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리처드 세넷의 장인의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Masterpiece」에 관한 연구

Title
리처드 세넷의 장인의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Masterpiece」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Masterpiece」 Based on Richard Sennett's Craftsmanship
Authors
현민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인류는 과거 농업혁명에서 산업혁명으로까지 이행하는 과정을 거치며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그리고 현대사회는 수차례의 산업혁명을 겪으며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보다 많은 것을 향유 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인간은 점차 기술에 과잉 의존하게 되어 개인의 창조적 역량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는 형편에 처하게 되었고 사회가 만들어낸 기준과 잣대에 맞추어 자신을 가꾸어 나아감으로써 일에 대한 동기와 목표의식을 가지고 사고하는 힘을 상실해 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변화에 주목한 미국 사회학자 리처드 세넷(Richard Sennett, 1943~)은 그의 저서 『장인, The Craftsman』(2008)에서 제작하는 습성을 지닌 호모파베르로서의 인간 본성을 함양해야 함을 진단하고 현대인이 상실한 생각하는 기능을 회복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며 장인의 신(新)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그는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주체성을 발견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함으로써 개개인이 스스로 인생에 장인으로서 삶을 살아야 함을 고증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세넷이 『장인』에서 주목한 장인의식을 무용창작작품 「Masterpiece」(2021)에 적용하여 안무하였다. 그리고 작품을 총 3장으로 구성하여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움직임과 이동경로, 오브제와 의상을 분석하고 탐색함과 동시에 주체적 장인으로서 창조정신을 발현해가는 인간의 모습을 통해 장인의식의 표현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1장은 ‘Making’을 주제로 하여 유형과 무형의 작품을 제작하는 장인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무대 상수 뒤쪽을 작업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낮은 채도의 노란빛 탑 조명을 활용하여 과거 작업장의 협소한 공간의 분위기를 느끼도록 연출하였다. 잔잔한 피아노 반주에 맞춘 첼로 곡을 사용하였으며 무용수는 상체의 움직임을 부각시키며 자신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깊은 이해와 몰입의 과정에 있는 장인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또한, 작품 제작의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오브제인 색깔 상자들을 사용함으로써 장인이 자신의 철학과 개성을 담은 작품 제작에 심취하고 있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2장은 ‘Lost to’를 주제로 하여 산업사회의 도래로 점차 장인의 창조적 역량의 가치가 점차 사라져 상실감을 느끼는 장인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무대의 앞쪽을 상실의 공간으로 설정하여 빨간빛 부분조명으로 무용수의 위기와 긴장감에 효과를 더하였고, 경직된 분위기를 불러일으키는 전자 음악을 사용하여 무용수의 불안정한 심리를 표현하였다. 무용수는 작업의 공간을 벗어나 상실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신체를 수축 및 이완하는 에너지를 혼용하여 표출함으로써 예측 불가한 변화로 인해 구축되는 내면의 소용돌이를 표현하였다. 또한, 오브제로 사용된 검은색 부직포 위에 일정한 모양으로 제작된 흰색 상자를 올려두어 컨베이어 벨트를 상징함으로써 빠르게 이행하는 사회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겪게 되는 장인의 갈등과 강박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더불어 1장에서 허리에 두르고 있던 장인 고유의 스커트를 벗음으로써 가속화된 산업사회 속에서의 저항과 모호의 상태를 껴안고 새로운 환경에 도전하며 창조정신으로 현재를 타개해보려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3장은 ‘Find it’을 주제로 하여 주체가 지능적으로 사유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사고방식과 새로운 장인의식을 가지고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무대 전체는 자각의 공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사회의 변화를 포용한 후에 나타나는 내면의 수용과 안정, 평화의 감정을 초록빛의 전체 조명을 통해 연출하였다. 3장은 오케스트라 음악을 사용하여 깊은 음색과 조화로운 분위기를 조성하였고 무용수가 흰색 상자 오브제를 들어 색깔 상자 오브제와 새로운 조화를 이루며 기술과 예술의 통합을 시도하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때 작업의 공간으로 회귀한 후 벗었던 스커트를 다시 집어 올려 허리에 두르고 상자 오브제를 바라보는 장면을 통해 현대사회가 지향해야 할 장인의 주체성 확립을 위한 또 다른 도전의식을 암시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 「Masterpiece」를 통해 현대인이 간과하고 있는 개개인의 장인성에 대해 재고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시대에 인간이 자신의 분야에서 분명한 동기를 가질 때 사회적 문제 또한 융합하여 지혜롭게 해결해나갈 수 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작품에서 멈추지 않고 혁신을 이뤄내는 장인의 모습과 장인의식 발현의 중요성은 현시대의 무용작품을 창작하는 안무가의 주체성 확립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신의 실존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줄 것이다. ;Humans have constantly been changing by transition from the agricultural revolution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ast. And modern society has been able to enjoy more than before due to several industrial revol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as humans gradually become overreliant on technology, they find themselves in a situation where they cannot fully express their creative abilities and lose power. American sociologist, Richard Sennett(1943~), noting this negative change, diagnosed the need to cultivate human nature as a Homo