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0 Download: 0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실태와 개선방향

Title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실태와 개선방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Improvement for subject of Science Teacher's Guide in the middle school
Authors
조윤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교과용 도서는 교육과정을 구체화한 자료로 교수-학습 활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충실한 교과서를 가졌다 하더라도 교과서 이외에 별다른 학습 자료가 주어지지 않는 현실에서 교과서를 가지고 가르쳐야 하는 교사들에게 있어서는 교사용 지도서야말로 가장 소중한 지도 자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점을 조사하여 과학 교육의 목표와 교과 내용의 특성에 가장 알맞은 새로운 교사용 지도서를 만드는데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활용 실태와 문제점 및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과학교사를 임의로 선정하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회수된 86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응답 빈도와 그에 따른 백분율을 구하기 위하여 SPSS WIN Ver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총론 부분의 활용도는 미비하며 특히 총론 부분에서 가장 보충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영역은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과 ‘과학교육의 동향’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결과에서도 가장 응답률이 낮게 나온 항목으로 교육과정 개정시마다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최신 과학 교육 동향에 관한 내용이 지도서에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각론 부분의 활용도는 총론에 비해 상당히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과 직결되는 ‘차시별 지도의 실제’ 부분이 가장 보충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론의 차시별 실제에 해당하는 영역 중 실제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영역인 ‘학습 내용 해설 및 활동 부분’이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지도서에 ‘실험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대안’이나 ‘대체 실험이나 대체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과학 교과의 특성상 실험을 통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넷째, ‘학습내용 및 활동’과 ‘참고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교사용 지도서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교사가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을 위해서 교사용 지도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습내용 및 활동’과 ‘참고 자료’가 실제 수업과 직결되어 활용률이 높은 만큼 보완점과 개선점도 가장 많은 영역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이 교재 연구나 교수-학습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참고 자료가 ‘인터넷’ 52.3%, ‘시중 참고서’ 17.5%, ‘교사용 지도서’ 12.8%, ‘시청각 자료’ 11.6% 순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사용 지도서가 ‘대체 자료 및 대체 실험 제시 부족’, ‘지도상의 유의점, 실험상의 오류, 오개념에 대한 안내 부족’, ‘시각적 학습 자료의 제시 부족’으로 교사들이 활용하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여섯째,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점으로 ‘교사용 지도서가 활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어져야 하고, 대체 가능한 실험 방법이나 다양한 학습 자료가 수록 되어야 한다’라는 내용이 많았다. 위의 의견을 수렴하여 다음 교육과정 개정시에는 실제 수업 활동에서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교수 학습 활동 과정을 안내하고 제시하는 자료로서 교육 현장에 바로 적용될 수 있는 교사용 지도서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more qualified science teacher's guide and to find out improvement suggestion by analyzing of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in the middle school. In order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05 in-service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86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vailable data. Statistic technique for data analysis was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The major findings fro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In the general remarks of teacher's guide, the utilization of teacher's guide was poor. The fields that teachers refer to most were 'teaching-learning method', 'a trend of scientific education' in order.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reform teacher's guide every year. 2. Teachers took an interest in particulars than general remarks. They thought the field of practice guide was emphasized. 3. The fields that were mostly used in particulars were 'learning contents explanation and activities. These fields are not helpful to understand the middle science education, because alternative plan, expected problems and substitute materials and alternative experiments were not suggested in the teacher's guide. 4. It was found that many teachers used teacher's guide in order to confirm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nd 'reference materials' Teachers, on the whole, thought that these fields should be reformed and implemented. It was found that teachers needed teacher's guide book for learning-teaching process plan. 5. The reference materials of Science teachers frequently used internet (52.3%), reference book(17.5%), teacher's guide(12.8%), audiovisual materials in order. Teacher's guide was not serving it's proper function in the curriculum and was dealt with the lack of substitute materials, alternative experiments, considerable point of teaching, and visual learning materials and so on. 6. In conclusion, teacher's guide should include more diverse and ample materials in response to the teacher's needs in order to develop 8th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be more detailedly guided when the development of the middle science teacher's guide are consid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