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Title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uthors
박진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또래관계 연구의 전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1.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도별, 학위별, 학술지별 경향은 어떠한가? 1-2.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별 경향은 어떠한가? 1-3.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대상별 경향은 어떠한가? 1-4.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방법별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 또래관계 연구의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경향은 어떠한가? 2-1.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연도별 경향은 어떠한가? 2-2.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연구대상의 경향은 어떠한가? 2-3.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연구방법의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1984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 논문 472편과 국내 학술지 논문 233편이었다. 국내 학위 논문의 경우,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이 가능한 논문으로 한정하였으며, 국내 학술지 논문의 경우, 종합적인 검색을 위해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검색이 가능한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기준에 따라 코딩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 중‘또래유능성’에 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 가지 주제에만 치중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므로,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로 관심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 또래관계 연구는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어린 연령에서도 충분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린 연령을 대상으로 한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방법을 살펴본 결과, 양적연구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양적연구에만 치중하는 것보다는 유아 또래관계 연구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심층적이고 해석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의 분포에 있어 대체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띠었다. 그러나 각 연구주제 범주별로 중점이 되는 측면이 다르므로 연구목적에 맞는 다양한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주제 범주에 따른 연구도구를 살펴보았을 때, 유아 위주의 도구보다는 성인 위주의 양적연구를 위한 연구도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국외 제작 도구를 번역한 형태였다. 따라서 연구자의 목적에 적합하고 연구의 질적인 측면을 다룰 수 있는 연구도구의 개발과 질적연구의 노력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 sampling of 472 domestic dissertations and 233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1984 and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rends in the field. Domestic dissertations were limited to those that could be searched for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domestic academic papers were limited to those searchable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 research?, and (2)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 research according to topic category?. Sub-questions include eight topic categories (peer relationship, friendship, peer competence, peer interaction, peer acceptance, peer status, peer conflict and peer culture), target subject (age group), and research methods. The dissertations and academic papers were coded and analyzed using quantitative method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tud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the highest proportion of studies were on 'peer competence'. However, as focusing on one topic is not a desirable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expand interest into a more diverse range of research topics.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was conducted on 5-year-olds. However, since interaction with peers is sufficiently achieved at even younger ag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 on peer relationships from younger ag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methods of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the rate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very high. However, an in-depth and interpretive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 researc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s according to topic categorie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for each topic category showed a generally similar trend. Since each topic category has different aspects to focus on, it is necessary to use a wider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that are more suitable for their purposes. When examining research tools used by topic categories, research tools for quantitative research centered on adults (parents and teachers) rather than on early childhood subjects (children and similar aged peer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ools used were translated from international t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omestic research tool that is suitable for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researcher. Finally, due to the overabundance of quantitative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more research be condu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