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 Download: 0

한국 2030 여성의 진단경험을 통한 성인 ADHD 정체성과 지식

Title
한국 2030 여성의 진단경험을 통한 성인 ADHD 정체성과 지식
Other Titles
Adult ADHD Identity and Knowledge Through the Diagnosis Experience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Authors
박수려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협동과정
Keywords
정신장애 진단, 젠더 편향, 의료화, 성인여성 ADHD, 조용한 ADHD, 당사자 집단, 진단경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2010년대 후반부터 한국 사회에서 두드러지는 2030 여성집단의 성인 ADHD의 구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성인 ADHD로 진단받은 2030 여성이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며, ADHD 진단 확장의 과정에서 2030 여성 당사자 집단의 역할을 다룬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공유된 2030 여성 ADHD 당사자 집단의 진단경험은 한국 사회에서 성인 ADHD를 새롭게 구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들 집단은 수동적인 의료화의 대상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의 질병 경험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을 요청하면서 진단과 치료에서 새로운 지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의 주장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30 여성 집단은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사회의 ‘조용한’ ADHD라는 익숙하지만 새로운 질병의 구성에 기여하고 있다. 2015년을 기점으로 온라인 디지털 공간을 중심으로 촉발된 ‘페미니즘 리부트(Feminism reboot)’ 이후, 의료에서의 성평등을 주장하는 여성주의의 언어는 ADHD 진단에서의 젠더 편향을 지적하는 배경이 되었다. ADHD 진단에서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은 여성 ADHD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고, 이는 2030 여성들 사이에서 진단 확장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ADHD 진단 확장은 2030 여성의 높은 정신장애 유병률의 맥락과 함께 이해될 수 있다. 2030 여성이 구조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정과 취약한 정신건강에 대한 의학적 해결책으로서 성인ADHD를 자가진단하거나, 정신건강의학과를 통해 ADHD 검사를 수행하게 되기 때문이다. 정신의학계는 ADHD를 신경발달장애로 규정해왔지만, 현재의 ADHD 진단도구는 ‘타고난’ 주의집중력이 아니라, 현재의 상태만을 반영한다고 평가된다. 대부분의 ADHD 연구자들은 주의력결핍상태가 우울, 불안과 같은 공존 장애 및 개인이 처한 구조적인 환경과 분리될 수 없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원인’을 구분해 밝혀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가 드러내듯 ADHD 정체성은 ‘타고난 ADHD’를 의학적 진단을 통해 밝혀내는 매끄러운 과정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2030 여성의 공존정신장애, 사회구조적으로 취약한 정신건강은 ADHD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마지막으로, ADHD 진단을 받은 2030 여성 집단은 의료화에 포섭된 ADHD 환자라는 규정을 넘어선다. 이들의 진단경험은 정신의학적 진단에 기반을 두지만, 의학적 치료를 넘어서 자조(self-help)와 연대의 가능성을 가진 ‘ADHD 정체성’을 구성한다. 이들은 단지 약물치료에 의존하며 의학적 해결책만을 구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진단을 계기로 과거의 실패 경험을 새롭게 구성하고, 자신의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해 체득한 일상의 평범한 지식(lay knowledge)을 공유하며, 의료화를 넘어서ADHD와 함께 살아가는 지식과 기술을 만들어간다. ADHD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실수와 실패를 반복하던 과거에 대한 자책을 줄이고, 새로운 대처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여기서 진단과 치료의 경험은 자신의 문제를 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서, ADHD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성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나아가 이들은 이러한 새로운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어려움이 자신만 겪는 특수한 어려움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타인과의 연결을 시도하며 적극적인 치료의 기술과 지식을 확산할 수 있었다.;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composition of adult ADHD in South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ich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late 2010s. Through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s shared by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ADHD, who disclosed their diagnostic journeys through various media, this paper contends that these women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reconfiguration of adult ADHD in South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 paper argues that these women have not remained passive subjects of medicalization, but have actively demanded that their experiences of the illness be reflect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and have shown the potential for new knowledge in these areas. The paper makes the following three main arguments. First, since the late 2010s, women in their 20s and 30s have actively contributed to the redefinition of ADHD, transforming it into a familiar yet novel illness within South Korean society. The feminist critique of gender bias in ADHD diagnosis, which emerged in online digital spaces around 2015, has led to the increased attention to women with ADHD, which has in turn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diagnosis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Second, the spread of ADHD diagnosi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high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omen in this age group expirence more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y may seek medical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by self-diagnosing or seeking ADHD testing through a psychiatrist. While the psychiatric establishment classifies ADHD a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ontemporary diagnostic tools for ADHD are recognized for reflecting present conditions rather than an individual's innate attention span. Most ADHD researchers believe that attention deficit cannot be separated from coexisting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r the structural condition in which each individual is situated, an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one cause of this condition. Thus 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n ADHD identity is not a straightforward revelation of innate ADHD through medical diagnosis. Comorbid disorders and vulnerable mental health seem important factors in ADHD identity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ird, women with ADHD who have been diagnosed have moved beyond the medicalization of ADHD as patients. Although their diagnostic experiences are based on psychiatric diagnosis, they have newly configured an ADHD identity that has the potential for self-help and solidarity beyond medical treatment. They do not seek only medical solutions, but use their diagnosis as an opportunity to reframe past experiences of failure, share lay knowledge they have acquired to cope with their difficulties, and create knowledge and skills for living with ADHD beyond medicalization.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DHD as a disease, they reduce self-blame for past mistakes and failures, and seek new coping mechanisms. Here, the experience of diagnosis and treatment goes beyond serving as a means to medically solve their problems. Instead,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rame their experiences through ADHD and connect with others by realizing that this difficulty is not unique to their own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