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무용작품 「걸작」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작품 「걸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Masterpiece』(2018) Based on Festinger’s Social Comparison Theory
Authors
조혜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본 논문은 2018년 6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홀Ⅰ에서 발표한 본 안무자의 무용 작품「걸작」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많은 사람들은 내면의 자아에 집중하지 못하고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고 한다. 본 안무자는 타인의 평가가 모든 기준이 되어버린 현실을 직시하여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고 타인과의 올바른 비교를 통해서만이 자신의 삶을 잘 계획해 나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를 잘 표현하는 작품을 안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논문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방법과 그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론으로 작품의 핵심 내용을 서술하고 무용작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작품의 각종 예술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움직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안무자의 주제의식이 어떻게 형상화 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기술하였다. 안무자는 사회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비교’를 핵심 주제어로 선정하여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의 ‘사회 비교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하게 되었다. 페스팅거는 ‘사회 비교’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사람은 누구나 타인과 비교하려는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이런 비교는 사람들의 인식, 감정, 동기, 행동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안무자는 페스팅거의 이론이 안무에 영향을 주었고 작품을 총 3개의 장으로 구성했다. 1장에서는 ‘사회 비교’는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며 타인과의 비교로 자신을 정의 내린다는 것에 대해 표현하였다. 2장에서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점차 자신을 잃어가는 모습을 표현하였고 3장에서는 잘못된 비교가 자신을 힘들게 만든다는 것을 깨닫고 올바른 비교 방법으로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안무자는 무용 작품 「걸작」을 통해 관객들에게 올바른 사회 비교를 통하여 자신을 새롭게 구축하여 보다 질 좋은 삶을 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안무자 자신만의 창작 방법을 발견하고 그 동안의 안무과정을 돌아보고 성찰함으로 본 안무자의 무용 창작 방법에 대해 논리적으로 분석 및 설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려고 한다. ;The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oreography 『Masterpiece』 that was conducted in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June 7th, 2018. Due to the standards of evaluation being changed to others rather than personal standards, the choreographer realized, in order to evaluate oneself, people constantly compare with others. Therefore, the research focuses on evaluating the introspection of the confusing world and to suggest the right scheme to oneself by focusing on personal standards whether than comparing others. The choreographer selected “comparison” as a keyword to explain the research. The research focuses on psychologist Leon Festinger’s social comparison theory. Humans have innate desire to compare with others and through these comparisons, change of awareness, emotion, motive, and action occurs. Based on Festinger’s theory, the choreographer composed the choreography into three acts. In the first act, ‘social comparison’ starts from the purpose of evaluating oneself. Deeper contemplation towards the true meaning of life of oneself initiates the comparison with others. To visualize the main theme of the choreography, seven portraits with various colors and forms and one empty portrait was used. Stage props were used as the main motive to explicitly convey the main theme to audiences. The second act expresses the confusing emotions emerged from the comparison. Music and lights were used to convert the ambience of the stage and moving of the stage props represents the change of choreographer’s emotion. The theme of third act focuses on the self-reflection of comparing oneself to others and realizes the comparison should be used to scheme for a better future to improve oneself. Rumpling and moving of the stage props implies the last act and highest emotional change throughout the choreography. Music and light elicit the connection through the acts and emotional patterns. Additionally, usage of soft curves and adequate usage of strong breathing fills the stage, completing the choreography. Consequently, through Leon Fertinger’s social comparison theory, the choreographer emphasizes that the adequate social comparison could lead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oneself with better quality of life through the『Masterpiece』. The focus of the study lies on the discovery of personal creative method for the choreographer and logically explaining the creative method by personal standards through analyzing the choreography 『Masterpiece』 as well as previous choreograph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