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 Download: 0

미술관 프로그램 참여 시니어의 창의적 노화 가능성 연구

Title
미술관 프로그램 참여 시니어의 창의적 노화 가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eative Aging of Senior Participants in the Art Museum Programs
Authors
한유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창의적 노화, 미술관 시니어 프로그램, 초고령사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주연
Abstract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노인 문제가 사회의 안녕에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중노년층은 길어진 노년기를 행복하게 보내고자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노인 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촉진하고 소속감을 주며 예술 활동을 통해 길러지는 창의성은 다양한 사고와 지적 능력의 계발, 그리고 자기성찰에도 도움을 준다. 이때 창의성은 노화와 상관없이 발휘될 수 있고 예술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노년기 삶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증명되며 성공적인 노화 모델로서 ‘창의적 노화’가 주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기에 접어드는 시니어가 미술관 활동에 참여하여 삶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양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 문화예술교육과 창의적 노화의 개념,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 웰빙 이론의 개념ㆍ구성요소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며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Ryff(1989)의 심리적 웰빙 모델(PWB)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 다음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미술관 프로그램 참여가 시니어의 창의적 노화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여가 활동과 비교하여 미술관 활동이 가진 장점은 예술적 감수성 향상, 지적 만족감, 삶의 만족감, 사람들과의 만남 및 상호작용 순서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시니어들은 미술에 관한 관심과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지적 욕구를 위해 미술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각자의 참여동기는 심리적 웰빙에서 삶과의 연관성이나 개인적 성장과 같은 하위요인과 연결되어 창의적 노화 가능성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미술관 시니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참여자가 창의적 노화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얻었는지 분석한 결과, 미술관 활동은 참여자가 삶의 만족감과 긍정적 정서를 얻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셋째, 미술관 활동에 대한 만족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창의적 노화와 연결되는 심리적 웰빙의 4가지 요인(삶의 연관성, 개인적 성장, 자기수용, 사회적 관계)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니어가 미술관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이 아닌 미술관에서의 활동에 어떠한 가치를 두었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는지가 창의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 시니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니어들은 심리적 웰빙의 4가지 측면인 삶의 연관성, 개인적 성장, 자기수용,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이며 창의적 노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결론에 이른다. 시니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시니어의 심리적 웰빙을 측정하고 창의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미술관의 공익과 사회적 역할을 입증하는 자료로 창의적 노화를 위한 시니어 프로그램 확대와 개선에 공헌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본 연구가 현장과 연구자들에게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aging population, issues concerning the elderly have emerged as crucial challenges for the well-being of society. Recently, the middle-aged and elderly actively engage in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o lead fulfilling lives during their extended old age. Consequently, the role and necessity of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promotes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 sense of belonging, and nurtures creativity through artistic activities, contributing to diverse thinking, cognitive abilities, and self-reflection. Importantly, creativity can manifest regardless of aging and has been proven to positively influence the elderly's lives during their later years through art, leading to the recognition of 'creative aging' as a successful aging model.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ascertain the impact of senior participation in art museum programs on their live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tent were as follows: Firstly, analyzing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lated to the concepts of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creative aging, the societal role of art museums, and the components of well-being theories. Secondly,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reconstructing the concept of creative aging and measurement items of Ryff's (1989) psychological well-being model to develop a survey instrument measuring changes through senior participation in art museum programs. Thirdly, conducting surveys among actual participants by introducing surveys at art museum program sites or sharing survey links within senior community spaces, collecting 112 completed surveys. Lastl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Ver. 28.0, involv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like frequency and mean analyses to understand respondent demographic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consistency checks. Additionally, conducting One-Way ANOVA to determine differences in perceived changes through museum activities based on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and discus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ly, the advantages of museum activities compared to other leisure activities were in this order: enhanced artistic sensitivity, intellectu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responses that they attend museums for art creation activities. Secondly, analyzing the positive impact on participants in terms of sub-factors of creative aging such as life connectedness,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and social relationships revealed relatively high scores across all items, with 'life connectedness' receiving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Thirdly, the analysis on whether there are factors influencing creative aging through art museum activities revealed that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museum programs was not associated with creative aging. However, thoughts regard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activities in other institutions and activities within art museums were found to impact creative aging. The analysi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measuring creative aging: life relevance,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and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nts who reported a larger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museum activities and activities in other institutions showed higher scor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a smaller or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Measuring senior’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nior program participation and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creative aging contribute to validating the societal role and public interest of art museums. This research aims to be a meaningful resource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senior programs geared towards creative ag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