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정제영 | - |
dc.contributor.author | 구지연 | - |
dc.creator | 구지연 | - |
dc.date.accessioned | 2024-02-14T02:50:22Z | - |
dc.date.available | 2024-02-14T02:50:22Z | - |
dc.date.issued | 2024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211942 | - |
dc.identifier.uri | 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1942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157 | - |
dc.description.abstract | 인간은 동일한 시간의 흐름 아래 생활하지만, 시간을 활용하는 모습은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청소년이 생활시간을 어떻게 배분하고 활용하는지는 향후 청소년의 신체적·정신적 발달, 삶의 모습 등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 오늘날 자기관리 역량, 학습자 주도성, 정신적 웰빙이 강조되며 청소년의 시간 활용에 주목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아울러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 코로나19 이후의 교육격차 심화는 학업포기 현상이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의 양적 분석을 통해서도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개인차를 반영한 사람 중심적 접근을 통해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에 따른 잠재집단을 발견하고 정책적 개입 방법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연구대상이 일부 집단에 한정되었거나, 여가시간만을 분석했거나, 많은 지표변수를 투입하여 집단 규명 및 해석이 엄밀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특히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잠재프로파일 활용 양상을 모두 분석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둘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따라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셋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따라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의 특성과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중1)와 중학교 1학년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고1)를 활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결측치를 제외한 중학교 1학년 학생 2,267명,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251명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Mplus 7.3을 통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최적의 잠재프로파일 개수를 결정하였다. 둘째, 각 잠재집단별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의 평균을 통해 집단을 명명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를 통해 카이제곱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plus의 R3STEP을 통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지수, 분류의 질, 분류율, 해석 가능성을 종합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의 잠재집단 수를 4개로 결정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잠재프로파일은 유희적 활동집단(유희집단), 소극적 활동집단(소극집단), 타율적 학습집단(타율집단), 적극적 활동집단(적극집단)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의 잠재프로파일은 소극적 활동집단(소극집단), 유희적 활동집단(유희집단), 적극적 활동집단(적극집단), 학습몰입집단(학습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중학교에서는 소극집단이 42.6%로 가장 높았고 유희집단(34.6%), 타율집단(15.3%), 적극집단(7.5%) 순이었다. 고등학교에서는 소극집단의 비율이 59.4%로 중학교보다 높았으며, 유희집단(16.1%), 적극집단(13.4%), 학습집단(11.1%)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유희집단의 개인, 가정, 학교 요인별 평균이 유의하게 낮은 편이었으며, 소극집단, 타율집단, 적극집단의 개인, 가정, 학교별 평균은 양호하였고, 학습집단이 가장 긍정적으로 드러났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두 소극집단은 학습 및 여가에 특징적인 투자가 없을 뿐 부정적인 집단으로 간주할 수 없었다. 타율집단은 높은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그릿, 부모와의 대화시간, 교사와의 관계를 보였다. 적극집단 또한 학업성취도, 학업열의 등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집단은 높은 학업성취도, 학업열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그릿, 따스하고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구소득, 경제수준, 부모학력, 친구관계, 교사관계 및 낮은 공격성과 학업성취만족도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집단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중학교에서 잠재집단 분류의 영향요인은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성별, 학업성취도, 학업무기력, 주의집중, 자아존중감, 공격성, 사회적 위축, 그릿, 월평균 가구소득, 경제수준, 부모학력, 부모와의 대화시간, 학교소재지’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의 영향요인은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성별,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학업무기력,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그릿, 자율성지지, 가구소득, 부모학력, 부모와의 대화시간, 교사관계’가 유의하게 측정되었다.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는 ‘성별, 학업성취도, 학업무기력, 공격성, 사회적 위축, 그릿, 월평균 가구소득, 부모학력, 부모와의 대화시간, 학교소재지’가 있었다. 중학교에서 유희집단으로부터 ‘소극, 적극, 타율학습 집단’이 될 확률을 높이는 공통적인 요인은 ‘그릿, 부모학력, 학교소재지’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유희집단으로부터 ‘소극, 적극, 학습몰입 집단’으로의 가능성을 높이는 공통적인 요인은 ‘학업열의와 부모학력’이었다.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에서 발견된 영향요인은 ‘부모학력’으로 드러났다. 한편, 개인요인 중에서는 중학교에서는 그릿이, 고등학교에서는 학업열의가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다른 세 집단일 확률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넷째, 고등학교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희집단에 많이 분포하고,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소극적 활동집단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희집단의 비율은 읍·면지역에서 대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활동집단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두 대도시에 더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타율집단과 적극집단이 대도시에 더 큰 비율로 존재한다고 나타났고, 고등학교에서는 적극집단과 학습집단이 읍·면지역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희집단을 중학교부터 발견하고 조기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보다 유희집단의 비율이 작았던 점은 긍정적이지만, 고등학교 유희집단의 유희적 여가시간은 중학교보다 증가하고 학습시간은 더 감소하였다. 또한, 학습집단의 학습시간은 고등학교에서 더 상승하였다. 이는 고등학교에서 학습시간은 중학교보다 더 작고, 유희적 여가시간은 더 길어지는 양극화와 학업포기 현상이 고등학교에서 더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학교에서 유희집단의 특징을 보이는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증진 프로그램, 학업열의·주의집중·그릿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부모·친구관계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이 학습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습시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율집단과 학습집단의 특징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학습을 잘 관리할 수 있다면 청소년이 학생의 본분인 학업에 열중하는 것이 정신건강, 행복감,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학교는 기초학력지도강사(튜터링) 지원, 학습도약 계절학기, 키다리샘(서울) 등 정부와 시·도교육청이 제공하는 학습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조력해야 한다. 성적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외에도 학습에 대한 흥미, 집중력, 학업열의 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과 모바일 기기 중독 관련 상담 및 치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도 요구된다. 셋째, 유희집단과 학업집단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부모의 높은 학력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에서 유희집단이 아닌 다른 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이는 다양한 여가문화를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되지 않는 청소년들은 상대적으로 접근이 쉬운 유희적인 여가활동에 몰두할 가능성이 크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한다. 