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이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itle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이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rt Criticism Education focusing on AI- based Art on Highschool students' Media Literacy
Authors
김예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최근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미디어 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미디어 세계는 현실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활용하는 능력이 이 시대의 핵심역량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정보를 공유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장으로서 미디어의 생산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이용태도, 미디어 활용 능력의 차이, 집단의 권력 구조화, 정보의 왜곡, 폭력, 마약과 같은 헬스 이슈 등이 현실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빠르게 발전하는 미디어 속의 과학기술은 이용자의 개입 없이도 그들에게 유리한 패턴을 반복하며 무의식적으로 그들의 특정한 사고와 행동을 강화하는 문제를 낳거나, 정치적·경제적 목적을 지닌 미디어의 속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용자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Buckingham, 2019). 이러한 미디어 이용에 관한 대부분의 문제는 낮은 수준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교육적 도구로 활용하여 미디어에 관한 기술과 능력을 갖추는 것을 강조하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미디어 이용 태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미디어 학자들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비판적 이해, 그리고 창조하는 능력을 제시하면서, 넓게는 미디어에 대한 맥락적인 이해와 미디어를 통한 소통 능력을 포함하여 미디어 리터러시를 설명한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의 제작과정이나 기술적 즐거움 자체에 치중하여 미디어 정보의 생산과정과 비판적 이해라는 본래의 취지와 다르게 실행되는 경우가 많다(김아미, 2015). 정보에 대한 분석 능력과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교육적 관심 속에서 미술비평교육은 비평문 작성, 상호 토론, 작품에 대한 담론 형성 등을 통해 학습자의 논리적·비판적 사고능력의 함양을 추구해왔다(김주현, 2014). 미술비평은 작품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거나 종합하여 대상에 대한 관점을 다양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나아가 비평적 탐구 모형은 학습자가 스스로 탐구 주제를 설정하도록 하며, 학습자는 작품 배경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내면화한다. 이처럼 미술 비평은 미적 대상에 대한 지각적 경험에 제한하지 않고 작품의 맥락적 서사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미술 비평의 각 단계에서 다루는 교육적 내용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요소들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한편, 인공지능 기술을 받아들인 예술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환경과 관계를 맺으며 미적 대상을 창조한다. 예술 안에서 인공지능은 작품 창작과정에 참여하고, 감상자와 소통이 가능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면서 그 역할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생성한 이미지는 ‘기술적으로 복제된 이미지’가 그래왔듯이 작가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미지 속에서 현실의 문제를 표현하고 다양한 맥락을 형성한다. 특히 인공지능의 딥러닝에 기반한 예술은 현대미술의 개념적이고 비판적인 작업과 연관되어 예술 창작의 잠재성을 지닌다(이임수, 2017). 그 중 알고리즘적 현상 자체를 주제로 다루는 인공지능 미술작품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그 제작 방법과 긴밀한 연결고리를 지니며 작품의 의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교육적 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이를 위한 실천적 물음에서 연구의 주제를 설정하였다. 이에 총 8차시의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부(2020)가 제시하는 인공지능 시대 교육의 방향으로서 인공지능이 예술을 창작하는 과정을 탐색하거나, 인공지능 미술을 감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 인공지능 미술을 활용한 새로운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써 본 미술비평교육이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인공지능 기반 미술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비평, 인공지능,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문헌 및 선행 연구의 조사를 통해 각각의 개념 및 특성 그리고 교육적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미술비평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미술과의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비평수업을 위해 ‘인공지능 미술의 감상과 비평’을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과정의 흐름도와 세부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학생30명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여 천혜선 외(2016)가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성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사전검사를 시행하고 미술비평 수업을 진행한 후 동일한 집단의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다섯째, 수집된 사전·사후 미디어 리터러시 검사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 표본 t-test로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각 영역별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 ‘미디어의 도구적 활용’이 가장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시민미디어에 대한 이해’, ‘개인창작’ ‘미디어 이용 통제’ 순으로 높은 향상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은 고등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술비평활동을 통해 사회 현상을 다각적으로 바라보며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종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미술학습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표현 효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는 과학기술과 융합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역량을 함양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업만족도 설문지 조사 결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술 감상 및 비평 수업이 흥미로웠습니까?’라는 질문에 모든 학생이 ‘매우 그렇다, 그렇다’라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현대 미디어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미디어 이용 태도를 형성하여 미디어 사회에서 주체적인 이용자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계기로 하여 인공지능 기반 미술을 중심으로 한 미술비평 수업이 다양한 교육적 사례로서 실천되어 청소년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가 인공지능 시대 미술교육의 한 방향으로서 인공지능 미술의 교육적 활용과 그 효과를 탐색하고,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흐름에 대한 다양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 새로운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미술이 사회·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고 연결하는 문화적·교육적 도구로서 다각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향후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미술교육분야의 논의에 본 연구가 일조하기를 바란다. ;With today’s media environment changing drastic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 media world is expanding beyond time and space as if it is indistinguishable from reality. The development of big data and algorithms has increased access to media, which has led the ability to analyze, judge, and utilize large amounts of data to emerge as a core competency of this era. However, despite the productive function of media to share information and create new values, media use attitudes,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use media, group power structure, information distortion, and health issues such as violence, alcohol, and drugs have led to real problems. Moreover,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rapidly developing media can unconsciously reinforce their certain thoughts and behaviors by repeating favorable patterns to them without user intervention or exert influence on users who cannot recognize the properties of media with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Buckingham, 2019). It can be analyzed that most of these problems in media use are due to the low level of media literacy. Using media as an educational tool, media literacy emphasizes cultivating media skills and abilities and forms a desired attitude of