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송정아-
dc.creator송정아-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49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49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47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4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9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을 경험한 아동의 영유아기 교육 경험과 초등학교 생활을 알아보고, 유아교육의 장기적 효과에 관한 부모와 아동의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영유아기 경험한 기관별로 전반적인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125명과 그의 부모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양적연구에서는 아동의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조수정(2014)이 개발한 ‘학령 후기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연화(2007)의 ‘아동의 인지적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기본생활습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2014)와 엄세진(2006)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문항을 수정·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교육 현상에 관한 부모의 인식을 심도 있게 들어보고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부모 중 무작위로 8명을 선정하여 이루어졌으며, 한 부모당 50-180분 가량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내용을 전사한 뒤, 양적연구 내용을 상세히 보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를 추출하여 종합적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가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부모에 비해 자녀의 영유아기 교육 경험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학교적응, 행복감, 기본생활습관 등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는 자녀가 행복한 영유아기를 보냈으며, 영유아기 교육 경험으로 인해 바람직한 학습성향, 행복감, 자조기술 등을 함양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을 경험한 부모는 초등 이후 이어질 학습에 대한 불안감 등의 현실적인 이유로 유아교육기관 대신 유아영어학원을 선택한 배경이 있었다. 영유아기 경험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거라 대체로 인식하고 있지만, 기본생활습관 지도나 인성교육, 안전교육 등의 부재를 경험했다고 보고하였으며, 상대적으로 학교생활보다 사교육 기관을 우선시하는 자녀의 태도 등에 아쉬움을 표하기도 하였다. 둘째, 아동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의 아동이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아동에 비해 영유아기 경험과 이후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을 경험한 아동은 본인의 영유아기를 행복한 기억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적응과 행복감 그리고 기본생활습관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출신 아동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즉, 놀이중심 교육기관을 경험한 아동은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의 아동보다 학교적응력과 행복감이 높고, 기본생활습관을 잘 수행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 외 경험한 사교육 활동과 관련해서는 두 기관 유형의 아동 모두 체육, 미술 등의 비학업적 사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학업적 사교육 활동보다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유아교육을 영유아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의 책무성 차원에서 유아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며, 보다 많은 영유아가 질 좋은 유아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을 포함한 사설 기관의 질을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제가 도입되어야 한다. 영어학원의 확장세로 인해 교육의 질이 규명되지 않는 곳에서 영유아가 반일제 이상의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놀이에 관한 부모교육 및 부모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조기교육과 선행학습이 만연한 세상에서 영유아 및 아동의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관한 불안감을 느끼기 쉬운 구조이므로, 부모교육을 포함한 다각도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유아·아동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교육받고 성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learning-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institutions, and to understand parents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long-term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125 children enrolled in the 3-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140 parent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verall perception of each institution experienced in infancy. In the quantitative study, the School Adaptation scale of Late-school Children(Jo, 2014)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the Child's Cognitive Happiness Scale(Kim, 2007) was used to measure happiness.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basic lifestyle, the researcher revised, produced and used the questions by referring to the studies(Korean Elementary Counseling Education Association, 2014; Um, 2006).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After tha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listen to parents' perceptions of educational phenomena. Eight paren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0-180 minutes per parent. After transcribing the interview contents, representative cases that can supple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contents in detail were extract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comprehen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parents' perceptions, parents of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erceived their children'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ences more positively than parents of learning-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institutions, and they also showed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overall life, such as school adaptation, happiness, and basic living habits. Parents of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aw that their children had a happy infancy, and that they were able to cultivate desirable learning tendencies, feelings of happiness, and self-help skills due to their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ences. Parents who experienced learning-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institutions had a background in choosing early childhood english institutions instea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actical reasons such as anxiety about learning that will continue after elementary school. Although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experience of infa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but they also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a lack of basic living habits guidance and character education, and expressed regret for their children's attitudes that relatively prioritize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over school lif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children's perceptions, children in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early childhood experiences and their overall life afterward than children in learning-based preschools. Children in play-based preschools perceived their early childhood experiences as happy memories and had higher means than children in learning-based preschools on all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happiness, and basic living habits. In other words, children in play-based preschools were more likely to be adjusted to school, be happy, and perform basic living habits well than children in learning-based preschools. Regarding the types of tutoring activities experienced outside of early childhood centers, children in both types of center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non-academic tutoring activiti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and art than academic tutoring activitie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provide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young children. As a matter of educational responsibility, we should continue to discus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that more children can experience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private institutions, including learning-based private english institute. Third, parental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for play should be established. In a world where early education and early learning are prevalent, it is easy for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feel anxious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so they will need a variety of support, including parent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on how children can be educated and grow up happy and healt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교육의 질과 효과 5 B. 영유아기 경험하는 기관 유형과 아동의 생활 9 1.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9 2. 영유아기 경험하는 기관 유형이 아동의 생활에 미치는 효과 11 Ⅲ. 연구방법 18 A. 혼합연구 18 B. 양적연구 18 1. 연구대상 18 2. 연구도구 21 3. 연구절차 25 4. 자료분석 27 C. 질적연구 28 1. 연구대상 28 2. 자료수집 및 연구절차 28 3. 자료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A.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부모의 인식 30 1. 영유아기 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30 2. 초등학교 생활에 관한 부모의 인식 42 B.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아동의 인식 45 1. 영유아기 교육에 관한 아동의 인식 45 2. 초등학교 생활에 관한 아동의 인식 47 Ⅴ. 논의 및 결론 49 A. 논의 49 1.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부모의 인식 49 2. 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 아동의 인식 57 B.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2 <부록 - 1> 부모용 설문지 76 <부록 - 2> 아동용 설문지 85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2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놀이중심유아교육, 유아영어학원, 유아교육효과-
dc.subject.ddc300-
dc.title놀이중심 유아교육기관과 학습중심 유아영어학원의 교육의 질에 따른 초등학교 생활에 관한 부모와 아동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ents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education in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learning-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institutes-
dc.creator.othernameSong, Jeongah-
dc.format.pageⅵ,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