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8 Download: 0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색채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Title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색채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Colo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uthors
한서윤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교육, 색채교육, 교과서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현대의 학습자들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시각 매체를 접하며, 그로 인해 매 순간 다양한 색채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매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객관성을 기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미술교육 가운데에서도 색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색은 예술뿐만 아니라 의류, 식품, 건축,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학문이 발전함에 따라 더 전문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색채교육은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인재 육성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색채에 대한 감상과 인지 능력은 심리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 외에도 사회·문화적인 차원에서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학교 현장의 미술교과교육에서도 청소년의 창의성을 증진하고, 정서를 함양하며, 미적 감수성을 풍부하게 한다는 면에서 색채는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색채교육을 통한 적절한 색채 지식 습득과 활용 능력은 미래 사회에서 학습자 개인이 더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사회 분위기를 읽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측면의 문해력 또한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색채 관련 단원을 분석하고, 현직 고등학교 미술 교사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색채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색의 정의와 특성, 분류와 이론에 관해 이해하고, 색채학의 역사와 발전에 대해 알아본 후 색채학의 다양한 접근법에 대해 살펴보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중 미술교육의 변천 과정에 있어 색채교육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현재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색채 관련 내용이 수록된 단원을 구성과 내용으로 나눈 후, 그에 따른 세부 틀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앞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현직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고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 색채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현황과 보완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분석 결과와 심층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학교 현장에서 색채교육을 보다 활성화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절차를 거쳐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과서 분석 결과 색채교육이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줄어들어 왔고, 2015 개정 미술교과서에서도 색채의 극히 일부분만을 다루었다. 특히 색채에 관한 별도의 단원을 구성에 할애한 교과서는 「미래엔」1곳으로, 이외의 9종의 교과서는 색채를 ‘조형 요소와 원리’의 하나로서만 제시하고 있다. 더하여, 타 단원 도판의 특징적인 요소로서 색이 언급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에, 교과서 내에서 색채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명확히 추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러나 색채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관련 이론을 제시한 교과서가 많지 않기에, 색을 작품의 주요한 특징으로 서술한 도판들을 색에 관련된 내용으로 인정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색채 관련 내용이 포함된 출판사별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명 및 학습 목표가 대부분의 경우 ‘조형 요소와 원리’라는 내용으로 소개되거나 활용되었기에, 색이 조형 요소의 하나로서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배색 이론 및 대비 이론 등 색에 관한 이론을 추가로 다루며, 조형 요소 중에서도 색을 특히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과서들이 존재하였다. 셋째, 현직 미술교사를 인터뷰한 결과, 미술교과서에서 색채에 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관련된 이론을 다루고 있는 비중은 얼마 되지 않으나, 수록된 도판 등에서 간접적으로 언급하거나 특정 작품 이해를 위한 보조적인 이론으로써 활용되는 비중은 적지 않다. 또한 방과 후 수업 및 타 교과와 미술 교과의 융합 수업 등에서도 색채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론적인 부분에 대한 내용을 추가로 다룰 수 있다면 미술 교과 수업 내 색채교육은 더욱 효과적인 방향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는 조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되어 발표되었으나 교과서는 아직 출간되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 본 연구가 미술 교과 수업 내 색채교육에 대한 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되어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Thanks to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oday's learners have access to a wide variety of visual media and are exposed to a variety of colors every day. One of the ways to develop a proper understanding and objectivity of these media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or education in art education. Color is not only used in art, but also in many other fields such as clothing, food, architecture, and medicine, and it is becoming more specialized as the discipline evolves. Color education can play a big role in fostering the creative talent needed in this fast-paced modern world. It emphasizes not onl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color appreciation and cognition, but also th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Color should also be given more importance in art education in schools to promote creativity, cultivate emotions, and enrich aesthetic sensitivity in young people. The acquisition of adequate color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use it through color education can help learners to be more responsive and flexible in the future society. It can also strengthen the social literacy skills needed to read and understand the social climat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lor-related uni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currently used in schools and to suggest ways to promote color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based on interviews with current high school art teacher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derived by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and theory of color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learning about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color studies, and examining various approaches to color studies. Second, we examined how color education has changed and developed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art education in Korea's national curriculum. Third, we examined the cases of color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using color. Fourth, we analyzed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being appl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dividing the units containing color-related content into composition and content, and then selecting and analyzing a detailed framework accordingly.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we conducted in-depth non-face-to-face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olor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and its deficiencies. Finally,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we sought ways to activate and complement color education in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dure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art textbooks showed that color education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even the 2015 revision of art textbooks covered only a small part of color. In particular, only one textbook, "Miraeen," devotes a separate unit to color in its composition, while the other 12 textbooks present color only as one of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composition. However, since color is often mentioned as a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drawing board in other units, it is difficult to clearly extract the proportion of color in the textbooks.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nam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the major, intermediate, and minor units of each publisher that included color-related content were mostly introduced or used under the heading of "elements and principles of composition," indicating that color was treated only as one of the elements of composition. However, there were textbooks that covered additional theories on color, such as color theory and contrast theory, and treated color as a particularly important element of composition. Third,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only a small proportion of art textbooks directly mention color or cover related theories, but a small proportion indirectly mention it in the included diagrams or use it as an auxiliary theory for understanding specific works. In addition, various classes using color are being held in after-school classes and classes that combine art with other subjects. Therefore, if additional theoretical content can be covered, color education in art classes can be activated in a more effective wa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units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that contain content related to color and conduct interviews with current high school art teachers to find ways to revitalize and supplement color education in art curriculum classes. A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as been finalized and announced, but textbooks have not yet been publish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educational research on color education in the art curriculum and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art education should move forwar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