media use through media literacy education. While presenting the ability to access, critically understand, and create media, media literacy scholars explain media literacy broadly by including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However, media education in school sites often deviates from its original goals of media information production process and critical understanding, focusing on media production or technological pleasure (Ami Kim, 2015). Amid educational interest in information analysis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rt criticism education has sought to cultivate learners’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critical writing, discussions, and discourse sessions about works (Joo-hyun Kim, 2014). Art criticism involves the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s on objects by exploring or synthesizing artwork-related information. Various models of art criticism commonly consist of the stages of artwork review, analysis, interpretation, and judgement. In addition, the critical inquiry model lets learners to set their own research topic, and the learner actively reconstructs the content of the artwork and internalizes its meaning based on critical thinking. As such, art criticism carries similar characteristics to media literacy in that it emphasizes the contextual narrative of a work without limiting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an aesthetic object. Furthermore, each stage of art criticism is deeply interrelated with the core elements of media literacy. Having embrac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rt offers a new, entirely different esthetic experience from before. AI clearly plays its role in art by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by creating images that can communicate with viewers. AI-created images reflect the artist’s intentions as done by technologically duplicated images, and form problems and contexts of reality in them. AI deep learning-based art especially has the potential to create art since it is related to the conceptual and critical works of contemporary art (Imsu Lee, 2017). It also reflects an artist’s intention in a more complex way than before across imaginatio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yper-reality and Hyper-connect (Jeong-yeop Han, Yeon-bin Lee 2020). Among them, AI art dealing with the algorithmic phenomena are linked closely with the production method using AI and communicate the message of the work more effectively. Hence, this researcher realized the need for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to improve media literacy through art criticism education centering on AI-based art, and set study topics from practical questions for this purpose. To do so, this study aimed to prove the educational effects by developing and running 8 sessions of art criticism education program using AI-based art.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new educational methods using AI, by examining AI’s art creation process or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appreciate and explore AI-based art, as the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0). In sh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criticism educ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media literacy by designing an art criticism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AI-based art, as well as to seek various educational usages of AI-based art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o meet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rived the need for research by examining each concept,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on art criticism,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dia literacy, an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criticism and media literac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2015 revised art curriculum in high school art departments and art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ird, this study prepared the flow of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e detailed teaching-learning guidance by sett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AI Art’ as the topic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ritique class centered on AI art. Fourth, this study selected 30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s a single group and conducted a pre-test and a post-test of the same group after carrying out the art criticism class, using ‘Media Literacy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Hyesun Cheon, et al. Fifth,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is program, the study verifi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pre-post media literacy test data through a matching sample t-test using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criticism education using AI-based ar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media literacy.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media literacy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it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Second,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ach sub-section of media literacy, in the order of ‘tool use of media,’ ‘understanding citizen media,’ ‘personal creation’ and ‘media use control’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 test scores of high school students’ media litera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sections and sub-sections through art criticism education focused on AI-based art. Moreover, all students responded, 'Strongly yes' to the question ‘Was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esting?’ in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which confirms that they were very highly satisfied with this educational program. To conclude, through art criticism education centered on AI-based art, this study helped learners form a desired attitude of media use and grow as independent users of media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problems arising in the modern media society. Thus, it is expected that art criticism classes centered on AI-based art are carried out as various educational cases, contributing to improving young people’s media literacy, through this study.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a new discussion that explores the educational use and effect of AI art and to seek various educational methods for the new trends of contemporary art, as a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inally, it is hop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s applied widely as a cultural and educational tool that integrates and connects various fields of society and culture, an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art education on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