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유치원 만3세반 교사의 자기관찰과 해석을 통한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간의 관계 분석

Title
유치원 만3세반 교사의 자기관찰과 해석을 통한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간의 관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nd practices in child/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self-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3-year-old class teachers in kindergarten
Authors
김유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만3세반 교사의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그에 따른 실제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에게 보다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교수 실제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지원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만3세반 교사의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만3세반 교사는 만3세 유아를 어떤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가? 1-2. 유치원 만3세반 교사는 만3세반 교사의 역할과 자질을 무엇이라 인식하고 있는가? 2. 유치원 만3세반 교사의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에 따른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에서 만3세반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교사 13명이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교사에게 유아-교사 상호작용을 녹화하여 보여주고, 녹화 내용에 대한 교사의 해석을 분석하는 자기관찰과 해석(Degotardi & Davis, 2008)을 활용하였으며, 녹화를 위한 참여관찰을 함께 실시하였다. 교사의 자기관찰과 해석을 위한 면담은 2019년 10월 7일부터 2019년 11월 13일까지 약 6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교사 당 50분-70분가량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만3세반 교사들의 만3세 유아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역할 및 자질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3세 유아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흥미에 따라 탐구하고 학습하는 존재라고 인식하는 집단의 교사들은 이러한 유아의 주도성을 존중하면서 유아의 흥미를 보다 확장시키기 위한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를 그 자체로 온전한 인격체로 인식함으로써 이러한 유아의 마음을 읽고 소통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 및 교사로서의 책임감을 강조하였다. 반면, 주도적으로 유아를 이끄는 집단의 교사들은 만3세 유아를 아직 어리고 미숙한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이러한 유아들을 가르치는 적극적인 교수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이 집단의 교사들은 만4-5세에 비해 제한적이고 연약한 만3세 유아를 보살피고 품어주는 보호자로서의 역할과 인내를 강조하였다. 둘째, 유치원 만3세반 교사들의 유아 및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은 유아 및 유아 행동에 대한 해석, 유아-교사 상호작용, 유아교육과정 운영과 같은 교수 실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아의 주도성을 존중하는 집단의 교사들은 유아 행동의 의도와 비언어적 신호를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적인 관계를 통해 교육이 이뤄짐을 인식하고, 유아의 흥미와 주도성을 존중하면서 개별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인 순간들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반면, 주도적으로 유아를 이끄는 집단의 교사들은 유아의 의도, 유아의 발달과 성장 등을 신체적·언어적으로 가시화된 외현적인 행동을 위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유아에게 엄마와 같은 보살핌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아의 일상생활, 놀이, 갈등 상황 등에 보다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를 이해하고, 보다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신념의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유아에 대한 관점의 재고가 선행됨과 동시에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교직 경험으로 인해 교사중심 신념이 강화되지 않고 아동중심의 실천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 지원 및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3-year-old class teachers’ beliefs in child/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in kindergarten. By examining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this study tri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beliefs in child/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consider educational and support plan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e that is more meaningful to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3-year-old class teachers of kindergarten believe in children/early childhood education? 1-1. How do 3-year-old class teachers of kindergarten perceive a 3-year-old child? 1-2. How do 3-year-old class teachers of kindergarten perceive the role and qualification of teacher in kindergarten 3-year-old class? 2. How is the teaching practice of 3-year-old class teachers in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ir beliefs in child/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year-old class at kindergarten in Seoul. Researcher used the method of ‘self-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Degotardi & Davis, 2008)’ that recorded and showed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and analyzed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 recording contents. The interview for the self-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acher was conducted for about 6 weeks from October 7, 2019 to November 13, 2019, and it was conducted for 50 minutes to 70 minutes per a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categori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3-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had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role and qualification for 3-year-old class teachers in kindergarten. Teachers in one group who perceived that 3-year-old children were actively explor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children’s interests considered the role as a supporter, which is important to expand children’s interest while respecting the initiative of children. Also, by recognizing the children as a whole personality in itself, teachers in this group put emphasis on the teachers' qualification and responsibility to read and communicate the minds of these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other group who play a leading role in class recognized the 3-year-old children as young and immature; thus, these teachers believe themselves the leaders of the class. In addition, this group emphasized the role as a guardian who cares and endures for children of limited and weak age compared to 4-5 years old. Second, the beliefs of the kindergarten 3-year-old class teacher in child/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overall teaching practice such as interpretation of child(ren) and child(ren)’s behavior,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eachers of the group respecting the initiative of children tried to interpret the intention of the behavior and nonverbal signals of children and tried to find educational moments that could provide individual support while respecting the interest and initiative of children. Moreover, they recognized that education was achieved through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On the other hand, teachers of the other group leading the children in the initiative interpreted the intention and developmental growth of the children with children's external behavior which were physically and linguistically visible. Plus, they provided the children with a similar care as a mother's and directly intervened in the daily, playing and conflict situation of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support the formation of more desirable beliefs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suppor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help the teachers reconsider their viewpoints on children and carry out the child-centered teaching pract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