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음악 반응 행동과 음악의 혜택에 대한 주양육자 인식

Title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음악 반응 행동과 음악의 혜택에 대한 주양육자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fictiveness of modem novel and reconstruction of time in modern novel
Authors
정혜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가정 내 음악 활동 현황과 음악 활동에서 나타나는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반응에 대한 주양육자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 1세부터 만 18세까지의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주양육자이며 특수학교, 발달센터,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 장애 부모 모임 온라인 사이트에서 설문 조사에 대해 안내하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설문 조사는 주양육자와 자녀의 기본 정보를 비롯하여 가정 내 음악 활동 현황, 음악 활동의 혜택에 대한 주양육자 인식,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음악 선호와 음악 반응성에 대한 주양육자의 인식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주양육자는 일상 생활 지원에 하루 평균 7.2시간을 사용하며 그 중 음악 활용 시간이 평균 2.1시간으로 음악 감상활동이 가장 빈번하였다. 음악 활동의 목적은 자녀의 선호 활동이기 때문이고 자녀가 선호하는 음악을 주로 들려준다고 하였다. 일상생활 지원 및 놀이와 여가를 위해 음악 활용을 하는데 음악 장르로는 동요가 가장 많았고, 음악 활동이 주는 혜택에 대한 주양육자의 인식에서 음악 활동을 통해 주양육자는 편안함을 느끼고, 음악 활동은 자녀에게 혜택을 준다고 하였으며 그 혜택으로 자녀와 주양육자 모두에게 정서적 안정감이라고 답하였다. 또한 자녀와의 음악 활동에서 자녀가 선호하고 즉각적이고 긍정적 반응을 보일 때 주양육자는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가 큰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는 주양육자의 혜택과는 관련이 없지만 자녀의 혜택과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특히, 의사소통 수준으로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을 3개의 그룹으로 범주화하여 음악 반응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을 때 전반적인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거나 소수의 타인과 제한적인 의사소통만 가능한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 주양육자가 자녀의 음악 반응이 긍정적이라고 답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가정 내 음악 활용 전략 개발의 필요성,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주양육자가 자녀 발달을 위한 지원에서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안정적 역할 가능성, 중도중복장애 아동·청소년의 지원 방안 등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초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usic activities in the hom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rmediate overlapping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rmediate overlapping disabilities in music activ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verlapping disabilities from the age of 1 to 18, and voluntarily agreed to the survey at special schools, development centers, self-reliance support centers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online sites. The survey collected related data,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main caregiver and children, the status of music activities at home, the perception of music preferences and music reactiv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verlapping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verlapping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ed an average of 7.2 hours a day to support their daily lives, of which music usage was the most frequent with 2.1 hours. It is said that the purpose of music activities is because they are children's preferred activities, and that they mainly play music that their children prefer. Music was used to support daily life, play, and leisure, and music was the most common genre of music, and the main caregiver felt comfortable through music activities, and music activities were said to be emotional stability for both children and caregiv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main caregiver feels comfortable when the child prefers and responds immediately and positively in music activities with the chil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ild's benefits, although not related to the main caregiver's benefits. In particular, whe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verlapping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o confirm the correlation of music reactivity, children with overlapping disabilities and adolescents with limited communication with a small number of othe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basic data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need to develop music utilization strategies at home, the possibility of stable role as a service provider for child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