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 Download: 0

추상미술 수업을 통한 청소년 자아탐구 과정의 질적 사례연구

Title
추상미술 수업을 통한 청소년 자아탐구 과정의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Youth Self-Exploration Process through Abstract Art Class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청소년 자아탐구, 자아정체성, 추상미술, 미술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인
Abstract
인간은 삶을 살아가며 종종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가진다. 자아정체성은 무엇보다 인간의 삶의 토대가 되는 것이며, 정체성의 미확립은 혼란을 야기한다. 인간의 발달단계 중, 특히나 청소년기 자아정체성의 발달은 인생의 방향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발달과업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청소년의 자아탐구를 위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추상미술 표현을 통한 자아탐구의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자는 현대 사회에 접어들며 자아정체성의 개념이 확장되고 표현방식 및 매체의 사용이 다양해짐에 따라 새로운 방식의 자아표현 방식의 필요성을 보았다. 특히 추상미술 표현은 표현 방식과 기법 등이 다양하고, 인간 내면의 형용하기 힘든 추상적 심상을 조형요소를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자아탐구의 과정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추상미술 표현을 통한 청소년의 자아탐구 과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추상미술 수업이 청소년의 자아탐구 과정에 어떠한 경험을 제공하고,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의 목적을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아탐구와 추상미술 표현방법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미술 프로그램을 설계한 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3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5주간 총 15차시 분량의 대면 수업을 진행했고, 수업이 끝난 이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 전반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녹음자료는 면담 종료 후 전사하여 기록한 후 실기작품 사진과 함께 자료로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절차는 질적연구 방법의 자료 분석 절차인 Wolcott(1994)의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를 따라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 단계에서는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사용해 자료를 개방 코딩(open coding)하여 범주화한 후 범주 확인의 과정을 통해 결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질적 분석 결과로 총 4개의 상위 범주, 8개의 중위 범주, 그리고 20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상위 범주 ‘자아 인식’에 따른 중위 범주 ‘자아 성찰’, ‘미술 수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자아 인식’, 두 번째 상위 범주 ‘관계적 정체성 인지’에 따른 중위 범주 ‘타인을 대하는 태도’,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행동 양상’, 세 번째 상위 범주 ‘청소년기 위기 경험’에 따른 중위 범주 ‘학업에 대한 압박감’, ‘또래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위기’, 네 번째 상위 범주 ‘변화 의지’에 따른 중위 범주 ‘변화 추구’, ‘심리적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아탐구를 위한 추상미술 수업의 결론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는 미술수업에서 표현 단계에 앞서 성찰 행위를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상념을 정돈하는 과정에서 스스로가 몰랐던 본인의 모습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회차가 거듭될수록 자기 정체성의 다양한 측면을 인지하여 ‘복합적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또한 연속적인 추상표현의 과정을 경험하며 추상적 상념을 시각화하는 메커니즘을 확립하고 그에 따른 자신만의 표현 스타일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연구참여자의 ‘자기 표현능력이 신장’되고, ‘추상적 사고 및 표현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질적 분석 결과에서 연구참여자가 성찰의 과정을 통해 정립한 자아정체성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삶의 방향성을 설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에는 인식하지 못했던 자신의 새로운 면모를 수용하거나, 부족한 측면을 개선하려는 변화 의지를 통해 미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결의를 다지고 책임을 지는 방식’의 변화 의지는 자아정체성을 형성한 연구참여자의 앞으로의 삶과 긍정적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론을 종합해 보면, 연구 참여자들은 자아에 대한 추상표현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자기 표현능력이 신장되었고, 추상적 사고 및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자아 개념의 사고와 폭이 복합적으로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 개념을 통해 앞으로의 삶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성찰의 과정을 통한 추상미술 수업이 청소년의 자아탐구 과정에 제공한 미술 표현적 측면과 자아정체성 인지 측면의 경험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한 추상 미술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Humans often have questions about their identity in their lives. Self-identity is, above all else, the basis of human life, and the uncertainty of identity causes confusion.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during the human development stage, especially in adolescence, can be seen a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life. Currently, study on art education for adolescents' self-explora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study on self-exploration through abstract art expression is still insufficient. As the concept of self-identity expands and the use of expression methods and media diversifie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saw the need for a new method of self-expression. In particular, abstract art expression has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techniques, and it is easy to visually express abstract image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inside humans using formative elements, so it was judg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of adolescents through abstract art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what experiences abstract art classes provide and what they mean in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of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rough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case studies. First, an art program was designed with refernece to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on self-exploration and abstract art expression methods, and then four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a total of 15 in-person classes were conducted for about five weeks from October to November 2023,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class was over. Recorded data collected throughout the clas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recorded after the interview,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along with photos of the work of art. The data analysis proces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tep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Wolcott(1994), the data analysis proces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was categori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in the analysis stage,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y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a total of four upper categories, eight middle categories, and 20 subcategories were derived. It was categorized into : the first upper category ‘self-awarenesss’ breaking down into intermediate categories ‘self-reflection’, ‘self-awareness newly learned through art classes’; the second upper category ‘relational identity awareness’ breaking down into intermediate categories ‘attitude toward others’, ‘behavioral patterns according to psychological distance’; the third upper category ‘adolescent crisis experience’ breaking down into ‘pressure on study’, ‘psychological crisis experienced in the peer relationship’; the last upper category ‘will to change’; breaking down into intermediate categories ‘pursuing change’, ‘efforts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cri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abstract art classes for adolescents' self-explo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overing themselves that they did not know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thoughts they wanted to express through reflection before the expression stage in art classes, and as the sessions continued, they recognized various aspects of their identity and ‘established a complex identity'.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experienced a continuous process of abstract expression, established a mechanism to visualize abstract ideas, and established their own expression style accordingl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self-expression ability was enhanced' and ‘abstract thinking and expression ability improved'. Secon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life' was set based on the self-identity established by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It was intended to explore future possibilities through the willingness to accept new aspects of oneself that were not previously recognized or to improve the insufficient aspects. This willingness to change in ‘the way how to make up one’s mind and take responsibilit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future life and positive future possibiliti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ho have formed their self-identity. To sum up these conclusions, the study participants improved their self-expression ability and their abstract thinking and expression ability by continuously performing abstract expression activities for the self.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was able to see that the thoughts and breadth of the self-concept of the study participants developed complexly, and confirmed their willingness to set and change the direction of future life through the self-concep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art expression and self-identity cognition provided by abstract art classes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of adolescent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abstract art educ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explore adolescents' self-ident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