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2 Download: 0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digit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s
김교령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사회 변화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디지털역량을 이해하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안)을 구안한다. 둘째, 전문가 검토 및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안)의 실행을 통해 수정 및 보완사항을 확인한다. 셋째, 프로그램(안)에 수정 및 보완사항을 반영하여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교육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 설계를 위하여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 내용과 요구 조사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를 명세화하였고,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평가, 운영방법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프로그램(안)을 도출하였다. 프로그램(안)은 전문가 10인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회기별 프로그램(안), 강의 ppt, 동영상 콘텐츠 등을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회기별 프로그램(안)을 토대로 서울과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9명을 대상으로 8회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안)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과정 평가, 프로그램(안) 적용 종료 후의 총괄 평가, 개별면담, 교사 저널, 디지털역량 자가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최종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수정 및 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최종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교육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목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교사의 전문적 역량 강화’,‘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습 역량 강화’,‘유아의 디지털역량 이해 및 지원’이다. 교육내용은 교육목표와 연계하여 선정되었으며, 교육주제인 ‘미래 유아교육의 방향과 교사의 디지털역량’,‘디지털 시민’,‘디지털 자료 선택, 제작, 활용’,‘교수학습과 디지털 테크놀로지’,‘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평가’,‘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 실행’에 따라 조직되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플립러닝의 방법을 활용하여 사전 개별학습과 실시간 전체교육으로 구성된다. 사전 개별학습은 강의, 온라인 확인평가, 개별실습으로, 실시간 전체교육은 질의응답, 강의, 워크숍, 토의로 진행한다. 교육평가는 프로그램 과정 평가(4회 이상) 및 총괄 평가(8회기 후), 교사 저널(6회기), 개별면담(2회기, 8회기), 디지털역량 자가평가(1회기, 8회기)를 통해 실시된다. 프로그램 운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며 최소 4명, 최대 10명으로 구성한다. 교수자는 디지털역량을 갖춘 유아교육 전문가로 선정한다. 교육 일정은 총 8회기, 15차시로 이루어지며 사전 개별학습은 6차시, 실시간 전체교육은 9차시가 진행된다. 교육 시기는 평일 저녁 시간 또는 주말이며, 교육 장소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므로, 온라인 접속 환경을 갖추고 노트북, 태블릿, pc와 같은 기자재 준비가 사전에 요구된다. 또한 기타사항으로 안정적인 교육 참여를 위한 시간 확보와 현장 적용에 대한 사전 양해를 위하여 기관장의 협조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직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을 종합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였다. 단순한 기술 강화가 아닌 디지털역량에 기초하여, 미래 유아교육과 디지털역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지털도구를 실습하고, 나아가 교육현장의 적용과 사례 공유를 통해 현장의 변화까지 이끌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프로그램의 전 과정이 온라인에서 진행되며, 실시간 쌍방향 학습과 비실시간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플립러닝의 방식을 활용하여 현직 유아교사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 프로그램을 기초로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nderstand the digital competency that is newly requir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implement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detaile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the educational program. Second, expert review of the program is conducted, and the program is executed for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rive revisions and supplements are confirmed. Third, the final educational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digit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derived by reflecting the modifications in the program process and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final education program was derived through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digit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analysis stage, educational aim and objectives were set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249 teachers in kindergarten for program design.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the educational purpose and goals of the program were specified by reflecting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tents of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us, the program(draft) was derived by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 evalution, operation method. The program(draf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tent validity review by 10 experts, and based on this, a program for each session, lecture ppt, and video contents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based on the program(draft) for each session, the program of eight sessions was applied to nin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In the evaluation stage, corrections and supplements for deriving the final program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process evaluation that appeared during the program execution process, the overall evaluation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individual interview, teacher journal, and digital competency self-evaluation data. Reflecting this, the final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digit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nfirmed. The final program developed is as follows. The educational aim of the program is to strengthen the digit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ducational objectives to achieve this are‘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teachers based on digital technology’,‘reinforcing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y using digital technology’, and‘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digital competency of young children’.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selected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educational topics,‘The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digital competency of teachers’,‘Digital Citizen’, ‘Selection, production and use of digital resources’,‘Teaching and Learning and Digital Technology’,‘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ssessment’,‘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Education Implement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st of pre-individual learning and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based on flipped learning. Pre-individual learning consists of lectures, online assessment of learning, and individual practice, and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consists of Q&A sessions, lectures, workshops, and discussions. Educational evaluation is conducted through program course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teacher journal, individual interviews, and digital competency self-evaluation. The program is for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sists of a minimum of 4 and a maximum of 10. Instructors are selected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ith digital competence. The program schedule consists of 8 sessions, and it takes a total of 15 hours. Pre-individual learning runs for 6 hours, and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lasts for 9 hours. The program period is on weekday evenings or weekends, and the training location is conducted in an online community and real-time video conference platform. In addition, the cooperation of the head of the institution is required to secure time for stable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to understand in advance for field applica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based on this, a program model that can comprehensively strengthen the digital capabilities of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It is meaningful that digital tools were practiced based on understanding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igital competency, rather than simply strengthening technology and also led to changes in the field through application of educational field and sharing of cases and ideas.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entire program was conducted using flipped learning that combines synchronous interactive learning through online and self-directed learning,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be an opportunity to support children's play and learning by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strenghthen of digit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