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동아시아사> 교과서 탐구활동 비교·분석

Title
<동아시아사> 교과서 탐구활동 비교·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 Focused on Contemporary History Unit
Authors
정혜련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민수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육 과정의 개정에 따라 현대사 단원의 탐구 활동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9 개정 교과서 3종과 2015 개정 교과서 4종의 탐구 활동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집필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며 변화해왔다. 고등학교 <동아시아사>는 정치적 갈등으로 심화된 동아시아 지역의 오랜 역사 갈등을 종식하기 위한 초석으로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해왔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국가 간의 갈등은 사회·문화적 갈등으로까지 번지면서 <동아시아사> 교육의 의미를 재확인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의성을 반영하여 현대사의 마지막 단원인 ‘갈등과 화해’에 주목하였다. 교과서 탐구 활동의 분석에 앞서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의 비교를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서 동아시아 지역 역사 문제의 본질 파악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제2, 제3의 문제로 파생된 역사 갈등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시작임을 역설한 것이다.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라 교과서의 비교를 통해 2015 개정 <동아시아사> 교과서 현대사 단원의 비중과 탐구 활동의 양적 증가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더욱 면밀한 질적 분석을 위해 자료 제시 방법과 발문의 수에 따라 탐구 활동을 유형화하였고, 발문에 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해 탐구 활동이 <동아시아사> 교과 목표 및 성취기준에 부합하도록 제시되었는지 검토하였다. 비록 탐구 활동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지는 못했지만, 역사교육에서 탐구 활동에 관한 연구가 <한국사>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아시아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현대사 단원의 탐구 활동을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사’라는 교과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역사 문제의 특수성을 알아보고 역사 교육적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탐구 활동의 의미를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ree 2009 revised textbooks and four 2015 revised textbooks to find out how the contemporary history unit's inquiry activities changed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curriculum. Korea's history and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writing have changed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has solidified its status as a cornerstone for ending the long-standing historical conflict in East Asia, which has intensified by political conflicts. Despite recent efforts, however, conflict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have spread to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raising the need to reaffirm the meaning of East Asian History education. Reflecting this timelin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last chapter of contemporary history,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Prior to the analysis of textbook inquiry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East Asian history problem by comparing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curriculum. In other words, he stressed that identifying the exact cause of historical conflicts derived from second and third problems is the beginning of solving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comparison of textbook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2015 revised East Asian History textbook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inquiry activities. For closer qualitative analysis, exploratory activities were stylized according to data presentation methods and the number of utterances and investigative activities were reviewed to meet the East Asian History curriculum objectives and achievement criteria. Although it did not propose a direction to improve inquiry activities, the meaning of this study for East Asian History can be found in that research on inquiry activities in history education is concentrated in Korean History.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of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ambassador unit identified the specificity of historical problem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subject of "East Asian History" and revealed the meaning of inquiry activities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