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0 Download: 0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도형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도형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 child's figure recognition ability by the collage technique.
Authors
임은이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인간은 출생으로 시작하여 성장을 거듭하며 후에 사망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흘러가는 세월 속에서 신체, 정서, 사회성, 인지의 모든 면에서 변화를 겪게 된다. 이 변화를 발달이라고 부른다. 아동의 발달은 신체, 인지, 사회ㆍ정서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발달 양상을 보이므로 유아의 이러한 발달시기의 특성, 더 나아가 개별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기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미술활동을 제공함으로 아동의 인지영역 중 도형개념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제공한 미술활동은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것으로, 꼴라쥬 기법이란, ‘풀칠’, ‘바르기’ 등 의 의미로서,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 조각, 모래, 나뭇잎 등 여러 가지 것을 붙여서 구성하여 조형물을 만들어내는 조형활동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조형활동은 유아의 내면세계와 그들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다양한 표현방법의 경험은 유아들의 정신적, 신체적인 발달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꼴라쥬 기법의 붙이기, 찢기, 자르기, 구성하기 등을 적용한 조형활동의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이를 5세 아동의 미술활동에 적용함으로써 도형인지능력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남, 여 아동의 도형인지능력에 대한 차이도 같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유아의 인지 발달과 꼴라쥬 활동, 도형개념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아동의 도형개념의 발달에 끼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유치원의 전도식기 유아를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기초적인 도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심리학 연구실 김재은 박사(1999)가 개발한 ‘유아지능검사’ 중에서 ‘S-공간능력과 도형능력’을 검사하는 영역인 ‘네모 맞추기와 본뜨기 검사’를 연구목적에 따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적용한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은 도형의 형태를 구분하기, 도형의 이름을 명명하는 것, 도형 간의 차이를 분별하고, 나아가 도형의 구성과 직접 표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두 집단 사이에서 공간ㆍ도형개념에 있어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접한 집단의 아동의 공간ㆍ도형개념이 비교집단보다 큰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의 아동은 꼴라쥬 기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을 통해 도형을 구분하는 단계와 이름을 명명하는 단계를 거쳐, 도형을 직접 표현하고 구성하는 각 단계의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비교집단보다 공간ㆍ도형개념에 있어 더욱 큰 발달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남, 여 아동의 도형인지능력에 대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꼴라쥬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도형인지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증명되었다.;Children change all aspects of their body, emotion, sociality, and awareness as time passes, never stopping, through adulthood into death. This change is called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a child shows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in different aspects of body, emotion, sociality, and awareness, so it is important to offer experiences which correspon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appropriate development age for the child. Further, it is important to offer experiences which correspon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level for the individual child.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e affirmative influence about figure concepts in field of recognition of children through offering an art activity which corresponds with the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in babyhood. The offered art activity is the application of collage technique, which means "paste", wherein the children utilize many different objects, such as prints, clothes, metal objects, sand, wood pieces, and leaves. This, along with the making of models, is one of the formative activities. These formative activities offer the chance to express the child's mind and inner world, and the experience of various expression methods helps the spiritu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child. In this study, I drew up a lesson plan about formative activities which applied paste, rip, cut, and formation and applied this study in art activities of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 considered recognition and changes in figure recognition ability and tried to discover a difference of figure recognition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For this, I considered the influence that art activities which utilize collage technique have on the development of figure concept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a child's recognition development, collage activity, and figure concepts. To draw up the lesson plan, I organized the lesson course on the basis of a basic collage activity guide, which is from a children's art program. To begin the study, I chose 30 children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29 as a comparison group. The subjects were children in kindergarten in Seoul, ages 4-7. I used a child intelligence test, developed by Dr. Kim, Jae-Eun at Ewha University, Education Psychology, College of Education. One aspect of this test was the "fixed into square and modeling after a pattern test", which is a field test of S- space ability and figure ability, to which would be able to estimate the basic figure ability of the subjects. The art activity program whic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utilized the collage technique, consisting of division of figure shapes, naming the figures, class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figures, and construction of figures and direct expression. I was able to get the results of following through this study. A difference of space and figure concepts between the two groups of this study was discovered. The group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art activity program which utilized collage technique improved their space and figure concepts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It can be said tha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improved their space and figure concepts through art activity which was utilized because they could experience each level's aspect, which were naming the figures, class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figures, and construction of figures using the collage technique and direct expression much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However, the study did not discover a difference about figure recognition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It was demonstrated that an art activity program which applied the collage technique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 child's figure recognition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