사회취약계층 학생의 여가 및 학습 통합지원을 위해 지역별 교육복지안전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복지 사업과 안전망 구축 예산의 확대, 교육복지사의 증원, 교사-교육복지사-학교-시도교육청-지역사회의 연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 그 밖에도 취약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멘토링 프로그램, 디지털 학습 기기 지원, 긴급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내실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급별, 성별, 학교소재지별로 맞춤형 학습 및 여가정책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성별의 경우, 여학생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습과 여가 모두에 무기력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남학생의 경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습보다 여가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정책의 시행이 중요하다. 또한 지방의 유희집단과 도시의 소극집단의 학습시간과 건전한 여가시간을 증진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늘봄학교’ 등을 확대하고 지역사회의 문화·예술·체육 전문기관 및 전문 인력과 학교와의 연계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밖에도 지방의 학습지원을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등의 개선 및 확대도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습 및 여가시간의 잠재집단을 비교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학습 및 여가시간을 통해 드러나지 않았던 잠재집단을 규명하여 중·고등학생의 시간 활용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학습과 여가시간의 양극화, 학습집단의 긍정적인 특징,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습 및 여가시간 활용에 미치는 강한 영향, 성별과 지역에 따른 시간활용 양상 차이 등을 확인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Individuals choose their activiti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engage in them, based on not only their lifestyle, growth experiences, and values, but also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e of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Adolescence is a period during which individuals explore their identity, social roles, relationships, social norms, and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emphasis on self-management skills, student agency, and mental well-being, there is a growing need to focus on time utilization by adolescents. Further, challenges such as diminishing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widening educational dispariti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indicate that educational gaps may manifest in both learning and leisure time. Thus,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latent group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study and leisure time and discern policy interventions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accommodates individual differences. Previous studies on latent profile analysis have limitations, such as focusing on specific groups of subjects, analyzing only leisure time, and incorporating numerous indicator variables, leading to complex or less rigorous interpretations. In particular, there is a scarcity of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atterns of utilization of latent profil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dentifies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this study poses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latent profiles categorized according to adolescents' study and leisure tim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profiles? Third, what coefficients influence the categorization of latent profiles? Fourth, how do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and factor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ffer?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hich comprehensively assesses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cluding use of time. I used fourth-grade (Middle School-1st grade) and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 data (High School-1st grade). Different patterns are observed for study and leisure time depending on school level and age, suggesting significant potential differences among the latent group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latent profil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middle school and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most recent data available. The final analysis included 2,267 middle school and 2,251 high school students, after excluding missing data.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Mplus 7.3,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latent profiles. Second, groups were named on the basis of the average study and leisure tim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groups; thereafter, a chi-square 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r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R3STEP in Mplus to identify the coefficient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groups.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compared.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named “passive activity group,”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passive learning group,” and “active activity group.” The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first-year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passive activity group,”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active activity group,” and “study-focused group.” In middle school, the passive activity group was at the top (42.6%), followed by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32.6), the passive learning group (15.3), and the active activity group (7.5). The proportion of passive activity groups in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at in middle school(59.4%), followed by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16.1), the active activity group (13.4), and the study-focused group (11.1).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showed that the mea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f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those of the passive activity, passive learning, and active activity groups were reasonable, and that of the study focus group was the most positive. Therefore, in middle and high school, passive activity groups could not be considered negative. The passive-learning group displayed high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grit, time spent with parents, and positive teacher relationships. Similarly, the active group exhibited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The study-focused group emerged as the most positive group, displaying high academic achievement, commitment, happiness, self-esteem, attention, grit, friend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Third, in middle school, the factors influencing latent classification wer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helplessness, attention, self-esteem,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grit,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economic level, parental educat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school