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3 Download: 0

중장년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유형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

Title
중장년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유형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
Other Titles
Association of the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 with the patterns of the longitudinal trajectory of change of Healthy Lifestyles among Middle-aged : Growth Mixed Model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2006~2020)
Authors
홍선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lifestyle, and health level in middle-aged and middle-aged when chronic diseases and changes in social activities rapidly increase. Humans develop multi-dimensionally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and each individual has a different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lifestyles, health status levels, and cognitive functions in old age show different changes in trajectories. Therefore, in this study, changes in health behaviors,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constituting the lifestyle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changes in health status levels were identified, and the trajectory of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se types was analyzed diachronically. Using the longitudinal data from the first to eighth years (2006 to 2020)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4,447 people aged 45 to 64 (born between 1942 and 1961)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he first year. Lifestyle (healthy behavior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and health status levels with dementia risk factors as sub-variables are applied with a Growth Mixed Model to identify the trajectory of change with a Latent Growth Model, A latent class was deriv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which integrates style and health level areas. Then, the change trajectories of the derived latent classes were comp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b-variables between classes were identified by type. Finally, the trajectory of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by latent class type was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level and trajectory of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6 latent classes were deri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The cognitive function of Class I, who improved their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cessation, moderate drinking,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middle age, and increased their social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improve as age increased from a high level at the beginning of the survey. The cognitive function of Class II, which showed low levels of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inactivity, although continuing social activities, was gradually declining to the average level of the entire middle age. Class III, in which the diagnosis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hypertension increased and social relationships decreased, had the lowest cognitive function in early middle age. The middle-aged Class IV practiced desirable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cessation,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heckups, and increased social activity. As age increases, social activity decreases, but Class V, which maintains and improves smoking cessation, moderate drink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regular eating habits, shows moderate cognitive decline. Class VI, who had low levels of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excessive drinking, and physical inactivity, experienced depression, decreased hearing, and decreased social activity, had the lowest initial cognitive function among the study subjects and the rate of decline was steep.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and health status level of the vulnerable group, the risk group, and the group with improved cognitive function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study target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As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can cover multiple factors of healthy lifestyle and health status level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decline and dementia, there is a latent difference in class in the trajectory of change within the same population(middle-aged). It is meaningful in finding a latent class and identifying the type of trajectory of change. Based on this, there is a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level and trajectory of change in cognitive function.;본 연구는 만성질환의 증가와 사회활동의 변화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인 중장년기의 인지건강에 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중장년은 삶의 전환기로 사회적 은퇴, 심리적 불안, 체력 저하, 만성질환 증가 등을 겪는다는 점에서 중장년의 건강과 인지기능 관계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전 생애에 걸쳐 다차원적으로 발달하며 개인마다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여건이 다르고 라이프스타일과 건강 수준에서도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는 노년기 인지기능에서도 다른 변화 양상으로 나타난다. 중장년기의 건강 라이프스타일과 인지기능의 관련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치매 발병 위험 요인으로 보고한 고연령, 20세 이전의 낮은 교육, 흡연, 과도한 음주, 신체활동 부족, 영양 부족, 우울, 비만, 청력 손실, 당뇨병, 고혈압, 사회적 고립 등 간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호복합적인 변화와 개인들 간의 이질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하는 건강행동 및 사회적 관계 및 활동의 변화와 건강 수준의 변화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유형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고령화연구패널의 1~8차년도의(2006~2020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1차년도 기준 45~64세를(1942~1961년 출생) 선정하여 4,447명을 분석하였다. 앞서 제시한 치매 위험 요인을 하위 변인으로 한 라이프스타일과(건강행동과 사회적 관계 및 활동) 건강 수준을 성장혼합모형(Growth Mixed Model)을 적용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으로 변화궤적을 파악한 후, 라이프스타일과 건강 수준 영역을 통합한 잠재 프로파일(Latent Profile) 분석으로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그다음 도출된 잠재집단의 변화궤적을 비교하고 집단 간 하위 변인의 특성을 유형별로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잠재집단의 변화 유형과 인지기능의 변화 양상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분석은 SPSS 23.0, Mplus 8.8을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결과 총 6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고, 인지기능의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년에서 바람직한 금연과 적정수준의 음주, 규칙적인 신체활동 등 건강행동을 개선하며 은퇴 후에도 사회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집단Ⅰ의 인지기능은 조사 초기 고수준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회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나 흡연과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 건강행동에서 저수준을 보인 집단Ⅱ의 인지기능은 중년 전체 평균 수준으로 완만히 저하되고 있었다. 비만과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 진단이 증가하고 사회적 관계가 감소하는 집단Ⅲ은 중년에서 초기 인지기능이 가장 낮았다. 장년인 집단Ⅳ는 금연과 규칙적인 신체활동, 건강검진 등 바람직한 건강행동을 실천하며 사회활동도 증가하는 집단으로 중년의 집단Ⅲ보다 인지기능이 높고 저하 양상 또한 완만하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회활동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금연과 적정음주, 규칙적인 신체활동, 규칙적인 식습관 등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집단Ⅴ는 중간 수준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완만히 진행되고 있었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 건강행동이 저수준이면서 우울감 경험과 청력 저하, 사회활동 감소세를 보인 집단Ⅵ은 초기 인지기능이 연구대상자 가운데 가장 낮고 저하 속도 또한 가팔랐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기부터 장기적으로 건강문제와 치매로 이어지는 인지기능 저하가 급속히 진행되는 취약집단과 위험집단, 인지기능이 향상되는 집단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 수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중장년을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로,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 발병과 관련된 건강 라이프스타일과 건강 수준의 다중 요인을 포괄할 수 있는 종합적인 틀로써 동일 인구집단 내 변화궤적에 차이가 있는 잠재집단을 찾아내어 변화유형을 파악한 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년 라이프스타일 및 건강 수준과 인지기능의 변화 양상의 관련성을 파악한 데 기존 연구와 차별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