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Title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gifted students
Authors
김민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21세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고 시대적 변화에 맞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영재교육의 혁신을 목표로 하는 교육부의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발표에 따르면 2011년부터 전면 도입된 교사 관찰·추천 방식의 비중을 점차 전체적으로 확대 실시하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 이유는 영재성과 함께 잠재적 영재성까지 관찰이 가능하고, 다양한 영재성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여 판별의 오류를 줄여주어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영재교육의 폭넓은 기회 제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미술영재교육대상자 추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과정의 1차적 관찰자로 교사들의 역할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며, 따라서 교사가 미술영재 특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의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떠한가 분석하여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교사 관찰·추천을 위한 미술영재교육대상자를 관찰 평가하는 데 있어 교육현장인 단위학교에서 교사의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시의적절한 판별 평가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술영재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와 더불어 영재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사 관찰·추천제를 위한 관찰자의 역할을 수행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교사의 배경변인으로 성별, 교직경력, 전공과목(심화전공),학력, 미술영재 추천경험, 영재(교육)관련 연수경험을 설정하였다. 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설문 도구로 강병직과 맹희주(2018)가 개발 고안한 교사 관찰용 '미술영재행동척도'의 측정문항을 사용하여 교사들에게는 각 문항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1점에서 10점까지 Likert 10점 척도 21개 문항 및 교사가 인식하는 설문 문항 이외의 추가적인 미술영재 특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고자 개방형 문항 1개를 추가 구성하여 총 22개 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 13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43개의 설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배경변인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설문 도구의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문항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인식을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설문 문항 이외에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미술영재 특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한 개방형 문항을 추가하고, 서술한 응답에 대해서 설문 도구 기준으로 전체적인 범주화 과정을 통해 문항 이외에 남은 내용들로 교사의 추가적인 인식 및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미술영재 특성에 대하여 모두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창의적 특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반면 미술 학습속도에 대한 문항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인식의 결과, 성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여성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고경력의 교사들이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과목(심화전공)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미술(교육)전공자 교사들과 타전공 교사와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의 교사들이 학사 학력의 교사들에 비해 미술영재 특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미술영재 추천경험이 있는 교사들도 추천경험이 없는 교사들에 비해서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영재 연수 경험에 따른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인식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 사이에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셋째, 설문 문항 이외의 교사들이 인식하는 미술영재 특성으로 응답한 기타 소수 의견은 사회적 특성, 융합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나뉘며 각 요인의 하위 측정요소들은 4개로 범주화하였다. 사회적 특성 요인은 협력적인 문제해결 태도, 리더십 2개의 범주로 나눠지고, 융합적 특성 요인은 융합적인 능력, 환경적 특성 요인은 환경적 요소로 각각 범주화 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교사의 미술영재 특성에 대한 인식과 배경변인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함께 알아보았으며, 설문도구 이외의 교사들이 미술영재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개방형 설문 문항을 통해 범주화 되어진 4개의 측정요소들에 대한 측정 가능한 도구의 개발 요구와 함께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aims to innovate gifted education to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of the 21st century and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ce-type talents tailored to the changing times, a plan was announced to gradually expand the weight of the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method as a whole. The reason is that it is possible to observe both giftedness and potential giftedness, 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a variety of giftedness, thereby reducing errors in discrimination and providing more students with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gifted education. As the same applies to the recommendation of those eligible for art gifted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as primary observers of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ose eligible for gifted education will increase,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teachers' thoughts on art gifted characteristics.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art gifte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gifted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gifted. Therefore, to observe and evaluate art gifted education subjects for teacher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we intend to find a way to enable teachers to perform timely discrimination and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gifted students in unit schools, which are educational sites. To this end, a prior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art gifted children was considered as well as a prior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gifted children. Through this, it established gender, teaching experience, major subjects (advanced majors), academic background, art gifted recommendation experience, and gifted training experience as background variables for teachers who believ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eacher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21 questions on the scale of 10 points of Likert and 21 additional questions were organiz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22 ques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question.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from April 13 to April 22, 2021, and a total of 343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each background variable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tool was tested and the reliability between the questions was measured to examine predictability and accuracy. Third,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t gifted characteristics was verifi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ourt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scheffe verification was performed as a post-hoc test. Fifth, open questions were added to investigate the art gifte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ther than questions, and additional perceptions and elements of teachers were analyzed with the remaining contents in addition to questions through the overall categorization process based on the survey tool.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l had a high awareness of the art gifted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 about art learning speed was perceived as low. Second, as a result of teachers' perception of art gif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rt gifted characteristics by gender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women, and teachers with high experience had higher recognition of art gif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art (education) major teachers and teachers who majored in other subjects as t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rt gif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jor subjects (advanced majors). In addition, teachers with graduate and higher grades showed higher awareness of art giftedness than teachers with bachelor's degree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recommending art giftedness also showed higher perception than teachers with no experience in recommend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ith training experience and teachers without training experience in the perception of art gif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ifted training experience. Third, other minority opinions that teachers other than the survey questions thought about and wrote answers with fewer art gifted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measuring elements: social characteristics, fusion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ocial characteristic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operative problem-solving attitude and leadership, fusion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fusion abil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content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of artistic talent and the perception according to each background variable was investigated together. The development of a measurable tool for the four classified measurement factors is required, and the implications are proposed according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