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성란-
dc.creator홍성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13-
dc.description.abstractDiary writing is the most common type of writing for students but it is still burdensome to students because it requires writing everyday. It is difficult to find materials of writing in routine everyday life and is very burdensome to follow the form of thoughts, feelings and reflections. In particular,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hav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stimulating and structuring thoughts to write. Previous researches emphasized that the use of mind map activated students’thinking and improved the quantity of ideas. Thu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training through mind map on the written expression and diary writing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wenty from 5th and 6th grade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were selected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0). Both groups had a pre-test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on diary writing attitude, the contents of diary written for a week, and the number of times to write diary for a month). After the pre-tes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the structure of diary, how to find topics and how to order mind map for 15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but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the structure of diary and how to find topics for only 1~2 sessions and then had ordinary diary writing education afterwar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a post-test, which was identical to the pre-rest. Diary writing attitude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of 5 point Likert scale asking about students’ perception on, response to and process of diary writing. The diary was evaluated based on the story content, the length, and the accuracy (spelling, spacing, punctuation marks, and grammar) of writing.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analyzed through ANCOVA with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using SPSS W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writing expression,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contents of diary writing. That is,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contents of writing than those who had ordinary diary writing.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length of diary writing. That is,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length of writing than those who had ordinary diary writing. 3. As for the accuracy of diary writ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accuracy of spelling and punctuation marks but not in the accuracy of spacing. That i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accuracy of spelling and punctuation marks in diary writing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accuracy of gramm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use of particles and subject predicate agreement but not in the sequence of tenses, the use of predicative, and the use of conjunctions. That i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use of particles and subject predicate agre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o had ordinary diary writing. With regard to the diary writing attitude and frequency in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general diary writing attitude.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general diary writing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who had ordinary diary writing. 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response to diary writing and the process of diary writing but not in perception on diary writing.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response to diary writing and the process of diary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who had ordinary diary writing 6.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frequency of diary writing.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mind map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frequency of diary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who had ordinary diary writing.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diary writing training through mind map appeared to be generally effective in improving written expression and writing attitude in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That is, mind map activities helped students, who did not know what to write, find materials of diary writing, stimulated thoughts related to materials of writing to enrich the contents of diary writings, gav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developed confidence in writing in students who were afraid of writing and, conseque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riting attitude. Thus, mind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be applicable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a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writing expression and developing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in elementary students with writing expression disabilities.;일기쓰기는 학생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글이기도 하지만, 매일 써야하는 부담감 때문에 학생들이 쓰기 싫어하는 글이기도 하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글감을 찾기가 어렵고, 생각과 느낌 그리고 반성을 꼭 집어 넣어야 하는 형식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특히, 쓰기장애 학생의 경우에는 글을 쓰기 위해 생각들을 촉진하고 구조화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마인드 맵을 사용했을 때 학생들의 사고활동이 활발해지고 아이디어의 양이 향상되었음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인드 맵’ 활동이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과 일기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인천 시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쓰기장애 학생 2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두 집단에게 모두 사전검사(일기쓰기태도 질문지 응답과 1주일간의 일기 내용 분석, 한달간 쓴 일기 횟수)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15회기(각 회기 당 40분)의 일기형식, 글감잡는 방법, 마인드 맵 정리 방법에 대한 교수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1-2회기동안 일기 형식, 글감잡는 방법에 대한 교수를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일반적인 일기쓰기 과정을 따르도록 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일기쓰기태도는 일기에 대한 인식, 반응, 수행과정을 묻는 5단계 Likert 척도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일기 내용은 글의 내용, 글의 길이, 글의 정확도(철자 정확도, 띄어쓰기 정확도, 문장부호 정확도, 문법 사용의 정확도)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검사 결과 처리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쓰기표현력에 있어서, 1. 쓰기장애 학생의 일기글의 내용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쓰기장애 학생의 일기쓰기표현력은 글의 내용에서 마인드 맵 활동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더 향상되었다. 2. 쓰기장애 학생의 일기글의 길이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쓰기장애 학생의 일기쓰기표현력은 글의 길이에서 마인드 맵 활동에 대한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더 길어졌다. 3. 쓰기장애 학생의 일기글의 정확도에서는, 철자 정확도, 문장부호 사용 정확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띄어쓰기 정확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마인드 맵 활동에 대한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철자 정확도, 문장부호 사용 정확도에 있어서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문법사용 정확도에서, 조사 사용, 주술 호응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난 반면, 시제호응, 꾸미는 말 사용, 접속사 사용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마인드 맵 활동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조사 사용, 주술 호응에 있어서 더 정확성을 보였다. 쓰기장애 학생의 일기쓰기 태도에 있어서, 4. 정의적 측면의 일기쓰기 태도 전반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마인드 맵 활동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일기쓰기 태도 전반에 있어서 더 크게 향상되었다. 5. 일기쓰기에 대한 반응, 일기쓰기 수행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난 반면, 일기쓰기 인식면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마인드 맵 활동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일기쓰기에 대한 반응, 일기쓰기 수행과정에 대한 태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6. 일기쓰기 횟수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마인드 맵 활동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일기쓰기를 한 통제집단보다 일기쓰기 횟수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인드 맵을 통한 일기쓰기 지도가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 및 쓰기 태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인드 맵 활동은 무엇을 써야할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쓸거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쓸거리와 관련된 생각을 촉진시켜 일기글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며, 또한 풍부한 쓸거리는 일기쓰기에 두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글쓰기의 중요성 뿐 아니라 일기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어 학생들의 글쓰기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인드 맵 활동이 교육 현장에서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 향상과 쓰기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쓰기표현의 이해 = 7 B. 쓰기장애 학생을 위한 쓰기 지도 = 12 C. 일기쓰기 이해 및 지도 = 17 1. 일기쓰기의 개념 및 특성 = 17 2. 일기쓰기 지도 = 20 D. ‘마인드 맵’ 교수 = 23 1. ‘마인드 맵’ 개념 및 특성 = 23 2. ‘마인드 맵’ 과 쓰기표현 = 26 3. ‘마인드 맵’ 작성 방법 = 27 4. ‘마인드 맵’의 교육적 효과 = 28 E. 선행연구 = 29 Ⅲ. 연구 방법 = 34 A. 연구대상 = 34 B. 실험도구 = 36 C. 실험절차 = 40 D. 자료처리 = 44 Ⅳ. 연구 결과 = 47 A. 쓰기표현력 = 47 B. 일기쓰기 태도 = 56 Ⅴ. 논의 및 제언 = 61 A. 논의 = 61 B. 연구의 제한점 = 67 C. 제언 = 68 참고문헌 = 69 부록 = 79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02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마인드 맵을 통한 일기쓰기 지도가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 및 일기쓰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Diary Writing Training through Mind Map on the Written Expression and Diary Writing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Written Expression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Hong, Seong-Ran-
dc.format.pageix,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