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0 Download: 0

한·중 직장인의 비즈니스목적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연구

Title
한·중 직장인의 비즈니스목적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ffice Workers for Business Purpose
Authors
LI, JIAQI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In today's global business environment, there are many cases where people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have to close their business in the same space or gather in one place as needed. Against this large background of the times, Korea and China are highly dependent on each other,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barriers of the two countries and promote business communication. Other than that, although multicultural exchang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many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is a lack of qualitative research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argeting Korean and Chinese office workers for busines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st challenging areas and cultural obstacles when Chinese and Koreans interact in the workplace, and to find out the ideal preconditions that can improve a more effective and satisfying exchange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ith 20 Korean employees who work or have work experience in Chinese companies and 20 Chinese employees who work or have work experience in Korean companies were interviewed about difficulties and contributing factor for bette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ue to COVID-19,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in two ways, video call and email,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respondents' answers,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coding the cont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in Korea and China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verbal factors, non-verbal factors, cultural orientation, working attitudes, and workplace etiquette. When working with Koreans, the problems that Chinese workers feel are language verbal factors 32%, working attitudes 21%, cultural orientation 17%, workplace etiquette 17%, and non-verbal factors 13%. Among them, the speed of work is the biggest obstacle. On the contrary, when working with Chinese people, Koreans feel the problem of cultural orientation 34%, working attitudes 28%, verbal factors 21%, and workplace etiquette 17%. Among them, the political sensitivity part is the biggest obstacle. In addition, factors that promo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the other country's nationals,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other country, and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s: behaviors, attitudes, and skills. In order to communicate satisfactorily with Koreans, the facilitators that need to be mastered ar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Koreans 49%,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32%,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s 19%. Among them, the etiquette part is the biggest contributing facto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municate satisfactorily with Chinese people, the facilitating factors that need to be mastered ar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history 40%,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istics and image 33%,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s 27%. Among them, the part that avoids political topics is the biggest contributing factor. To conclude, there 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ceived by Koreans and Chinese. Reflecting these aspec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necessary training issues according to the target and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a bas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correct direc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designing programs for effective business communication for employees of Chinese and Korean companies and various institutions that conduct intercultural business communication.;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서 또는 필요에 의해 한공간에 모여서 비즈니스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 중국은 서로 산업적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특히 양국의 다문화 장벽을 이해하고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다문화 교류 연구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한중 직장인의 비즈니스 목적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질적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중국인과 한국인이 일하는 현장에서 상호교류를 할 때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중국인과 한국인 간의 보다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교류를 도모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회사에서 일하고 있거나 일하는 경험이 있는 한국인 직원 20명, 한국기업에서 일하고 있거나 일하는 경험이 있는 중국인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한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이슈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코로나19으로 인해 인터뷰는 비대면으로 영상통화와 이메일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응답자들의 답변에 대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코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의 답변을 살펴보면 한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은 크게 언어적 장애요인, 비언어적 장애요인, 문화적 성향, 근무태도, 직장 예절의 5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중국인 대상자가 한국인과 일하면서 느끼는 문제점은 언어적 장애요인 32%, 근무방식21%, 문화적 성향 17%, 직장예절 17%, 비언어적 장애요인 13%의 순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작업속도에 대한 부분은 제일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인 대상자가 중국인과 일하면서 느끼는 문제점은 문화적 성향 34%, 근무방식 28%, 언어적 장애요인 21%, 직장예절 17%의 순으로 나왔고 그 중에서 정치적 민감성에 대한 부분은 제일 큰 장애요인으로 보였다. 또한 한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촉진요소는 크게 상대국민의 특징과 이미지의이해, 상대국문화와 역사의 이해, 역량 개발: 행동, 태도, 기술의 3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국인과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한 촉진요소는 한국인의 특성과 이미지의 이해 49%, 한국문화와 역사의 이해 32%, 역량개발: 행동, 태도, 기술 19%의 순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예의를 갖추는 것이 가장 큰 촉진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인과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한 촉진요소는 중국 문화와 역사의 이해 40%, 중국인의 특성과 이미지의 이해 33%, 역량개발: 행동, 태도, 기술 27%의 순으로 나왔고 그 중에서 정치적인 화제를 피하는 것이 가장 큰 촉진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처럼 한국인 대상자 및 중국인 대상자 각각이 느끼고 있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 비슷한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여 대상과 상황에 따라 필요한 훈련 이슈를 적절히 조정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양국의 지역적, 국제적 수준에서 효율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중국인과 한국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가 중국과 한국 여러 기업체 및 각종 기관의 직원들에게 한국인과 중국인 간의 효과적인 문화간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