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교사를 위한 자연재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교사를 위한 자연재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natural hazard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 Focused on social studies
Authors
전상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성효현
Abstract
본 연구는 교실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재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로써 학습자 중심이며, 지역적 특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며, 일련의 재난관리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교육모듈의 올바른 이해와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교수효능감, 인식에서의 변화와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육모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재해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재해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반지식을 도출하였다. 사회과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모듈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회과와 재해교육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사회과와의 연계성 분석은 2015개정 교육과정 속 재해교육과의 진․간접적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과 ‘재해교육에 적합한 학습방법’과 사회교과역량, 기능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모듈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장 교사들의 재해교육 실태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교육모듈을 개발하였다. 교육모듈을 이해하고 모듈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에는 사회과 교사 34명이 참여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변화는 교수효능감, 인식, 만족도 면에서 평가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회과와 재해교육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재해교육과의 연계성을 중학교 ‘사회 1’과 고등학교 ‘통합사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재해교육과 연계된 성취기준은 중학교 사회 1에서 3곳과 1곳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재해교육이 가능한 부분을 분석한 결과 중 1의 경우에는 재해교육이 가능한 성취기준이 3곳에서 26곳으로 확대되었으며, 통합사회의 경우에는 1곳에서 19곳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현직 사회과 교사 76명을 대상으로 재해교육 실태와 재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사회과 교사들은 대부분 자신의 교과목과 자연재해 교육의 연결성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자연재해 교육의 중요성을 매우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자연재해교육을 위해 검증된 수업자료나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현장에서 자연재해 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현재 재해교육을 주로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수업자료는 많은 교사들이 개인적인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자연재해 관련 교사교육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교육 시간에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실제 교육 자료를 제공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 자연재해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원해줬으면 하는 사항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교사가 ‘다양한 자연재해 관련 활동 및 교육 자료의 제공’을 선택함으로써 교사들이 재해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검증된 수업자료를 학습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실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중심이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며, 일련의 재난관리 전 과정을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10개의 교육모듈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각 모듈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활동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학교, 가정에 대하여 생각해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재해연보 데이터나 한반도 단층도, 침수흔적도 등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모듈이 초점을 두는 재난관리 단계가 있어 10개를 모두 학습 할 시 재난관리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모듈에는 각 모듈이 적용되기에 적절한 수준에 따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구분되어 있는데, 중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은 6개로 총 9차시이며, 고등학교는 중학교 6개와 고등학교에만 적용될 수 있는 모듈 4가지를 포함하여 총 10개 모듈에 대하여 14차시 내용이 적용가능하다. 각 교육모듈에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 학생 활동지, 교사도움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모듈을 교사들에게 전달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2차시로 구성이 되었는데 1차시에서는 재해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재해교육의 기반지식을 전달하고 이해시키고자 하였으며, 2차시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모듈 10가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일부 모듈에 대해서는 학습자 입장에서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섯째, 사회과 교사 34명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교수효능감, 인식에서의 변화와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교수효능감의 경우 교수효능감을 구성하는 개인교수효능감과 교수결과기대감에서 모두 교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에 대한 평가는 객관식과 주관식으로 구성되었는데, 객관식 문항인 ‘재해교육의 효과적 구성에 대한 자신감’과 ‘재해교육과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결과 두 항목 모두에서 교육효과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의 주관식 문항은 재해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할 수 있는 지식과 역량에 대해 묻고 있는데 교육 후에 답변이 구체적이고 다양해졌으며, 교육 자료가 담고자 했던 핵심내용들이 답변으로 제시되어 교육의 내용이 자료를 통해 잘 전달되어 재해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족도 조사 결과 대체로 모든 문항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족도 조사의 주관식 답변을 통해서 교사들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유용한 교육모듈과 수업아이디어, 다양한 접근법 등을 알게 된 점에 크게 만족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실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를 학습자 중심이며,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재난관리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모듈 형태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해교육과 사회과 간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 및 분석함으로써 사회과에서의 재해교육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재해와 관련하여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교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재해교육과 관련한 교사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ule for natural hazard education that can be used at the classroom level. The educational module aimed at in this study is learner-centered, enables learn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s, utilizes real data, and can learn the entire processes of disaster management. And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education module, an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ers was presented. In addi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change, and satisfaction were evaluated. In order to develop the education module, first,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hazard education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basic knowledge that was helpful in designing and executing hazard education effectively was derived. And in order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ule that can be used in social studies,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studies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actual situation of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of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The training module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sults. An educational program was present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module an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odule, and 34 social studie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Changes in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evaluated in terms of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the number of sub-units that can provide natural hazard education has greatly in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of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hazard education programs, most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lot of connection between their subjects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very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natural hazard education. However, most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verified class materials or programs for natural hazard education is the biggest difficulty in conducting natural hazard education. Third, in this study, 10 educational modules were developed that are learner-centere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utilize real data, and learn all the series of disaster management processes. Accordingly, each module includes students' activities and was developed to help students think about the community, school, and home in which they live. In addition, it enables learning based on actual data such as disaster annual data, fault map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looding traces, and there is a disaster management stage that each module focuses on. Accordingly, if all 10 education modules are studied,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can be learned. Fourth, a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deliver the developed education module to teachers and to help them effectively use it in actual classes. In the first session, it was intended to convey the basic knowledge of natural hazard educatio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atural hazard education. In the second session, 10 educational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explained, and some modules were configured so that learners could experience them. Fifth, changes in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evaluat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eaching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ducational effect in both ‘personal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eaching outcome expectancy’. In the cognitiv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was improved in both the ‘confidence in the effective composition of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natural hazard education’. In addi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learners can learn through natural hazard education became more specific and diverse.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generally positive evaluations were made on all it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 education module that is learner-centered,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uses real data, and can learn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In addi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the foundation was lai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natural hazard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ts realization.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eacher research related to hazard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