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온라인 수업 동영상 분석을 통한 한·중 한국어 교사의 문법 수업 비교 연구

Title
온라인 수업 동영상 분석을 통한 한·중 한국어 교사의 문법 수업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Grammar Classes of Korean-Chinese Korean Teachers through Online Class Video Analysi
Authors
FENG, WEIWEI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anks to the flourishing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line education based on network has change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mode and promote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nline education provides teaching services to a wider audience in a more convenient and flexible way. This kind of education, which breaks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is favored by an growing number of student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Korean through onlin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However, according to some research, we find that there are a lot of Korean online education resources in China, but they are of inferior quality. In addition, there is not enough systematic online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adapt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and meet the needs of more Chinese students who wish to learn Korean,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online video curriculum and improve its teaching content. This study compares the teaching activities between the online courses of "New Standard Korean" in China and "Bole Korean" in South Korea. After clarifying the teaching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South Korea and China, summarizing their advantages and existing problems, this paper puts forwar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n online teaching targeting Chinese students. First of all, in the Chapter 1, the research results on online Korean education and the comparison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the existing research are discu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re expounded, and the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are introduced.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on teacher teaching methods of Korean or other foreign language online class videos in China. Related research in China is mainly focused on classroom instruction in field schools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s as well as how to apply multimedia means to actual instruction. In Chapter 2, the author first introduces the definition of teacher’s teaching activity and the basic concep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y. Next, through collecting and sorting out relevant data and a simple analysis of the existing Korean teaching resources in the Chinese education market, the current situation of online Korean education is explained, thus the necessity of onlin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s expounded. Universities and academies where Korean language majors are established are mainly concentrated in large cit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ource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very scarce, so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omes an important learning tool for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learners.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lack of online education resources for Korean, and the government increasing investment in online education,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 content, the operation of New Standard Korean and Bole Korean is briefly stated. In Chapter 3,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ourses New Standard Korean and Bole Korean, this paper selects video lecture notes of different grades of online teaching in the two countries, compares and analyzes their teaching objectives, teaching contents, composition of curriculum links and teaching methods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ummari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online Korean teaching between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In Chapter 4,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Chapter 3, three specific Korean grammar are selected, the grammar teaching activities of Korean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are analyzed in detai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arranged, and the improv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targeting Chinese Korean learners is put forwar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s 3 and 4. Looking at the class goals, the main goals of both Korean and Chinese teachers are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learners' ability to communicate in Korean,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pecific class goals for each step.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all of the basic parts such as vocabulary, grammar, and practice are included, and the amount of the contents of New Standard Korean is much larger than that of Bole Korean, At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of New Standard Korean, grammar learning occupies a high proportion of the entire class content. The Bole Korean class has a relatively consistent composition of classes from Level 1 to Level 4, and the New Standard Korean class has a difference in class composition for each level. Lastly, Korean teachers of Bole Korean, each Korean using Korean throughout the course. The Chinese Korean teacher of New Standard Korean explains the content in Chinese mainly in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class courses, and teaches a combination of Chinese and Korean in the advanced level. In addition, Chinese teachers tended to feel a bit hard for learners by conducting lessons through independent explanations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Korean teachers aroused the interest of learners by designing various class activities and creating a light learning atmosphere.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learners, Chinese teachers have adopted a method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and repeatedly emphasized the content that is prone to errors in learners. Korean teachers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learning tendency of learners from a specific country due to the nature of the classes for Korean learners around the world.