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 위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출구」에 관한 연구 | 차은비 | Master's Thesis |
2022 | 존 브래드쇼의 『수치심의 치유』 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Lost to...」 에 관한 연구 | 이서연 | Master's Thesis |
2022 | 소스타인 베블런의 과시적 소비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시선의 박물관에서」에 관한 연구 | 김수진 | Master's Thesis |
2022 | 무용창작작품 「무(無)」 에 관한 연구 | 어진 | Master's Thesis |
2022 | 고독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마주하다」에 관한 연구 | 이혜지 | Master's Thesis |
2022 | 무용창작작품 「Epiphany」에 관한 연구 | 오승희 | Master's Thesis |
2022 | 국립무용단 「회오리」와 「시간의 나이」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특성 연구 | 김태희 | Master's Thesis |
2022 | 유럽 컨템포러리 댄스에 내재된 유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영진 | Master's Thesis |
2022 | 리처드 세넷의 장인의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Masterpiece」에 관한 연구 | 현민지 | Master's Thesis |
2021 |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근대 특성을 기반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두 세계」에 관한 연구 | 한지연 | Master's Thesis |
2021 | 아르네 네스의 심층생태주의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Oneness」에 관한 연구 | 박지현 | Master's Thesis |
2021 | 나혜석의 『경희』에 내재된 여성주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나, 飛」에 관한 연구 | 백수연 | Master's Thesis |
2021 |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모티브로 한 무용창작작품「시끄러운 고독」에 관한 연구 | 최효련 | Master's Thesis |
2021 | 무용창작작품 「Blue Moon」에 관한 연구 | 전수산나 | Master's Thesis |
2021 | 무용작품 「조각」에 관한 연구 | 김채연 | Master's Thesis |
2021 | 무용창작작품「시선의 무게」에 관한 연구 | 백소영 | Master's Thesis |
2021 | 무용창작작품 「사이」에 관한 연구 | 김수영 | Master's Thesis |
2021 | 칼 융의 자기실현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나를 향해 질문하다.」에 관한 연구 | 김미솔 | Master's Thesis |
2021 |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회유하는 시선」에 관한 연구 | 이아인 | Master's Thesis |
2021 | 무용작품 「걸작」에 관한 연구 | 조혜정 | Master's The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