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비서직 종사자의 메타인지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서직 종사자의 메타인지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안효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Keywords
메타인지, 주관적 경력성공, 학습민첩성, 비서직 종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희
Abstract
급격한 경영환경과 노동시장의 변화로 인해 과거 ‘고용의 안정성’을 중요시했던 개인은 경력개발 중심의 유연한 사고 방식을 가지고, ‘고용가능성’과 같은 심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조직 내에서도 객관적 경력성공의 기회가 줄어드는 과정을 겪게 되자, 경력만족감이 성취감, 고용성과 같은 심리적 측면의 경력성공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최근 주관적 경력 성공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증가하면서, 자기 가치를 명확히 이해하고 경력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돕기 위해 메타인지가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비서직 종사자들은 전문적인 지식 뿐만 아니라 창의력, 판단력, 문제 해결능력 등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메타인지는 그들에게 필수적인 역량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주로 환경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었고, 개인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적 특성 중 생각과 인지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타인지의 유의미성을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인지를 통해 이룰 수 있는 개인의 경력개발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메타인지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이 매개역할을 할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적은 비서직 종사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체계적으로 개발 및 촉진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의 특성을 구분하여 학습민첩성을 매개요인으로 하여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첫째, 메타인지가 비서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메타인지와 비서의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구글닥스를 이용하여 2023년 10월 18일부터 11월 3일까지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및 수집을 진행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불성실하고 중심화 경향이 뚜렷한 19부를 제외하고 총 23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Ver.)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 model 4번, 부트스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하여 검증하였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메타인지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의 메타인지와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이 모두 매개효과가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이루기 위해서 메타인식, 모니터링, 메타통제 능력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메타인지를 통해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이룰 수 있고, 메타인지를 통해서 가질 수 있는 학습민첩성을 통해서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 학습민첩성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주로 심리학 또는 교육학에서 연구되어 온 메타인지의 연구의 영역을 비서학 분야로 확장하였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비서직 종사자의 환경적 요인을 다루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개인특성을 요인으로 메타인지를 제시하였다. 셋째, 메타인지, 주관적 경력성공, 학습민첩성 관계에 관한 심층적인 매커니즘을 밝혔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각각 변수의 하위요인의 관계를 검증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통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선행요인의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상의 학문적 시사점과 더불어 살펴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의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메타인지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내용과 같이 본 연구는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의의를 지니고 있지만, 다음의 연구 한계점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메타인지와 매개변수인 학습민첩성, 종속변수인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해 모두 같은 응답자들의 경험과 인식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메타인지와 주관적 경력성공, 학습민첩성과의 관계만을 살펴보았는데, 학습민첩성은 메타인지와 주관적 경력성공을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메타인지 하위요인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설정하여 매개변수인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주고 더불어 주관적 경력성공의 전체적 관계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Due to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labor market, individuals who once prioritized 'job stability' are now embracing a career development-oriented and flexible mindset, with increased interest in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employability.' As organizational opportunities for objective career success decreas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spects of career succ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has been emphasized. Recent research focusing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individual perception has highlighted metacognition as a crucial competency to help individuals clearly recognize their values and set the direction of their careers. Metacognition is seen as an essential skill for individuals in secretarial roles, who are required to possess not only advanced professional knowledge but also creativity, judgment,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managerial skills. However, existing research on secretarial career development has primaril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with limited exploration of various dimensions of personal factor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ignificance of metacognition, which allows individuals to regulate their thoughts and cognitive processes, in influenc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Building on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 metacognition can facilitate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we also explore the potential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research aims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among secretarial professionals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etacognition's sub-factors as they relate to learning agility.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are: First, what is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secretarial professionals? Second, does learning ag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secretarial professional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took place from October 18 to November 3, 2023,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among secretarial professionals. A total of 231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s. The data analysis utilized SPSS 25.0 (Ver.), PROCESS macro,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CESS macro model 4, and bootstrapping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A significance level of 0.05 was used for valid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on had a partially positive influenc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mong secretarial professionals. Second, learning agilit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secretarial professional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monitoring, and metacognitive control abilities for secretarial professionals to achieve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The study confirmed that metacognition can contribute to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and that learning agility, developed through metacognition,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research contribute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 several aspects: First, it expands the research area of metacognition, primarily studied in psychology or education, to the secretarial field. Second, it introdu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factors influencing metacognition, in contrast to studies focusing on environmental factors in secretarial professionals. Third, it elucidates the in-depth mechanis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learning agility. Fourth, the study verifies relationships at the sub-factor level of variables. Fifth, by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provides a closer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antecedent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Besides academic implications, the study holds practical significance: First, it suggests the potential utility of metacognition i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secretarial professionals. Second, it highlights the heterogeneity of metacognition's sub-factors in influenc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Despite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he study has limitations, and we propose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study may be susceptible to common method bias as it relies on the same respon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metacognition, mediating variable learning agility, and dependent variable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while the study establishes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future research could explore variables positively influencing all sub-factors of metacognition as mediators for learning agility and comprehensively examine the overall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