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중국 강소성 유치원 초임교사의 멘토링 현황 및 기능에 대한 인식

Title
중국 강소성 유치원 초임교사의 멘토링 현황 및 기능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Ne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nction of Mentoring in Jiangsu Province, China.
Authors
YU, JUE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강소성(江苏省) 소재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초임교사들이 참여한 멘토링의 현황 및 기능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초임교사를 위한 보다 나은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강소성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중국 강소성 유치원 초임교사의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초임교사의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2. 초임교사의 개인특성(경력, 학력, 기관 유형)에 따라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3. 초임교사의 멘토링 현황(참여 동기, 연결방법)에 따라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중국 강소성(江苏省)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에서 멘토링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력 3년 미만의 초임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멘토링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김정은, 흥순옥, 2012; 김하진, 2010; 이문구, 2006; 홍은경, 백영숙, 김성숙, 2006; 胡静娴, 2020; 林珊, 2015; 彭秀丽, 2006; 马晓娟, 2008)를 참고하여 멘토링 구성단계에 따른 관련 질문을 추출하여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멘토링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김하진(2010)이 번역한 Noe(1988)의 ‘멘티용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Mentoring Functions Scale)’를 중국 유아교육 현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혹은 케이스%,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강소성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의 현황을 살펴보면, 멘토링 참여기간은 1년 이상 2년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70% 이상의 초임교사들이 자발적으로 멘토링에 참여하였고, 멘토링의 주관 기관은 유치원이나 교육청이었다. 멘토와 멘티 연결방법은 멘토나 멘티가 자발적으로 선택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멘토 여러 명과 멘티 여러 명이 짝을 맺은 형식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멘토교사 1명인 경우는 주로 유치원 내 경력교사였으며, 멘토가 여러 명인 경우는 원내 멘토뿐만 아니라 원외 멘토도 있었다. 멘토링의 계획은 멘토와 멘티가 의논하여 결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멘토링의 내용은 경력적 지원과 사회·심리적 지원을 모두 포함하였지만, 초임교사들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내용은 멘토링에서 진행한 내용보다 적었다. 초임교사들은 수시로 멘토교사와 만날 수 있었으며, 멘토링 진행 방법은 공통으로 계획안 준비, 팀티칭, 공개 수업이 많았다. 멘토링을 평가받는 대상은 주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였고, 평가 실행자는 멘토교사와 유치원 상급자가 많았고, 과정적 평가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중국 강소성 유치원 초임교사들은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초임교사의 개인특성인 경력에 따라서는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기관 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경력이 높을수록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멘토링의 현황인 참여 동기에 따라서는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결방법에 따라서는 멘토링 가능의 일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즉, 멘토링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파트너를 선택할 수 있었던 초임교사들의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참여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부여해야 한다. 즉, 참여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할뿐만 아니라, 파트너를 선택할 권리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초임교사의 개인특성인 경력에 따라 멘토링 기능에 대한 차이가 나는 만큼 교사 개인특성에 맞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멘토링의 평가가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deep insight into the current situation and function of mentoring for new kindergarten teachers in Jiangsu, China, hoping that it could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more suitable model for mentoring.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ing: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mentoring for new kindergarten teachers in Jiangsu, China? 2. What is the ne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the function of mentoring in Jiangsu, China? 1.1 What is the ne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function of mentoring?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ne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function of mentoring based o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background and types of institutions?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ne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function of mentoring according to their current situation such a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ways of pair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219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3 years in Jiangsu, China. In order to have a deep insight on the current situation of mentoring, a questionnaire had been made in reference to some previous studies(Hong Eunkyung, Baek Youngsook, & Kim Sungsook, 2006; Hu jingxian, 2020; Kim Hajin, 2010; Kim Jongun & Hong Soonok, 2012; Lin shan, 2015; Ma xiaojuan, 2008; Peng xiuli, 2006) as well as the process of mentoring. Mentoring Function Scales by Noe (1988), translated by Kim Hajin (2010) was consulted for the questionnaire about the function of mentoring, and those questions wer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and they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For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y, percentage and case percentage, t test are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l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mentoring in Jiangsu province,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one to two years participate the most in the mentoring. And over 70% of them participate in the mentoring voluntarily. The kindergartens or education department take charge of the mentoring. As for the ways of pairing, most of the mentors and mentees choose their partners by themselves, and several different mentors and several mentees are involved in the mentoring. If there is only one mentor, he or she is always the experienced teacher in the kindergarten. If there are more than one mentor, there will be teachers from other institutions. Under most circumstances, the contents of mentoring are discussed and decided by mentors and mentees together. The contents consist of career development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But some new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not all of the contents in the mentoring have a practical effect. New kindergarten teachers can meet their mentors at any time.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organize mentoring, for example, mentors and mentees can prepare teaching notes together. Team teaching and public lessons are also regular ways of mentoring. The evaluated objects are always the mentors and mentees and the evaluators are mentors and leaders in kindergartens. Process evaluation is mainly used. Secondly, the new kindergarten teachers in Jiangsu province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function of mentoring. Thoug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function of mentoring because of the teaching experi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aspects of education background and types of institutions. In other words, the mor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have,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they have on the function of mentoring will be. Moreover, in term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function of mentoring. The distinction is also found in part of the function of mentoring when coming to the ways of pairing, which means that new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mentoring voluntarily and choose their mentors by themselves hol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the function of mentoring. Here are the finding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First of all, participants of mentoring should be entitled with enough freedom on choosing their mentors and mentees and decid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mentoring. Besides, new programs of mentoring should be developed to fit for the new teachers’ characteristics. This is mainly becau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function of mentoring when taking teaching experiences into consideration. Lastly, a more systematical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practic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