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0 Download: 0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상에 대한 노래심리치료의 효과

Title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상에 대한 노래심리치료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ng Psychotherapy on Depression for Elderly Stroke Patients
Authors
장지윤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군자
Abstract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년기 만성 질환의 발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노년기 질환의 하나인 뇌졸중은 환자들로 하여금 신체 기능과 사회적 역할의 상실, 가족간의 마찰, 고립감 등의 새로운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함으로써 우울증을 흔히 일으킨다. 노인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증은 일상생활기능을 더욱 떨어뜨리고 재활을 어렵게 하므로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필요로 하지만,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는 주로 신체장애나 언어장애의 재활에 머물러 있어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노래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내적 갈등을 자연스럽게 투사하도록 유도하여 내면의 문제를 다루는 노래심리치료는 이러한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에 처한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상을 치료하기에 적합한 기법으로 여겨져 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노인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증상 감소에 노래심리치료가 효과적인 기법인가를 대조군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서울시에 있는 두 곳 노인주간보호센터에서 우울증상을 지닌 65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들을 각각 10명씩,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두 기관 중 한 기관에서는 노래심리치료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한 기관에서는 음악치료를 시행하지 않았다. 전체 대상에게 16주간의 치료기간 전과 후에 노인우울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증상을 평가하였다. 노래심리치료를 시행한 집단에서는 환자들의 심리적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치료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의 목적에 맞는 노래들을 선곡하였다. 각 집단별로 치료 전후의 우울점수를 비교 검정한 결과, 노래심리치료 집단에서는 치료 후에 노인우울척도 점수가 의미 있게 개선된 반면(t=3.910, p<0.01), 대조군에서는 우울점수가 오히려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t=-2.963, p<0.05). 한편 치료 전과 후의 우울점수 변화를 두 집단간에 직접 비교 검정한 결과, 노래심리치료 집단은 대조군에 비해서 뚜렷이 나은 치료효과를 보였다(t=-4.891, p<0.01). 또한 노래심리치료 집단에서는 세션을 거듭할수록 환자들의 노래 부르는 태도가 능동적으로 변해가고 긍정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이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써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상에 노래심리치료는 노래를 활용한 체계적인 심리적 접근을 통하여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래심리치료는 신체 질환을 지닌 노인 환자들에게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균형 잡힌 전인적 재활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도움으로써 많은 노인 환자들의 회복과 치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abling diseases in the aged population, which often brings about depression. Most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stroke and comorbid depression need prope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for which their therapists and caregivers don't have enough concern because of their primary interests focused on the rehabilita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Song psychotherapy, by which participants are led to voluntarily project their inner conflicts with the help of songs focused on their main psychological issues,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useful therapeutic technique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but the effect of this therapy applied to the stroke patients was not intensively studi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ong psychotherapy on depressive symptoms for elderly subjects with stroke, using controlled comparison method. Twenty elderly subjects with stroke who were over age 65 and attending one of the two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ten at each facility, were recruited. At one facility, group song psychotherapy was applied once a week for 16 weeks, while at another facility any approach of music therapy never applied. All subjects were assessed by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at the baseline and after 16 weeks' study period. We divided the treatment process of song psychotherapy into three stages,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songs for the therapeutic goals which fit for each therapeutic stage focusing on their main psychological issues. When the change in GDS score of each group was investigated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t=3.910, p<0.01) in the song psychotherapy group, while there was significant aggravation(t=-2.963, p<0.05) in the control group. When the mean changes in GDS score during study period were directly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was that the effect of song psychotherapy was prominent(t=-4.891, p<0.01). The attitude of subjects in song psychotherapy group was observed to become more and more active with increasing positive verbal communications after each session. By utilizing well-devised systemic psychological intervention guided by appropriately selected songs, song psychotherapy has therapeutic effect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for the elderly with stroke. Song psychotherapy is expected to help many elderly patients with various physical disabilities be recovered and healed to the sufficient extent by providing them the opportunities for holistic rehabilitation which is balanced not only in physical but also in psychological asp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