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에의 소셜미디어 활용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Title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에의 소셜미디어 활용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Other Titles
Mothers’Social Media Use on Child Rear and It’s Associ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uthors
조혜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전반적인 경향과 소셜미디어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에 따른 이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의 연관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27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성인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연구와 그와 관련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문항을 수정·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b)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단축형(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을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McPhee, Benson 그리고 Bullock(1986)의 ‘부모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척도(Self-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교차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어머니는 하루 평균 1.94시간, 주 평균 5.41일, 육아 관련 게시물을 보거나 육아 관련 연락만을 취하는 소극적인 방법으로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었다. 출산 전부터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녀양육을 준비하며, 평균 4.46개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포털사이트를 통한 검색이나 카페의 이용이 가장 많았다.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동기는 정보와 관련한 동기가 가장 컸으며, 소셜미디어의 사회자본, 여가, 양육관 형성 등의 긍정적인 영향에 관한 인식을 높게 하고 있었다. 어머니는 소셜미디어에서 정보와 편리성의 측면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자녀의 발달에 관한 정보, 육아용품 정보, 그리고 식품 관련 정보를 많이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함에 따라 타인과 사회비교를 하고, 상대적 박탈감을 일으키는 부정적 측면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상대적 박탈감은 인스타그램 등의 휴대폰 어플을 통해 일어났으며, 경제력에 관한 상대적 박탈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미디어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따른 어머니의 이용을 살펴보면, 어머니가 소셜미디어로부터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주 이용빈도와 하루 이용시간이 많았으며, 주 이용빈도와 하루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소셜미디어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이용방법에 따라 어머니를 적극적 이용집단, 소극적 이용집단으로 나누어 소셜미디어 도움 정도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적극적 이용집단이 소극적 이용집단에 비해 자기 표현과 재미의 측면에서 소셜미디어의 도움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소셜미디어의 사회비교와 상대적 박탈감 등의 부정적 측면에 있어서, 사회비교를 하는 어머니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사회비교 및 상대적 박탈감 유무에 따라 소셜미디어 하루 이용시간과 이용방법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상대적 박탈감 유무에 따른 소셜미디어 주 이용빈도에는 차이가 나타나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어머니의 주 이용빈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소셜미디어 하루 이용시간, 주 이용빈도, 이용방법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어머니가 인식하는 소셜미디어의 도움 정도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도 차이가 없었다. 반면 소셜미디어 내 사회비교 유무와 상대적 박탈감 유무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는 차이가 나타나, 사회비교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높고 양육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의 이용에 따른 부정적 측면에 대해 인식하고 소셜미디어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소통하고 자녀양육에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매체로 하는 통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to use social media to raise their children, and to notice the differences in use accor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ocial media. In addition,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mothers’ social media use on child rearing and its the associ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ly, the subjects for current study were 275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For measuring mothers’ use of social media on child rearing, a questionnaire was manufactured based on research(Cha & Lee, 2015; Cho, 2018; Choi, 2012; Kim & Kim, 2007; Park & Cho, 2004; Ryu et al., 2014) and literature in social media use. To measure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scale(Abidin, 1990) was translated and used. And to measure mothers’ parenting efficacy, Self-Perception of the Parenting Role scale(SPPR, MacPhee, Benson, & Bullock, 1986) was transla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 test, cross-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to look at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to use social media to raise their children, mothers use 1.94 hours per day and 5.41 days per week on average. They were using social media as a passive way such as viewing parenting related posts or to only contact with others. Mothers prepared their mothering through social media before childbirth, and used average 4.46 social media. The most frequent use was search and care sites on portal sites. Mothers were most motivated to use social media on child rearing for information, and they had high awareness of the positive influences of social media such as forming social capital, spend leisure, and creating their own version of motherhood. Mothers were highly aware that they were receiving help in terms of information and convenience on social media, and the most useful information they got on social media were information on child development, childcare supplies, and food related. At the same time, however, mothers experienced negative aspect of social media such as social comparison and relative deprivation. In particular, relative deprivation occurred through general applications such as Instagram, and relative deprivation regarding economic power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Second, looking at the mothers’ use accor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ocial medi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help of social media perceived by mothers, the frequency of use per week, and the hours of use per day.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e, mothers were divided into active and passive groups,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help of social media, active user group perceived the degree of help from social media higher in terms of self-expression and fun. In addition, in the negative aspects such as social comparison and relative deprivation of social media,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lative depriv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comparison of the mo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ily usage time and usage method of social media according to social comparison and relative depriva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ekly usage frequency of social media according to relative deprivation, indicating that mothers who felt relative deprivation had a higher weekly use frequency.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mothers’ daily use time, weekly use frequency, and usage method of social media.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depending on the degree of help of social media perceived by moth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social comparison and relative deprivation in social media, indicating that mothers who perform social comparisons and feels relative deprivation have high parenting stress and low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e negative aspects of the use of social media and giving continuous attention to social media was suggested. In addit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mothers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for child rearing,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hannel through social med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