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아동의 기질과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모자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itle
아동의 기질과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모자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uthors
이혜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Children grow up through play, talk through play, and build their own world through play. Children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body, cognition, emotion, and sociality through play, have the right to make their own life decisions and control, and even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s such, for children, play is an important tool for growth and becomes a very important basic material for building their own world. As interest in play increases, interest in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play is also increasing. Even in the same play situation, children's play appears in various aspect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this play can be called playfulness. Playfulness is a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who enjoys play, causing qualitative differences in play and affecting areas such as children's development and self-regulated sociality. Factors influencing playfulness includ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 this study, interaction with parents,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that develops children's playfulness, and temperament, a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 that children are born with.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nd examined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and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ata distribution for each variabl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for each variable.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with par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children's playfulness,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and the significance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ducted through Sobel test.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our temperament factors, three factors of stimulation pursuit, social sensitivity, and patience were correlated with interaction. The pursuit of stimulation was found to have a weak negative correlation, and no special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edging and mother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ensitivity and patience and interaction with mothers.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children's playful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interaction and the child's playfulness, an intermediate posi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mother's interaction and the child's playfulnes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interactivity with the mother, the higher the child's playfulness tends to increase.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can be seen that children's temperament does not directly affect playfulness, but is only affected through mother inter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influence of a child's temperament on playfulness is mediated by the mother's interaction, the child's tendency to seek stimulation, social sensitivity, and pat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especially the mother's interac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infants themselves do not directly affect playfulness, but there is an effect when the mother's inter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r further from previous studies that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playfulness with parents, and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playfulness.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the child's temperament is mediated by the mother's interaction and affects playfulness, and that the mediating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at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mother's interaction by dividing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into four dimensions: stimulation pursuit, hedging, social sensitivity, and patience. In addition,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self-reporting scale reported by parents to children, this study also differentiates the method in which experienced experts simultaneously observe and analyze mot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video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parental interactio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s temperament,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lay interaction by harmony.;아동들은 놀이를 통해 성장하고, 놀이를 통해 대화하며 놀이를 통해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해 나간다. 아동은 놀이를 통해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 을 도모할 수 있으며 스스로의 삶의 결정권과 통제권을 가지게 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아동에게 놀이는 중요한 성장의 도구이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데 아주 중요한 기초재료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놀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놀이의 질적인 특성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같은 놀이상황이라고 할지라도 아동의 놀이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놀이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놀이성이라고 할 수 있다. 놀이성은 놀이를 즐기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으로, 놀이의 질적인 차이를 발생시키며 아동의 발달과 자기조절 사회성 등의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아동 개인적 특성과 외부 환경적 요인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이 생득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성격적 특성인 기질과 아이의 놀이성의 발달시키는 외부 환경적 요인인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과 놀이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모자간의 상호작용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첫째, 각 변수별 데이터 분포를 살펴보고, 데이터를 요약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별 상관성을 산출하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정은 Sobel 검정을 통해 실시하였다.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성 간 상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4개의 기질 요인 중에서 자극추구, 사회적민감성, 인내의 세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과의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극추구는 약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위험회피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성 간에는 특별한 상관이 확인되지 않았다.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성간 상관관계는 약한 정적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놀이성간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아동의 기질과 놀이성에서는 큰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어머니의 상호작용성과 아동의 놀이성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성과 아동의 놀이성간에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놀이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에 아동의 기질은 놀이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동의 기질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본 결과 아동의 위험회피 성향과 아동의 놀이성 사이에서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성은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으며 아동의 자극추구 성향, 사회적 민감성 성향, 인내력 성향은 아동의 놀이성 사이에서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은 매개효과를 가지며, 특히 어머니의 상호작용은 두 변수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유아의 기질적 특성 자체는 놀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했을 때에 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질과 놀이성관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놀이성의 관계를 규정짓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두 변인과 놀이성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의해 매개되어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과적으로 확인했다는 점과 기질적 특성에 따라 매개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기질적인 특성을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민감성, 인내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놀이성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성간의 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도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 상호작용을 파악하였던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또한 모자간 상호작용을 부모가 아동에 대해 보고하는 자기보고식 척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숙련된 전문가가 영상을 통하여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관찰하고 분석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는 것에도 차별성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상호작용성을 개선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과 아동의 기질별 특성을 이해하고 조화적합성에 의한 놀이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