location. In high school,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cademic enthusiasm, academic helplessness, aggress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grit, autonomy support, household income, parental educat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teacher relationships contributed to the classification. Common factors across both school levels included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helplessnes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grit,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parental educat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school location. In middle school, grit, parental education, and school location were common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moving from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to the better group. In high school, grit and parental education were common factors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moving from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to better groups. In addition, grit and academic commitment emerged as strong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all other groups, respectively, in middle and high school. Fourth, in high school, boy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while girl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passive activity group. With regard to school location, the proportion of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was higher in regional areas than in large cities. Passive activities were more prevalent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in large cities. However, in middle school, the proportion of passive learning and active activity groups was greater in large cities, whereas in high school, active activity and study-focused groups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rural areas. Therefore, first,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falling behind in middle school are imperative. While it is encouraging that the proportion of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diminishes in high school compared with middle school, there is a notable increase in recreational leisure time and a decrease in study time during high school. Furthermore, the study time of students in the study group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high school, suggesting a heightened academic gap during this period. Hence, early intervention during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s crucial.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tudents with characteristics that align with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s, and implement academic achievement programs, including ongoing counseling for enhanced academic enthusiasm, attention, and grit. Additionally, programs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of such students with their parents, and to support teachers in paying more attention to them are required. Second, the study time of adolescents should be secur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focused and passive learning groups were positive.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studying can positively affect mental health, happiness, and self-esteem if students manage their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fterschool institutions, study spaces, and programs to increase student concentration and academic enthusiasm. Additionally, counseling to prevent excessive use of digital devices may help students focus on their studie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Parental socioeconomic background significantly impacts both, the recreational and study-focused groups. High parental education was a common factor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other than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be immersed in recreational leisure because they cannot access diverse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youth leisure policie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low-income groups to enjoy leisure activities are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grit in middle school and academic enthusiasm in high school may be a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individual factors. Four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customized learning and leisure policies according to school level, gender, and location. In terms of gender,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policies that prevent female students from becoming lethargic in both, learning and leisure as they progress through school. For male students, policies should help manage their time so that they do not become excessively immersed in recreational leisure as compared to learning,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Additionally, policies are needed to enhance learning and promote both, study and healthy leisure time, for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s in rural areas, and for passive activity groups in urban area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중고등학생의 학습시간 7 B. 중고등학생의 여가시간 16 C. 중고등학생의 생활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선행연구 25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및 분석 자료 28 B. 주요 변수 30 C. 연구모형 55 D. 분석 방법 56 Ⅴ. 연구결과 58 A. 기초통계 분석 결과 58 B. 중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63 1. 중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 63 2. 중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특성 65 3. 중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 70 C. 고등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73 1. 고등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 73 2. 고등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특성 75 3. 고등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 80 D.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습, 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 특성 및 영향요인 비교 83 Ⅵ. 요약 및 결론 86 A. 요약 86 B. 결론 92 참고문헌 97 ABSTRACT 108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524788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학습시간, 여가시간, 잠재프로파일분석 | - |
dc.subject.ddc | 300 | - |
dc.title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중·고등학생의 시간 활용 집단 분류 및 특성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the Study and Leisure Time Utilization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 |
dc.creator.othername | Goo, Jiyeon | - |
dc.format.page | ⅸ, 112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교육학과 | - |
dc.date.awarded | 2024.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