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 Disability-Awarness Program on highschool students toward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Authors
문정옥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등학교 시기는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눈앞에 두고 있는 장애 학생이나 일반 학생에게 서로에 대한 긍정적 이해와 태도가 준비되어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초등ㆍ중학교에서 그나마 부분적으로 노력해 온 물리적ㆍ사회적ㆍ정서적 통합의 노력들이 오히려 고등학교에 와서 단절되고, 통합교육이 분리교육 상황으로 전개되는 안타까운 현실에 놓이게 된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3년부터 「특수교육 발전 종합계획(‘03~’07년)」에 의거하여 전국 모든 유·초·중·고등학교에 일반 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더불어 사는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한 학기 1회 이상 장애이해 교육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전국 유·초·중·고등학교에서 한 학기 1회 이상 장애이해 교육을 실시한 학교 비율을 97.6% 보고하고 있으나 그 효과나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실제 실시 여부는 알기 힘든 실정이다. 더구나 태도변화를 가져오기에 충분한 프로그램이나 실시기간에 대해서도 만족할만한 연구 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한편 여러 가지 전략이 혼합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통한 태도 변화연구는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장애이해 교육 방법의 하나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일반 고등학생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K일반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여학생 54명이다. 실험집단 1개 반 27명과 통제집단 1개 반 27명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해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한 학기 1회 장애 정보 강의만을 제공하였다. 실험 절차는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로 이루어졌으며, 실험 처치는 총 9회기로 실행되었다.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는 Siller가 개발한 장애태도 요인분석 척도를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차이점수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제공된 실험집단과 한 학기 1회 장애 이해교육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의 변화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제공된 실험집단과 한 학기 1회 장애 이해교육에 참여한 통제집단 간에는 장애 학생에 대한 ‘접촉 시 긴장’의 태도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한 학기 1회 장애이해 교육보다는 한 학기동안 구조화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의 변화 정도에 효과적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 연구는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 고등학교의 분리교육 현실상황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장애이해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Previous studies have showed that Disability-Awareness Program combined with various strategi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studies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change through Disability-Awareness Program haven't been reported yet.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ly qualitative difference in terms of effectiveness between being dispos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once a semester and being dispos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using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if there will be an improvement in public high school students' accep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Disability-Awareness Program combined with various strategies are conducted to non-disabled students systematically in adaptation classes. Also, it has attempted to make a sugges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s of segregated education by trying and introducing programs which non-disabled teachers can us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54 second grade non-disabled girl students of two classes at K high school in Gangdonggu for which the researcher has worked. This study included one experimental group with 27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s and one control group with 27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a lecture of disability information once a semester. The procedure of research was composed of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9 sessions in total. An adapted form of Siller's Disability Factor Scale-General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o determine accep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epending on being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were analyzed by t-testing differences in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1.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cep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n't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2.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ub-category of accep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n't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his study indicated that being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systematically and continually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non-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than being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once a semes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supplementing segregated education situation at public high school and is needed to be research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