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통합학급 내 장애 및 발달지체 영ㆍ유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 고찰

Title
통합학급 내 장애 및 발달지체 영ㆍ유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 고찰
Other Titles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Skill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elays in Inclusive Setting
Authors
김하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학급 내 장애 및 발달지체 영유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통합학급의 속성이 음악 중재 내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23년 9월까지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발행 및 게재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총 14편을 분석 대상 문헌으로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성, 종속변인과 측정도구, 음악 중재 특징, 음악 선정 및 음악 활동 구성 기준, 음악 활동 유형별 과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30분 이내 및 대집단 크기로 중재가 실시되었으며 중재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연구자, 교사, 또래, 음악치료사로 다양하게 중재자가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음악 선정 및 음악 활동 기준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의 발달 특성 및 유아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음악 선정 및 음악 활동을 구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속변인 및 음악 활동 유형별 과제 수준을 분석한 결과, 또래 비장애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측면보다 장애 유아 개인의 사회적 측면을 중점으로 음악 중재가 실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애 및 발달지체 유아와 비장애 유아가 상호작용하며 함께 생활하는통합환경의 속성을 반영하여 또래 비장애 유아와 함께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음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중재에 대한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통합학급 내에서 진행된 음악 중재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중재 내에서 통합학급의 속성을 반영하고 있는 현황 및 수준에 대해 파악하였고 통합학급 내에서 음악 중재가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features of music intervention research aimed at enhancing social skill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ment delays, and how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class have reflected in music intervention. It selected 14 studies which is published within two decades, and it analyzed overall characteristics of studies, dependent variables and measurement tools, features of music intervention, criteria of music and intervention activities, and level of music tasks. This study identified tha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large group within 30 minutes and involved various participants such as researcher, teachers, peers, and music therapist had undergone music therapy. The investigation also indentified that music selection and activities were considered development and educational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Furthermore, an analysis of task levels indicates that music intervention focused on the social aspects of disabled child, rather than interactions with non-disabled peer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tion needs to conduct to foster social connect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music intervention in inclusive classrooms, thereby this study presents on the direction of music intervention in inclusive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