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 Download: 0

포스트 휴먼 담론 중심의 AI 윤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Title
포스트 휴먼 담론 중심의 AI 윤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I ethics programs centered around post-human discourse
Authors
정다이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규
Abstract
The widespread adoption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advancements in biotechnology, nanotechnology, and other emerging technologies have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way humans live. Particularly, AI technology is transforming various aspects of society, economy, and everyday life. In line with this trend, the field of education is also attempting to successfully integrate AI education through various policy changes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at this early stage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programs, the majority of research on AI integration in education focuses on computer-based education (CBT) and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AI), which emphasize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such as cod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a. Yet, mere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AI technology,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is insufficient to prepare for the future created by the AI era.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I ethics education, which addresses various ethical issues that AI may bring about, such as low explainability, data bias, privacy, and post-human concerns.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AI ethics and sets the following detailed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possible post-human discourse-related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in AI ethics classes based o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Second, how can an AI ethics program that incorporates post-human discourse be designed? Third,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n AI ethics program based on post-human discourse, and what post-human values can students obtai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obtain answers to the question of "how should AI ethics-related classes be structured in the field” before the new 2022 curriculum is implemented. Moreover, this study developed an AI ethics education program centered around post-human discourse with the theme of "Relating to AI” The program focused on topics such as cyborgs, AI companions, autonomous vehicles, and superintelligence/upload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ction research, with teachers taking the role of researchers, implementing the AI ethics program through iterative processes of 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 and re-planning.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two years, with the first year focusing on designing a comprehensive AI ethics program and reflecting on it, and the second year modifying and improving the curriculum based on post-human discourse and implementing it. The execution of the post-human discourse-centered AI ethics program yielded the following educational outcomes. First, it provided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utonomy" as a distinguishing factor between general robots and AI robots within the context of machine learning.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AI ethics program centered around post-human discourse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tudents' AI literacy. Third, it expanded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not only in terms of technical understanding but also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Lastly, through the analysis of written outputs,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still harbor concerns and reservations regarding human-centeredness and the "uncontrollability" of AI robo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in the AI era, educators should anticipate how human life will be transformed by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ke proactive and active efforts in the field of AI ethics education. Second,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post-human values that go beyond traditional human-centeredness. Starting from the classroom, we should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and interdependence by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genders, abilities and disabilities, humans and animals, and humans and machines through post-human values.;현대 사회에서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대중화,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의 신기술은 인간의 삶의 양식을 급격하게 변화시켰다. 특히, AI 기술은 사회, 경제, 일상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추어 교육계에서도 AI 교육의 성공적 안착을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AI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초입에 해당하는 지금, 대다수의 AI 융합 교육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교의 실과 및 중고등의 정보과 교과에서의 코딩 교육으로 대표되는‘컴퓨텅 사고력’을 기르는 컴퓨터 기반 교육(CBT) 및 컴퓨터 지원 교육(CAI)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는 양상이다. 하지만 AI 기술에 대한 이해, 컴퓨팅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향상만으로는 AI 시대가 만들어 낼 인류의 미래를 대비할 수 없다. 이때 낮은 설명 가능성, 데이터 편향, 프라이버시, 포스트 휴먼 등 AI가 사회에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AI 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AI 윤리에 중점을 두고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AI 윤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포스트 휴먼 담론 관련 교육 내용(what)에는 무엇이 있는가? 둘째, 포스트 휴먼 담론을 반영한 AI 윤리 프로그램을 어떻게(how) 구성할 것인가? 셋째, 포스트 휴먼 담론을 바탕으로한 AI 윤리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무엇이며 학생들은 어떠한 포스트 휴먼적 가치를 얻을 수 있는가? 해당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되기 전, ‘AI 윤리와 관련된 현장의 수업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AI와 관계맺기’라는 주제명을 바탕으로 사이보그, 인공지능 반려, 자율주행 자동차, 초지능ㆍ업로딩을 소재로 한 포스트 휴먼 담론 중심의 AI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때 교사가 실행가로서 연구의 주체가 되어 AI 윤리 프로그램을‘계획 – 실천 – 성찰 – 재계획’의 반복적 과정을 거쳐 실행 연구(action research)하였다. 연구는 총 2개년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차년도에는 보다 포괄적 수준에서의 AI 윤리 프로그램을 설계(계획, 실천)하고 성찰한 후, 2차년도에는‘포스트 휴먼’의 담론을 바탕으로 수업을 수정·보완(재계획)하여 실행하였다. 포스트 휴먼 담론 중심 AI 윤리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다음과 같은 교육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과정 속에서 일반적인 로봇과 인공지능 로봇의 차이점인 ‘자율성’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포스트 휴먼 담론 중심의 AI 윤리 프로그램 실행이 학생들의 AI 리터러시 역량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공지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범위가 확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포스트 휴먼적 관점에서도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산출물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여전히 자리잡고 있는 인간 중심주의와 AI 로봇의 ‘통제 불가능함’에 대한 두려움ㆍ거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AI 시대에 교수자는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삶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상하고, AI 윤리 교육 분야에서 보다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의 교육적 시도를 해야할 것이다. 둘째, 전통적인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 새로운 존재와의 공존을 모색하는 포스트 휴먼적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포스트 휴먼적 가치를 통해 성별, 장애 – 비장애, 인간 – 동물, 인간 – 기계 간의 경계를 허물고 공존, 상호 의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교실에서부터 시작해야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