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5 Download: 0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 현황, 인식 및 요구 분석

Title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 현황, 인식 및 요구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Current Watching Status, Perceptions, and Needs of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s
한지혜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kindergarten teacher’s current watching status, perceptions, and needs of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YouTube as a teacher education tool.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current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s watching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is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watching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3. What is the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watching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rveyed 257 kindergarten teacher who watched th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YouTub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case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These are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the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s watching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as follows. As for the viewing route, access through keyword search was common, and smartphones were overwhelmingly used as viewing devices. The highest percentages were those with a frequency of watching at least once a week, watching for within 2 years, and watching 50 to 100 contents. The main purpose of watching YouTube contents was to make up for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mong the YouTube video topics, the topics watched by the largest number of teachers were parents, and the topics that the largest number of contents were watched were understanding &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 behavioral guidance. The most helpful topics for kindergarten teachers were understanding &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 behavioral guidance, and parents. As for the viewing type, watching multiple contents on the same topic, watching the same video repeatedly, and watching to the end of the video were more common than other case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watching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high degree of positive agreement with the overall viewing experience. In particular, they most agreed on spontaneity for themselves, expertise for producers, and shared goals for viewers. Based on the fact that YouTube contents and teacher education have in common that they aim a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comparison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platform advantage of YouTube contents was its accessibility, and the disadvantage was that it is difficult to ask questions to the instructor. Next, compared to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content advantage of YouTube contents was that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field, and the disadvantage was that it cannot guarantee the quality of content. Finally, compared to off-lin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advantage of YouTube contents was that the time and place can be determined freely, and the disadvantage was that it is difficult to ask questions to the lecturer.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needs kindergarten teachers watching YouTube content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follows. The theme most preferred was curriculum comprehension & implementation, and the preferred instructor w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 preferred length of each video was between 5 and 20 minutes. Among the support needed to effectively watching YouTube contents, it was most preferred to provide keywords that could tell the contents of the video at a glance. Many teachers supported the teacher training certification of YouTube contents. A high percentage preferred to partially reflect the method of recognizing YouTube contents as teacher training. This can be seen in the sense that a large percentage of people agree that YouTube complements, rather than replaces it with teacher training program. Considering the teacher educational potential of YouTube contents based on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The current situation is an early stage in which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shared on a new platform called YouTube, an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quality of YouTube contents.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accept YouTube contents as teacher training platform right now. In the future, if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cont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are unresolved, discussions about teacher training certification of YouTube contents are possible. Active interaction and self-regulation between creators and viewers, creates a virtuous cycle in which high-quality contents are accumulated and the number of instructors with expertise increases through numerous verifications. Therefore, teacher agenc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ntent quality of YouTube video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 현황을 파악하고,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유튜브를 통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튜브를 통해 유아교사 대상 동영상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기초로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 현황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4개 영역의 3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유아교사 대상의 유튜브 채널 내 커뮤니티 게시판에 온라인 설문조사 링크를 게시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케이스 퍼센트,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및 중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 시청 현황을 알아본 결과, 주된 시청 경로는 키워드 검색을 통한 접속이었고, 시청 기기는 스마트폰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시청 빈도는 1주일에 1번 이상 시청하는 비율이, 시청 기간은 2년 이하가, 시청 편수는 50-100편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는 주된 목적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서였다.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의 주제 가운데 가장 많은 교사가 시청한 주제는 학부모이고, 가장 많은 동영상이 시청된 주제는 교육과정 이해와 실행, 교실운영과 행동지도였으며, 가장 큰 도움이 된 주제는 교육과정 이해와 실행, 교실운영과 행동지도, 학부모의 순이었다. 시청 형태는 같은 주제의 여러 동영상을 보고, 같은 동영상을 반복하여 보고, 동영상의 끝까지 시청 완료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둘째,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의 시청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시청 경험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동의 정도가 높았다. 특히 스스로에 대해 자발성을, 제작자에 대해 전문성을, 시청자에 대해 목표 공유를 가장 높게 동의하고 있었다.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과 연수를 비교하였을 때의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원격연수 대비 플랫폼적 장점은 접근성이 좋은 점이었고, 단점은 강사에게 질문하기 어려운 점이었다. 다음으로, 원격연수 대비 내용적 장점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점이었고, 단점은 깊이있는 내용을 보장할 수 없는 점이었다. 마지막으로, 집합연수 대비 장점은 시간과 장소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점이었고, 단점은 강사에게 질문하기 어려운 점이었다. 셋째,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에 대한 요구를 알아본 결과, 가장 희망하는 주제는 교육과정 이해와 실행이었고, 선호하는 강사는 유치원 교사, 한 편당 선호하는 길이는 5분에서 20분 사이였다.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시청하기 위한 지원으로는 동영상 내용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키워드 제공이 가장 선호되었다.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의 연수 인정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이 많았으며,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의 연수 인정 방향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것은 유튜브가 기존 교사교육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보완하는 방향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이 더 많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현재는 유튜브라는 새로운 플랫폼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공유되는 초기 단계인 만큼, 교사교육적 변화가 유치원 교사의 대표적인 교직문화 중 하나로 정착되어 내용의 질과 강사의 전문성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어야 비로소 연수 인정이 가능할 것이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제작자와 시청자인 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율 규제가 적극적으로 일어난다면, 수많은 검증을 거쳐 질적으로 우수한 동영상이 축적되고, 전문성을 갖춘 강사진이 증가하는 선순환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교사의 주체성(agency)이 유아교사 대상 유튜브 동영상의 질적 제고 및 연수 인정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