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미술관 교육전문가와 교육프로그램 현황 연구

Title
미술관 교육전문가와 교육프로그램 현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seum Educators and Education Programs for Museums -Focused o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Since debates on museum education began to become invigorated in the early 1990s, the museum has transformed into a leading place for cultural and open education which performs art education linked with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art works. Recently, consumer demand for that sort of education is on the rise. Accordingly, the museum has enthusiastically developed and operated education programs every year to meet the demand, however, the operation system of its education department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educator who studies, develops and runs its education programs. Consequently,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programs failed to satisfy the consumer demand. The current tasks of museums in Korean are to guarantee autonomy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museums and train educators capable of developing, studying and implementing the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s which reflect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a museum, so that museums carry out their various educational functions required for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ims at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supplementing the operation system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museums in order to realize the high quality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a museum, and emphasizing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ducators capable of developing, studying, operating and evaluating education programs performed at museums and to run such programs by professional educators. Thus,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museums which are currently running and the activities of educators in charge of planning and operating the education programs. Subsequent to this analysis, the problems a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plans are present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state of the museum education in Korea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so that the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s can be implemented in museums. To pinpoint the problems more clearly, the case study is adopted as a method of this stud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of the educat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museum in Korea. There have been general comparative studies on education program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eums, however, no specific case study has been made for the domestic education programs of museum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lmost every museum in Korea which is interested in education-related area of a museum.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material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museum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a museum. Second, it examines the function of museums that is expand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modern times. Third, it examines the history and types of museum education implemented in the actual museum, and it also examines the definition of educators who are in charge of museum education and their desirable qualifications and roles. Thus, the above examination is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 programs and necessity of educators in museum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following problems are pinpointed in this study. First, there is no educator who fully understands the role of education expert and has professional skills. Regarding the education programs, there is no clear objective of the education programs,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s are insufficient. Furthermore, even if there is a currently running education program, it is far from being actively implemented.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the following plans are suggested: first, a structural rearrangement for the smooth proceeding of education programs and an increase in financi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those programs; seco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oth qualified educators who are capable of managing and directing education programs as a whole and museum personnel who are virtually in charge of operating the programs; third, the specialization and fractionalization of all the posts belonging to the education department so that the staff members can concentrate on their own duties, and more professional and efficient operations of education programs can be carried out in the museum; forth, making the education department take charge of training and retraining the entire staff, and making museums voluntarily support these training courses for their personnel, especially incumbent museum workers; fifth, the employment of professional educators who possess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sixth, the creation of programs for museum officials and their own employees by museums aimed at training those who specialize in museum work in order to contribute to raising and attracting professional museum workers; sevent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ore professional and various programs; and finally, the creation of mutual cooper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r community organizations. In short,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ic education department with distinguished personnel i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 develop, study and operate superior and various museum education programs, setting a good example of the public museum that embraces visitors, other museums and schools. Consequently, the problems and corresponding alternative 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enable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 be reborn as a leading museum of Korea in terms of the museum education.;1990년대 초, 미술관교육의 논의가 한국에서도 본격화되면서 미술관은 감상교육과 연계된 미술교육을 실시하는 문화적 열린 교육 학습장으로 인식되어 그에 따른 소비자의 요구도 늘어가고 있다. 이에 미술관은 매년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의욕적으로 개발, 운영하고 있으나, 아직 미술관 교육부서의 운영체계가 미비하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운영하는 미술관 교육전문가가 없다보니 교육프로그램의 질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만한 것이 못되었다고 본다. 우리나라 미술관의 현행과제는, 21세기에 요구되는 미술관의 다양한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미술관이 가진 미술관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우수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연구, 실행해 나갈 수 있는 미술관 교육부서의 독립적인 위치확보와 양질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는 미술관 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술관의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질 높은 미술관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미술관 교육부서의 운영체계의 보완과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운영, 평가할 수 있는 능력 있는 미술관 교육전문가의 확충, 미술관 교육전문가에 의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진행이 필요함을 강조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진행하는 미술관 교육전문가의 활동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질 높은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미술관 교육의 현황을 실제적인 맥락에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보다 분명한 문제제기를 위해 사례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그 대상으로는 한국의 대표 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과 미술관 교육전문가의 활동으로 국한하였다. 그 동안 해외와 국내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론적인 비교 연구는 있어왔지만, 국내 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는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관 교육관련 분야에 관심을 가진 우리나라 모든 미술관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으며, 미술관 교육부서의 문제를 풀어 나가는데도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첫째, 미술관의 개념과 역사를 알아보았다. 둘째, 종전의 미술관의 기능에서 확대되고 변화한, 현대가 요구하는 변화된 미술관의 기능을 알아보았다. 셋째, 미술관 교육의 역사와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관 교육의 유형을 알아보고, 미술관 교육을 담당하는 미술관 교육전문가의 정의와 필요한 자질과 역할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이를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미술관 교육전문가의 필요성을 탐색하는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현대미술관의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가장 먼저 지적할 수 있는 문제점은, 미술관 교육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숙지하고 있는 전문적인 자질을 가진 미술관 교육전문가가 부재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면에서도, 교육프로그램의 명확한 목표가 부재하며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미비함과 운영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 자체도 비활성화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관 교육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미술관 교육부서 조직체계의 정비와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국가적인 재정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등을 전반적으로 주관하고 지휘할 능력과 자질을 갖춘 미술관 교육전문가(Educator)와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교육담당자의 충원이 요구된다. 셋째,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담 분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미술관 교육부서의 직제의 전문화와 세분화가 요구된다. 넷째, 미술관 교육부서는 미술관 직원들의 교육과 재교육을 담당하여야 하며, 미술관은 미술관 직원들, 특히 현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담당자의 교육과 재교육을 적극 지원하여야 한다. 다섯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에 맞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교사진 확보가 요구된다. 여섯째, 미술관 관계자와 내부 미술관 직원의 재교육을 위한 전문직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미술관 전문인력 양성과 인력확보에 기여해야 한다. 일곱째,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다. 여덟째, 문화관광부나 지역사회조직과의 상호 협력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결국, 국립현대미술관이 정예 인원으로 이루어진 체계적인 교육부서 조직을 갖추어 질 높고 다양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운영하여 관람객과 미술관, 학교를 넘나드는 공공미술관의 선도적인 역할을 보여줌으로써, 미술관 교육 분야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문제를 제기하고 타당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