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놀이기록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

Title
놀이기록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and meaning of records on children’s play
Authors
이효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놀이기록을 구성하고 활용하는 경험을 알아보고, 그러한 경험에서 직면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보며, 교사에게 놀이기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놀이기록은 놀이에서 생성한 자료를 구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유아가 성장하고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매개가 된다. 2019 누리과정이 개정된 이후,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놀이가 일어나는 맥락을 기록하며 놀이 안에 내재된 흥미, 배움, 교육과정의 요소를 발견하려는 시도가 활성화되고 있어 놀이기록과 관련된 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연구참여자 5명과 이루어졌다. 연구 기간동안 총 15회의 면담과 총 14회의 참여관찰을 하였고, 추가로 SNS를 통해 비형식적인 면담을 수시로 진행하고 놀이기록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기록을 구성하고 활용하는 경험, 어려움과 노력, 놀이기록의 의미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사들이 놀이기록을 실행하는 경험을 구성하기와 활용하기로 구분하면서 고정된 형태가 없이 현재의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놀이기록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먼저 교사들은 놀이기록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동적으로 시간과 형식을 관리하며 놀이기록의 주체로 유아를 참여시키고 풍부한 자료와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있었다. 또 유아의 관점에서 기록하기 위하여 다양한 표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생각을 교류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자료를 조직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구성된 놀이기록을 활용하여 놀이에서 유아의 관심을 파악하며 유아가 생각한 가설을 실험하도록 지원하고 놀이공간을 조정하도록 안내하였다. 또 유아의 배움을 돌아보며 배움과 관련된 탐구가 지속되고 확장되도록 지원하며 학급 전체를 위한 놀이지원과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놀이지원으로 구조화하였다. 더불어 유아의 관심과 배움을 탐색하면서 교육과정으로 연결하였다. 둘째, 교사가 놀이기록을 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이를 위한 노력을 살펴보면서 놀이기록을 5년 이상 실행해온 교사들도 여전히 어려움을 경험하고 끊임없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구성되면서 활용하는 순환적 경험이 부족하거나 의지나 신념이 흔들리거나 객관적인 해답이 없어 놀이기록을 실행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또 다중적 역할을 분담하고 협의할 수 있는 인적자원이나 시간같은 물적자원이 부족하고, 놀이기록을 평가절하하여 미니앨범처럼 인식하는 결과중심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어려움이 가중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사들은 유아들이나 동료교사와 놀이기록을 공유하며 이전의 경험을 탐색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모색하며 놀이기록의 가치에 대해 생각을 재정립하였다. 또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면서 유아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포착하고 자유롭게 협의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경험하는 놀이기록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놀이기록이 어떠한 가치를 향해 실행되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놀이기록을 통해 변화하는 존재로 유아를 깊이 이해하도록 관점을 개방시키고 유아, 동료교사, 부모와 소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 유아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배움을 확장하며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교사가 예상치 못하게 일어나는 복잡한 맥락에서 교수활동을 반성할 수 있어서 놀이기록이 의미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하는 유아를 이해하고 유아가 놀이에서 얻는 배움을 지원하기 위해 놀이기록을 하는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놀이기록은 놀이를 현상 그대로 포착하며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배움을 이해하는 관찰기록의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또 개정누리과정을 운영하려는 교사들에게 놀이기록의 방법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타인과 사고를 교류하고 과거의 경험과 연결하며 다양한 논리로 표현하는 배움에 대해 이해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더불어 놀이기록을 하는데 복잡하게 얽혀있는 개인적, 환경적 방해요소를 탐색함으로써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문화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eacher experiences in recording children’s play; composing and utilizing, the difficulties and efforts, and the meaning to teachers. A record of children’s play serves as a vehicle to support children's growth and learning in the process of composing and utiliz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nd out about the children's learning and show an unpredictable way of play.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the factors in the various experiences of teachers who transcribed play.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in their classe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flexibly managed time and format to compose a record of children’s play, engaged children as subjects of record, transcribed from the child's point of view, and organiz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urpose. Also, Teachers used the records to support children's interests, adjust play spaces, review children's learning, structure play support, and connect them to the curriculum.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experience, had internal conflicts due to uncertainty, were embarrassed by lack of resources, and struggled with a results-oriented culture. To overcome difficulties, teachers shared a record of children’s play, redefined its value, used digital devices, and created a demo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s faced various difficulties in personal, organizational, and social aspects while practicing the records. They recognized records as a process for understanding children and tried to overcome it. Teachers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 communicated actively, used as curriculum, and engaged in reflective teaching activities. They found meaning in children's actions and discovered their abilities and learning. They visualized children's representations and communicated based on them. They used it as a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learning. Learning in play was to form meaning and create new things. They were encouraged to engage in self-reflection and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records. This study found that records of children’s play is a cycle that understands dynamic play, captures a context for learning, and supports play in early childhoo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process of teachers expanding play and children's learning through the records. Also,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o transcribe play and connect it with a play-centered curriculum. This suggests that not only individual efforts but also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to transcribe pl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