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6 Download: 0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학교폭력 특별교육 실시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Title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학교폭력 특별교육 실시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f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on Special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uthors
최수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Since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ocial issue, the phenomenon of school violence has continued to become a big problem in our educational community.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is also on the rise as social distancing restrictions have been eased and school has been normalized since COVID-19. In order to reduce school violence, various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since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 was implemented, but school violence is becoming more organized and underaged.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increase in school violence reports and reception in elementary schools compared to secondary schools. Nevertheless, due to the lack of specific operating guidelines and data on school violence measures and special education, individual school officials are handling issues and implementing education according to autonomy and competenc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conducted in individual schools and collect common opinion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special education of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special education is operated in the school fiel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current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ho commit school violence? Second, what is the effective method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ho commit school violence? Third, what are the advantages and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ho commit school violence in school? Fourth, what are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ho commit school violence in school?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dopt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listen to and grasp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dept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recognizes various perspectives that appear in the data in a way that studies in depth through a small number of samples.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in that common opinions are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consensus of researchers. The research team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eight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10 areas and 41 categories were deriv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nderstanding of school violence and the self-understanding of students were typically high as the content of special education. As a method of providing special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guardians of school violence distribu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in 2018 and self-produced materials were mainly used, and board games, tools, and video media were used as auxiliary.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completely resolving conflicts through special education and ha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school violenc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able to improve their expertise and play a pivotal role in the school for conflict mediation. Special education in the school had the advantage of being accessible,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enabling smooth follow-up counseling. However, there were also limitation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the difficulty of keeping confidentiality and stigma,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creased their workload and rather did not form a smooth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students and teachers may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rapport, but on the contrary, students may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counseling and counseling rooms,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was confirmed that a special education manual should be produced and distribut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 in charge is improved through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cooperative management of stude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rrent operation method of special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was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ractical experience of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the current offic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compare special educational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Comparison of special education in and out of school will also be possible. Furthermore, various follow-up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are expected to be possible by examining the school violence programs in other countries.;학교폭력이 사회적 이슈로 자리 잡은 이후 학교폭력 현상은 지속해서 우리 교육계에 커다란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제한의 완화 및 등교가 정상화됨에 따라 학교폭력 건수 역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교폭력을 줄이기 위해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여러 정책이 도입되고 시행되었지만, 학교폭력은 더욱 조직화되고 저연령화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중등학교와 비교하여 초등학교 내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가 증가하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내에서는 학교폭력 조치 및 특별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지침과 자료가 부족하여 개별 학교의 담당자는 자율성과 역량에 따라 사안을 처리하며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효성 있는 특별교육의 운영을 위해 개별 학교에서 실시되는 특별교육의 현황을 비교하고 공통으로 나오는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별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특별교육의 실시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에 있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특별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특별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교내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이 가지는 장점 및 효과는 무엇인가? 넷째, 교내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이 가지는 한계점 및 개선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듣고 파악하기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해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합의적 질적 연구는 적은 수의 표본을 통해 깊이 있게 연구하는 방식으로 자료에 나타난 다양한 관점을 인정한다. 연구자들의 합의를 통해 연구 결과에서 공통적인 의견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특별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총 8명의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이용해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10개의 영역과 4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특별교육 내용으로는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학생의 자기 이해가 전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별교육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2018년에 교육청에서 공문으로 배포한 학교폭력 가해 학생 및 보호자 특별교육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 자료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보드게임 및 도구 그리고 영상 매체는 보조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학생은 특별교육을 통해 갈등을 온전히 해결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고 학교폭력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문상담교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갈등 중재를 위해 교내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내 특별교육은 접근성이 좋고, 교사와 학생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이루어지며, 원활한 추수 지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특별교육의 한계점도 존재했다. 가해 학생은 비밀보장의 어려움을 느꼈고 낙인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며, 전문상담교사는 업무량이 증가하고 오히려 학생과의 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통해 학생과 교사 사이의 라포 형성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 맺음을 하기도 하지만, 학생이 상담 및 상담실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생겨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내에서 이루어지는 특별 교육은 완전한 비밀보장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교육의 실질적 효과가 감소된다는 단점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특별교육 매뉴얼이 제작 및 배포되고, 특별교육 관련 연수를 통해 담당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며, 교내에서 가해 학생에 대하여 여러 교사가 협력 관리해야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특별교육의 운영 방식을 알아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현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현장감 있는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폭력 특별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초등과 중등 및 교내와 교외에서의 특별교육 경험을 비교하고, 나아가 타 국가에서의 학교폭력 후속 조치를 살펴봄으로써 학교폭력 특별교육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