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목적의 영어 듣기 활동이 한국 대학생들의 듣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목적의 영어 듣기 활동이 한국 대학생들의 듣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Explicit Classroom Instruction Regarding Discourse Markers on Academic Listening Comprehens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uthors
김은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영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을 위해 구두 언어를 이해하는데 있어 듣기 능력은 기본적인 기능이다. 또한 최근에 세계화와 더불어 점점 더 많은 대학에서 영어 강의를 늘리고 영어 강의가 보편화 되어 가면서 듣기 능력 중에서도 학문적인 목적(English for Academic Purpose)을 위한 듣기 능력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학문적인 목적의 영어 강의 듣기는 높은 영어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도 어려운 듣기의 형태로써 영어 강의를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이 고안되어야 하나 이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는 영어 강의를 듣기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학문적인 목적의 영어 강의 듣기 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 시키는 방안으로써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짧은 영어 듣기 수업이 대학생 학습자 의 듣기 능력과 담화표지어에 대한 활용도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 담화표지어를 통한 영어 강의 듣기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1분에서 2분 사이 길이의 짧은 영어 강의(mini-English lectures) 형식의 듣기 수업을 9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 자료는 복합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집단 간 듣기 능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전 사후 검사, 실험 집단의 듣기 능력의 변화를 심도 있게 살펴보기 위한 회상 과제, 담화표지어룰 중심으로 한 수업에 대한 태도와 담화표지어에 대한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의 하위 학습자들의 사후 평가 점수에서 하위 정보 듣기 능력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짧은 영어 강의 듣기 수업이 영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영어 강의 듣기 능력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상·하위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3회의 회상과제를 실시한 결과 상·하위 학습자들이 모두 영어 듣기 실력이 향상되고 그 변인이 담화표지어임을 알 수 있어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짧은 영어 강의 듣기 수업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강의 듣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와 면담 결과 학습자들은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영어 강의 듣기 수업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영어 강의 듣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주고 자신감을 높여준다고 응답하고 있다. 또한 거시 담화표지어는 강의 주제를 알려 주며 미시 담화표지어는 세부 사항을 듣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영어 강의 듣기 연습은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서는 영어 강의 듣기 능력의 향상을 정의적 측면에서는 불안감 해소 및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상으로 담화표지어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목적의 영어 듣기 수업이 대해 지금까지 논의 한 실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학문적인 목적의 듣기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까지 영어 강의 듣기는 학문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한 형식의 담화로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을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학습자들에게 담화 표지어를 소개하고 담화표지어가 영어로 이루어지는 강의 중 어떤 신호 역할을 하는지 알려주고 듣기 연습을 한다면 영어 수준이 높지 않은 학습자도 영어로 이루어지는 강의 형식의 듣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제 영어 강의수업을 하는 상황에서 영어 강의자는 담화표지어가 학습자들의 듣기 이해 과정을 돕는다는 것을 주지하고 적절한 담화표지어를 활용하여 강의 주제와 구조를 알려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거시 담화표지어와 미시 담화표지어를 구분하여 교수할 필요가 있다. 즉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담화표지어가 거시 담화표지어와 미시 담화표지어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들이 학문적인 목적의 영어 듣기에서 담화표지어를 종류에 따라 효율적으로 담화표지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Listening comprehension has been identified the first and utmost language skill to achieve communicative competence. Recently academic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have become important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second language learners engaged in learning English for academic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xplicit classroom instruction regarding discourse markers on listening to short English lectures and attitude toward academic listening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lso, effective way of teaching listening for academic purpose will be sough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21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f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licitly taught the role of discourse markers and how the information can be signalled by them. They were trained to listen to a short mini-lecture using discourse marker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the list of discourse markers and introduced usefulness of them.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ment listening scores between the low-level participa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explicit instruction on discourse markers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improve academic listening skills among low-level learners. Secondly, the result of three recall tasks completed by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at the score of each task increased over the whole period of the experiment. In this regard, discourse markers are important devices for the listener to listen to a English lecture more effectively. Both macro-markers and micro-ma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recalling the information units of the lecture scripts. Thirdly, a survey and interview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hat participants gained self-confidence on listening English lectures and they reported that the instruction was effective to improve their academic listening skills. In addition, both kinds of markers were found out to be facilitate the listening process positively. Macro-markers were reported to be effective to listen to the details of the lecture. Furthermore, the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learners are not familiar with discourse markers and the usefulness of them. As the findings suggest, discourse markers is an effective and productive key device for them to understand the discourse structure of academic lectures. Teaching implication for the current study is that listening to an academic lecture could be feasible among low-level students as well if discourse markers are taught and the lecturer uses appropriate discourse markers for the liste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