Faber with the habit of making in his book , and ascertains that people shall live their own lives as craftsmen by discovering the identity through analyzing the method of recovering the function of craftsman. Accordingly, the author applied craftsmanship that Richard Sennet noticed in to 「Masterpiece」(2021), a creative dance work, and choreographed it. And, by composing the work with three chapters of subject, content, and spatial use, the author analyzes and explores composition by scene, and movement path of the dancer, objects, and costumes, and investigat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rough the figure of the human being that express the creative spirit as subjective craftsmen. Chapter 1 expresses the appearance of a craftsman who creates tangible and intangible works under the theme of ‘Making.’ Accordingly, the right-back of the stage was set as the workspace, and the low-saturation yellow top lighting was used to create a feeling of the narrow space of the previous workshop. A cello song matched with a gentle piano accompaniment was used. The dancer emphasized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showed the figure of a craftsman in the process of deep understanding and immersion to create the work. In addition, using objects such as colored boxes to describe the situation of making a work symbolically expresses the craftsman's passion for making works that contain his philosophy and personality. Chapter 2, with the theme of 'Lost to,' a creative dance work, shows craftsmen who feel a sense of loss as the value of their creative ability gradually disappears due to the advent of industrial society. By setting the front of the stage as a space of loss, red partial lighting added effects to the dancer's crisis and tension, and electronic music that evokes a rigid atmosphere was used to express the dancer's unstable psychology. The dancer moved out of the space of work and moved to the space of loss and expressed the inner vortex caused by the unpredictability by mixing and expressing the energy that contracts and relaxes the body. In addition, the author puts a white box made in a certain shape that symbolizes a conveyor belt on a black nonwoven used as an object to indicate that mass production is taking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moving social changes and social demands. This also expressed the conflict and compulsion of the craftsman who suffers from this metaphorically. In addition, the dancer took off the craftsman's own skirt, which was worn around the waist in Chapter 1, embracing the state of resistance and ambiguity in the accelerated industrial society, challenging a new environment, and symbolically trying to overcome the present with a creative spirit. Chapter 3, under the theme of 'Find it,' shows the subject changing with a future-oriented way of thinking and new craftsmanship through the process of intelligently thinking and producing. The entire stage was set as a space of awareness, and the feelings of inner acceptance, stability, and peace that appeared after embracing social change were produced through the full green lighting. Chapter 3 also uses orchestral music to create a deep tone and harmonious atmosphere. The dancer lifts a white box object to create a new harmony with the color box object, expressing an attempt to integrate technology and art. After returning to the space of work, the dancer picked up the skirt she had taken off again, put it around her waist, and looked at the box object, suggesting another challenge to establish the subjectivity of the craftsman that modern society should aim for. In this study, through the creative dance work, 「Masterpiece」, the author tried to deliver the idea that people again think about individual craftsmanship, which modern people overlook and will be able to solve social problems wisely in this rapidly changing era when they have a clear motivation in their field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appearance of a craftsman who achieves innovation without stopping in his work and the expression of craftsmanship provide an important clue for self-realization as a craftsman even for choreographers who create dance works of the present ag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that makes them look back on their own exis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