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fant & play-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uthors
김영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실행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영아교사를 지원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ㆍ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2.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ㆍ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최종 구성안은 어떠한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ㆍ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요구조사, 프로그램 시안구성, 타당도 점검, 프로그램(안) 실행 및 평가를 거쳐 개발되었다.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기 위해 먼저, 표준보육과정과 영아교사의 전문성, 영아교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하였다.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영아교사와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고,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 면담과 설문을 통한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운영방식을 선정ㆍ조직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고, 유아교육ㆍ보육학과 교수 및 보육전문가, 어린이집 원장과 영아교사 15인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이후 서울시 소재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담임교사 7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14일부터 9월 1일까지 8주 동안 프로그램(안)을 실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는 과정은 기관 섭외, 원장의 내용 검토 및 연구 수락, 참여자 동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가 결정된 후에는 사전 설문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반영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역량 자기평가도구’와 ‘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고, 실행 과정에서 도출된 수정사항과 연구 참여자 평가를 토대로 프로그램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ㆍ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최종안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별 학급에서의 영아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실행역량을 증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4가지 목표는 ‘영아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이해하고 실천하기’, ‘놀이를 통한 영아의 경험과 배움 이해하고 지원하기’, ‘개별 학급의 고유한 특성이 드러나도록 영아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하기’, ‘동료 교사 및 부모와 지속 가능한 협력 관계 형성하여 함께 배우며 성장하기’이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목표와 일관성 있게 선정하여 조직하고, 프로그램 주제는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익숙한 틀에서 변화하는 새로운 영아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이해하기, 놀이하는 영아 이해하기, 영아의 일상과 놀이 그리고 배움 연계하기, 놀이를 바꾸는 공간과 자료의 활용 지원하기, 다양한 상황에서 놀이 지원하기, 영아의 놀이와 배움 기록하고 평가하기, 동료 교사와 영아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탐색하기 및 부모와 영아ㆍ놀이중심 보육철학 공유하기, ‘영아ㆍ놀이중심 보육과정 실행자로서의 변화된 나 발견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영아ㆍ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총 8회기 120~150분(총 17시간) 8명 이하의 소집단으로 운영한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강의, 사례 나누기, 토의, 저널쓰기, 연습이며, ‘공유하기(전 주 교육내용을 반영한 현장적용 사례 나누기) → 참여하기(주제 관련 경험 이야기 나누기 및 해결 문제 도출을 위한 토의) → 이해하기(주제 관련 핵심 강의) → 적용하기(현장적용 전략을 세우기 위한 토의) → 평가하기(연습)’를 교수학습의 기본 체계로 하되 교육 참여자의 이해정도와 반응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한다. 또한 활동지(worksheet), 평가지(checklist), 만족도 설문지, 저널쓰기(현장적용사례지) 등을 통해 참여자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용상의 활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ㆍ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제안하고 영아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되고 영아보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여 궁극적으로 영아보육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help infant teachers to improve their executive abilities of infant & play-oriented programs based o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fant & play-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4th curriculum? 2. What is the final proposal by developing an infant & play-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4th curriculum? The infant & play-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4th curriculu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precedent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demand survey, program draft composition, validity check, program implementation & effectiveness evaluation, program revision & supplementation process. For the program draft,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infant teachers’ expertise, and infant teacher education were made, and for finding out various needs, interviews with ten infant teachers and principals in the field, and a survey of 243 infant teachers in Seoul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survey, the program's purpose & goal, contents,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operation method were selected and organized, and the first program proposal was composed. Also,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15 in total of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Childcare Education, childcare professionals,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infant teachers was made. Since then, th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for eight weeks from July 14 to September 1, 2021 for seven homeroom teachers of infant classes at three workplace childcare centers in Seoul. The recruiting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done by institution arrangement, the director’s review and acceptance and participants’ consent. After determining participants, their needs for the program identified by a preliminary survey reflected in the program oper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using the 'self-evaluation tool of practice competency on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the final program plan was developed by the corrections derived in the execution process and the evalu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final draft of an infant & play-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developed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improve the executive ability of an infant &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in individual class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4th curriculum. The four goals for this purpose are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curriculum’, ‘to understand and support infants’ experiences and learning through play’, ‘to operate the curriculum to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lasses’, and ‘to learn and grow together through forming a sustainable partnership between fellow teachers and parents’, The program contents are to be selected and organized consistently with the goals, and the program themes are to be conducte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the new curriculum changing in a familiar framework’, ‘Understanding a playing infant’, ‘Connecting child’s daily lives and plays with learning’, ‘Supporting the use of space and materials changing play’, ‘Supporting plays in various situations’, ‘Recording and evaluating an infant play and learning’, ‘Exploring support plan of infant plays with fellow teachers’, ‘Sharing the infant and play-oriented childcare philosophy with parents’, ‘Discovering the changed myself as an implementer of the curriculum’. The program i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for 120 to 150 minutes (17 hours in total) in a small group of eight or less. The program'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lectures, case sharing, discussions, journal writing, and practice. And it has to be operated flexibly based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response of education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basic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haring (sharing field application cases reflecting previous education contents) → participating (discussing topic-related experiences and deriving problem solution) → understanding(key lectures on topics)→ application(discussion to establish a field application strategy) → evaluation (practice)”, In addition, it induces active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education participants through worksheets, checklists, satisfaction questionnaires, and journal writing (field application case papers), and uses application methods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rogram. To sum up, this study propos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infant and play-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drawing up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that can be used for infant teacher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infant care will be ultimately improved by developing the expertise of infant teachers and enhancing the operation of infant care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