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28-
dc.description.abstract음악치료사는 다른 직업과 달리 음성을 직업적 도구로 사용할 뿐 아니라 치료적 도구로 삼는다. 따라서 치료사의 음성은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음성의 이상이 치료를 실시하는 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쉽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음성 만족도를 조사하고 실제 임상에서의 목소리 사용에 있어 크기와 대상에 따른 음성 조절의 기술적 어려움이 있는지, 음성 비기능이나 음성 변화를 겪는지, 그리고 목소리 훈련의 필요성을 느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를 위한 표본은 서울시에 위치한 세 곳의 대학원에서 음악치료 석사과정에 있는 재학생과 음악치료사, 인터넷 메일에 답변한 16명의 음악치료학과 졸업생으로 구성되었다. 총 99명의 설문지에서 부적합한 2부를 제외하고 97부의 답변을 분석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상적 목소리 사용과 세션에서의 목소리 사용에 관한 인식, 음성 훈련의 필요성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대부분의 문항은 리커트(likert) 4단계 척도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음성 인식 면에서 음악치료사군은 자신들의 일상적 목소리 사용보다 노래부르는 목소리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임상에서 크기의 부적당함이나 목소리 조절 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각 40% 내외였다. 일상에서 심리적인 원인으로 인해 음성사용에 어려움을 경험한 경우는 전체의 73.2%였고 목의 통증이나 이물감을 느끼는 등의 음성 비기능을 자주 경험하는 경우가 전체의 25.7%였다. 설문의 약 93%의 답변자가 발성 및 노래부르기 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음악치료에서의 의사소통, 치료의 질, 그리고 개인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의 순으로 음성훈련의 효용을 답하였다. 음성은 신체적 상태뿐 아니라 심리적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발성과 노래부르기 활동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인성이나 자아개념 등 개인 내적인 요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치료사들을 위한 음성 훈련 과정이 개설된다면 치료사가 음성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데에 정보를 주고 음성 훈련을 통해 내적인 성장과 자기표현의 폭을 넓혀서 자신감을 더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서 치료사의 음성 기술 향상은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 있어 정서 교류의 안정성과 치료의 질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개개인이 행하는 음악치료 세션과 국내의 음악치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더할 것이다.;A music therapist uses not only professional but also therapy tool unlike any other vocation. Such a vocal use of music therapist influences the quality of therapy directly and indirectly.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vocal satisfaction and whether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ies of singing or pinpointing in terms of the use of voice, moreover, to examine whether it has a necessity of voice dysfunction voice changes or a training of voice in terms of psychological factor.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of this is consisted of students and music therapist who are enrolled in three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 that is located in seoul city and 16 alumni of same schools, who answered by internet. As a result, the research is analyzed its conclusion from the 97 meaningful answered sheets except 2 among 99 ones.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is made up of just vocal use, vocal use in session and the necessity of vocal training. Most of the questions are made up of measurement of 4 degrees. The result of analysis is turned up by standard division and percentage. Consequently, the group of music therapist has a less satisfied in singing voice than their daily use of voice. The cases of having a difficulty of inappropriateness of the volume or the modulation of voice is proved less and lore 40%. In daily, the case of having a difficulty of vocal use in psychological factor is proved 73.2%, and the case of experienced patients of throat pain or vocal dysfunction often is proved 25.7%. The 93% of the whole were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of the training of singing and expecting of opening the curriculum of the vocal training clas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therapist, the quality of therapy and encouraging of self-confidence. It is said that the voice is mirrored physical and mental statue and shouting, toning and singing has a factor of therapy effect of regulating physical and mental statue. In this way, if the class for music therapist is opened as the course of vocal training, it is very helpful for the therapists to manage their voice in a good way and improve their inner growth and self-confidence.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vocal technique elevates the quality of music therapy and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2 II. 이론적 배경 = 4 A. 음악치료사의 음성 기능과 음성 훈련 = 4 1. 음성의 일반적 기능과 음성 생성 = 4 2. 음악치료사와 음성의 기능 = 8 가. 진단을 위한 음성 청취 = 8 나. 치료를 위한 음성 활동 = 10 3. 음악치료사의 음성 문제와 음성 훈련 = 12 가. 직업적 음성 사용과 음성 문제 = 12 나. 음성 훈련과 음성적 치료의 방법 = 14 B. 음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소 = 18 1. 스트레스와 음성 = 19 2. 자아와 음성 = 23 III. 연구 방법 = 28 A.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 28 B. 조사 도구 = 28 C.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 = 29 IV. 연구 결과 = 31 A. 음악치료사의 음성 사용 = 31 1. 응답자의 구성 = 31 2. 음성 만족도 = 33 3. 음성 기능과 음성 문제 = 36 4. 음성 훈련 = 44 V. 결론 = 49 A. 논의의 요약 = 49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62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03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치료사의 음성기능과 음성훈련의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necessities concerning the vocal training and the vocal function in music therapist-
dc.creator.othernameLee, Sho-Young-
dc.format.pagev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