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3 Download: 0

만 5세 푸른반 유아-교사 간의 관계 형성 및 변화

Title
만 5세 푸른반 유아-교사 간의 관계 형성 및 변화
Other Titles
Establishment and Change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in the Purun Class for 5-Year-Olds
Authors
김태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ilding and change process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with 5-year-old children and teacher in Purun class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ery nature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and a new perspective in such relationship, while explicat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proceeded in 5-year-old Purun class of Hanbit kindergarten in Seoul from March 2019 to October 2019, and 26 children and a teacher of Purun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 research period, 68 round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12 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10 form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were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research progress, frequent in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n on-demand basis. Moreover, voice recordings, written notes, documentations and physical artifacts were collected and transcripts were used to derive the result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Given the peculiarity of the nature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over time,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presented as the separate cases. First of all, Tae Hoon Kim and the teacher (‘Kim’) initiated to form their relationship from meeting at the entrance ceremony. Tae Hoon's rather violent remarks about Kim and his peers led to conflict, but through coordination, the relationship was improved and they built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that transcended situations and conditions’ based on their affection for each other. Jun Ha Park and Kim’s relationship began with a memory of positive first meetings before becoming a member of Purun class. Joon Ha, who was proactive and active, quickly formed a relationship with Kim, but entered into a coordination phase with his actions to show off his power to peers. In the process, Jun Ha and Kim have experienced contradictory feelings to each other, and have built up a ‘conciliatory relationship that overcomes the contradictions of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 Seung Woo Yoon and Kim, who quickly formed an intimate relationship after the first meeting, achieved a high level of intimacy at the earliest time through a short tuning step and established a stable relationship. Since trust has been observed prominently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relationship, their relationship can be described as a ‘partnership relationship based on trust’. Woo Joo Jeong and Kim, who had negative images of each other before becoming a member of Purun class, began to form relationship with the lowest intimac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 problem behavior of Woo Joo appeared and caused frequent conflicts not only with Kim, but also with his peers. However, with Kim’s support, Woo Joo has gradually modified his behavior, which has accelerated their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the distance of mind was found between Woo Joo and Kim, but they tried to draw closer to each other’s mind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lationship, building a ‘assimilating relationship that narrows the distance of the mind’. Eun Sol Han and Kim bega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irst meeting at the entrance ceremony, and they formed a more individual and close relationship at the beginning because of Eun Sol who had a hard time adjusting. Kim tried to develop a positive relationship by striving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delicate tendency of Eun Sol. In this process, the composition of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Eun Sol and Kim was revealed, and it was found that they have built up a ‘symbiotic relationship that breathes and accompanies together’. The finding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urun class children and the teacher were continuously changed, and there were similarity of developing in three stages of the beginning of the relationship - the formation of the initial relationship - and the change of relationship.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relationships, the children and Kim showed reciprocal and asymmetrical relational characteristics as dyadic structures, and the children led the active and proactiv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urun class and the teacher has developed through similar stages, the differences in the series of processes, such as the omission of stages, the beginning and ending points of each stage, and the final stages reached, are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was multidimensional and multifaceted, and appeared uniquely according to individual relationships, and appropriate support and strategies were used according to each child's nee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relationship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affirms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the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in the educational context.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within a class i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provided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as a dynamic relationship building process. At the same time, as re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and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viewpoint,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further study to find practical ways to build positive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푸른반 유아와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 간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 관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바람직한 유아-교사 관계 구축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한빛유치원 만 5세 푸른반 유아 26명과 담임교사 1명을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기간 동안 총 68회의 참여관찰 및 교사와의 형식적 면담을 12회, 유아와의 형식적 면담을 10회 실시하였으며, 관찰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비형식적인 면담이 수시로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음성 녹음 자료와 현장 노트, 문서 자료 및 물리적 인공물 등을 포함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본으로 구성하여 질적분석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아-교사의 관계적 특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유아-교사별로 독특하게 발견되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사례별로 제시하였다. 먼저, 김태훈-김교사는 입학식에서의 첫 만남을 시작으로 관계를 형성해갔다. 김교사와 또래에 대한 태훈이의 다소 과격한 언행은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으나 조율 단계를 거쳐 관계를 개선해 나갔고, 이들은 서로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상황과 조건을 뛰어넘는 애정적 관계’를 구축해갔다. 박준하-김교사의 관계는 푸른반이 되기 이전에 긍정적인 첫 만남의 기억을 토대로 시작되었다.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의 준하는 김교사와 빠르게 관계를 형성해 나갔으나, 또래에게 힘을 과시하려는 준하의 행동이 나타나면서 조율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 과정에서 준하와 김교사는 서로에게 모순된 감정을 경험하였으며, ‘기대와 실망의 모순을 극복해가는 화해적 관계’를 구축해 나갔다. 첫 만남 이후 빠르게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 윤승우와 김교사는 짧은 조율 단계를 거쳐 가장 빠른 시기에 가장 높은 친밀도를 이뤄내며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해갔다.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신뢰가 두드러지게 관찰되었으므로, 이들의 관계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동반자적 관계’로 설명될 수 있다. 푸른반이 되기 이전부터 서로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정우주와 김교사는 가장 낮은 친밀도를 보이며 관계를 형성해가기 시작했다. 학기가 시작됨과 동시에 우주의 문제행동이 나타나 김교사뿐만 아니라 또래와 잦은 갈등을 유발하였으나, 김교사의 지원을 통해 우주는 점차 행동을 수정해 나갔고 이는 이들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앞당겼다. 이 과정에서 우주와 김교사 사이에 마음의 거리가 발견되었으나 이들은 관계의 변화 과정을 통해 서로의 마음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면서 ‘마음의 거리를 좁혀가는 동화적 관계’를 구축해갔다. 입학식에서의 첫 만남으로 관계를 시작한 한은솔과 김교사는 적응을 힘들어했던 은솔이로 인해 초기에 더 개별적이고 긴밀한 관계를 형성해갔다. 김교사는 여리고 섬세한 은솔이의 성향을 고려하여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 과정에서 은솔이와 김교사 간 공생 관계의 구도가 드러나 이들이 ‘숨 고르며 동행하는 공생적 관계’를 구축해 나갔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푸른반 유아들과 교사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변화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게 관계의 시작 – 초기 관계의 형성 - 관계의 변화의 3단계로 발전해 나간다는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유아들과 김교사는 이원적 구조를 나타내며 상호적이고 비대칭적인 관계적 특성을 드러냈고, 유아들은 교사와의 관계 구축 과정에서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관계를 이끌어 나감으로써 관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푸른반 유아-교사 간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이 유사한 단계를 거쳐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계의 생략이나 각 단계의 시작 및 마무리 시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달한 단계 등 일련의 과정에서 상이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유아-교사 간 관계가 다차원적이고 다면적으로 발현되어 개별 관계에 따라 고유하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개별 유아의 요구와 특성에 따른 적절한 지원과 전략들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적 맥락에서의 유아-교사 관계의 중요성과 의미를 재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 학급 내에서 유아-교사 간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을 질적인 방법으로 탐색하여, 역동적인 관계 구축 과정으로서 유아-교사 관계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 이와 함께 유아-교사 관계의 중요성을 재고하고 이를 바라보는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면서 긍정적인 유아-교사 관계 구축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