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determined that the video lectures need to be constantly improved and updated so that online lecture videos can be better applied to learners' learning. Improvements were suggested. By compar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puts forward the direction of online teaching reform aiming at Chinese Korean students. When selecting the research objects, it selects the teaching activities of Chinese Korean teachers aimed at Chinese students and the teaching contents of Korean teachers aimed at Korean students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whole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the whole video lecture notes and the teachers’ teaching itself. In the teaching process, Chinese teachers have taken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other tongue to a great extent and concentrated the main teaching time on the teaching of grammar knowledge; while Korean teachers pay attention to the arrangement of the overall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to the cultivation of students’ ability to use the language rather than Korean knowledge itself. Through the research on the online Korean courses of the two countries with different students as the targets, it is easier to find the diversity and difference of Korean teaching activities, thus proposing effective improvement methods.;과학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교육은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바꾸고 교육발전을 촉진하였다. 온라인 교육은 더욱 편리하고 유연한 교육 형식으로 더욱 광범위한 대중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교육방식이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온라인 교육을 통한 한국어 학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는 한국어의 온라인 교육 자원이 많이 존재하지만, 그 자체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 외에도 한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온라인 교육의 양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온라인 교육의 발전을 기반으로 더 많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온라인 동영상 강의 자체에 주목해 교육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신표준 한국어>와 한국의 <바른 한국어>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 활동을 비교하여 양국 교사의 수업 특징을 살펴보고, 교사들의 수업 활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그들의 강점과 문제점을 종합한 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온라인 수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었던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와 교사들의 교수 활동 비교 연구 분야의 성과를 검토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는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대상과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나 다른 외국어 온라인 수업 동영상의 교사 교수 방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중국의 관련 연구는 주로 멀티미디어 수단을 어떻게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지와 더불어 현장 학교에서의 교실 수업과 교사의 교육 과정에 집중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각 학자들의 교수활동에 대한 정의와 교수활동의 기본 개념을 소개한다. 이어서 관련 자료의 수집과 정리, 중국 교육시장의 현존하는 한국어 교육 자원에 대한 간단한 분석을 통해 온라인 한국어 교육 현황을 설명하고 온라인 한국어 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논술한다. 한국어 전공이 개설된 대학교나 학원은 대도시에 주로 집중되어 있고 중소도시의 한국어 교육 자원은 매우 부족해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은 중소도시 한국어 학습자들의 중요한 학습 수단이 된다. 한국어 학습의 수요 증가, 한국어의 온라인 교육 자원의 부족, 정부가 온라인 교육에 대한 투자를 증가 시키는 상황에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표준 한국어>와 <바른 한국어>의 운영개요에 대해 문법적 내용 차원에서 간략하게 기술한다. Ⅲ장에서는 <신표준 한국어>와 <바른 한국어>의 수업 등급별로 양국의 온라인 강의 내용을 선정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본 강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수업단계 구성 및 교수 방법의 네 가지 측면으로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 분석 결과를 활용해 양국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Ⅳ장에서는 3장의 한국어 교수 전반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3개의 구체적인 한국어 문법을 골라 양국 한국어 교사들의 문법 교수 활동을 상세히 분석하고, 문법 교수 활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한 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사들의 교수 활동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3장과 4장의 분석을 통해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업 목표를 보면 한중 양국 한국어 교사의 주요 목표는 모두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양성하는 것이지만 단계별로 구체적 수업 목표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수업 내용 측면에서 모두 어휘, 문법, 연습 등 기본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바른 한국어>보다 <신표준 한국어> 수업 내용의 양이 훨씬 많다.<바른 한국어>의 각 부분 내용 비중이 비교적 균형적이며, <신표준 한국어>의 초급과 중급 단계에서는 전체 수업 내용에서 문법 학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바른 한국어> 수업은 1급부터 4급까지의 수업 단계 구성이 비교적 일치하며, <신표준 한국어> 수업은 등급마다 수업 단계 구성에 차이가 있다. 마지막, <바른 한국어>의 한국인 교사는 전체 수업 과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어를 가르친다. <신표준 한국어>의 중국인 한국어 교사는 초급과 중급 수업 과정에서 주로 중국어로 수업 내용을 설명하고, 고급 단계에서는 중국어와 한국어를 결합해서 가르친다. 그 외에 중국인 교사는 전체 수업 과정에서 단독 설명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여 학습자들이 다소 딱딱하게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인 교사는 다양한 수업 활동을 설계하고 가벼운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학습자에 대한 이해 면에 중국인 교사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비교적 적합한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학습자에게 오류를 일으키기 쉬운 내용을 반복적으로 강조하였다. 한국인 교사 전 세계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의 특성 상 특정 국가 학습자의 학습 경향을 배려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동영상이 학습자의 학습에 더 잘 응용될 수 있도록 동영상 강의의 끊임없는 개선과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수업 내용 변화와 매체 수단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두 가지 방향에 따라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개선점을 제의하였다. 본 연구는 양국 교사들의 한국어 교수 활동을 비교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교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들의 교수 활동 내용 및 전 세계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인 교사들의 교수 활동 내용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동영상 강의는 제작부터 교사의 교수까지 양국의 방식에서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교사들은 학습자의 모국어 특성을 고려해 문법 내용 지식에 집중한 반면, 한국인 교사들은 수업의 전반적인 내용 편성 외에 한국어 지식 자체보다는 언어 구사 능력을 키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서로 다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양국의 온라인 한국어 수업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수 활동의 다양성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효과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