를 포함한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하위 환경에서의 실제적인 직업기술 교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